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해양력과 비행공역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카타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ractions between Sea Power and Airspace: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tate of Qat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28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카타르의 도하 비행정보구역 신설은 과거 비행공역 확보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던 해양력이 현재에도 유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양력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필요로 한다. 카타르는 자국의 해상영역에서 해양력 증대를 바탕으로 공역 관할 국가인 바레인에 비해 더 나은 탐색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능력을 구비하였다. 이러한 점은 도하 비행정보구역 신설과 관련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카타르의 주요 주장 중 하나였으며, 국제기구를 통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인정받게 된다. 한편 도하 비행정보구역 신설로 카타르는 관할수역에 대한 실효적 장악 능력 향상, 군사적 능력 신장, 그리고 독자적 영역 확장 등의 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카타르의 사례를 통해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해양력과 비행공역이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인천 비행정보구역과 일치하는 한국 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한 대한민국 또한 공역 관할 능력 향상을 위한 선제적·장기적 해양력 강화 정책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카타르의 도하 비행정보구역 신설은 과거 비행공역 확보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던 해양력이 현재에도 유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양력을 중심으로 한 ...

      카타르의 도하 비행정보구역 신설은 과거 비행공역 확보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던 해양력이 현재에도 유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양력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필요로 한다. 카타르는 자국의 해상영역에서 해양력 증대를 바탕으로 공역 관할 국가인 바레인에 비해 더 나은 탐색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능력을 구비하였다. 이러한 점은 도하 비행정보구역 신설과 관련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카타르의 주요 주장 중 하나였으며, 국제기구를 통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인정받게 된다. 한편 도하 비행정보구역 신설로 카타르는 관할수역에 대한 실효적 장악 능력 향상, 군사적 능력 신장, 그리고 독자적 영역 확장 등의 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카타르의 사례를 통해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해양력과 비행공역이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인천 비행정보구역과 일치하는 한국 방공식별구역을 설정한 대한민국 또한 공역 관할 능력 향상을 위한 선제적·장기적 해양력 강화 정책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ious discussions on creation of Qatar's Doha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have been discussed related with the 2022 FIFA World Cup Qatar and the severance(diplomatic breakdown) between Qatar and the Gulf states, but amendment of the Doha FIR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Qatar's natural condition related to Sea Power and a long-term policy of strengthening its maritime capabilities. Practically, Qatar had no jurisdiction airspace, but its jurisdiction sea zone were similar in size to the amended Doha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Qatar also continued to strengthen its maritime capabilities, acquiring new naval and coast guard personnel, ships, and bases. Through this, Qatar was able to provide better search and rescue(SAR) services in the maritime areas within the Bahrain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than Bahrain. The establishment(amendment) of the Doha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is due to the fact that Qatar's superior search and rescue(SAR) capabilities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s(ICAO) decision to amend the airspace. The Qatari case illustrates the influence of Sea Power on airspace acquisition, not only in the post-World War II era, but also in more recent times. It also illustrates the interaction between Sea Power and airspace in that Qatar's airspace acquisition helps strengthen Qatar's Sea Power. South Korea possesses the Kore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KADIZ) that aligns with the Incheon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This suggests the necessity for South Korea to strengthen its Sea Power to enhance effective control over its Jurisdiction Sea Zone.
      번역하기

      Previous discussions on creation of Qatar's Doha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have been discussed related with the 2022 FIFA World Cup Qatar and the severance(diplomatic breakdown) between Qatar and the Gulf states, but amendment of the Doha FIR is ...

      Previous discussions on creation of Qatar's Doha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have been discussed related with the 2022 FIFA World Cup Qatar and the severance(diplomatic breakdown) between Qatar and the Gulf states, but amendment of the Doha FIR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Qatar's natural condition related to Sea Power and a long-term policy of strengthening its maritime capabilities. Practically, Qatar had no jurisdiction airspace, but its jurisdiction sea zone were similar in size to the amended Doha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Qatar also continued to strengthen its maritime capabilities, acquiring new naval and coast guard personnel, ships, and bases. Through this, Qatar was able to provide better search and rescue(SAR) services in the maritime areas within the Bahrain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than Bahrain. The establishment(amendment) of the Doha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is due to the fact that Qatar's superior search and rescue(SAR) capabilities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s(ICAO) decision to amend the airspace. The Qatari case illustrates the influence of Sea Power on airspace acquisition, not only in the post-World War II era, but also in more recent times. It also illustrates the interaction between Sea Power and airspace in that Qatar's airspace acquisition helps strengthen Qatar's Sea Power. South Korea possesses the Kore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KADIZ) that aligns with the Incheon Flight Information Region(FIR). This suggests the necessity for South Korea to strengthen its Sea Power to enhance effective control over its Jurisdiction Sea Zon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