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친구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를 중심으로 =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With specific focus on self-efficacy,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03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focusing specifically on friends'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 total of 1,399 adolescents attending five different high schools (male=642, female=756, consisting of 915 student attending high school and 484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hn, Hwang, Kim and Park (1997) and Bandura's (1995a) self-efficacy scale. Results indicate that those students who attend high school had parents with higher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better studying environment at home, while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 had higher parent-child conflict.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 had higher self-efficacy scores, while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 had higher scores on delinquent behavior. The results of LISREL analyses revealed a similar pattern for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ombined analysis indicate that friends' delinquent behavio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students' delinquency behavior. Self-efficacy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f delinquency behavior. Similar pattern was obtained for friends' delinquency behavior, in which self-efficacy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f their delinquency behavior and thei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heir delinquency behavior. In summary, those students who had lower self-efficacy, highe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nd with friends who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had higher scores on delinquent behavior. Also, those students who had friends with lower self-efficacy scores and with highe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delinquent behavior. Friends' delinquent behavio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tudents' delinquent behavior indicating the role of friends in influencing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focusing specifically on friends'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 total of 1,399 adolescents attendi...

      This study examines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focusing specifically on friends'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 total of 1,399 adolescents attending five different high schools (male=642, female=756, consisting of 915 student attending high school and 484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hn, Hwang, Kim and Park (1997) and Bandura's (1995a) self-efficacy scale. Results indicate that those students who attend high school had parents with higher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better studying environment at home, while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 had higher parent-child conflict.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 had higher self-efficacy scores, while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 had higher scores on delinquent behavior. The results of LISREL analyses revealed a similar pattern for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ombined analysis indicate that friends' delinquent behavio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students' delinquency behavior. Self-efficacy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f delinquency behavior. Similar pattern was obtained for friends' delinquency behavior, in which self-efficacy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f their delinquency behavior and thei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heir delinquency behavior. In summary, those students who had lower self-efficacy, highe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nd with friends who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had higher scores on delinquent behavior. Also, those students who had friends with lower self-efficacy scores and with highe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delinquent behavior. Friends' delinquent behavio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tudents' delinquent behavior indicating the role of friends in influencing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친구가 청소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친구의 일탈행동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동시에 청소년의 부모자녀 갈등과 부모통제 및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5개 남녀 고등학교에서 표집된 고등학생 총 1,399명(남 642명, 여 756명)으로서, 인문계 915명, 전문계 48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안귀덕, 황정규, 김의철, 박영신(1997)이 제작하여 사용한 것을 활용하였으며, 자기조절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은 Bandura(1995a)의 질문지를 번역하였다. 학교유형별 가정환경과 부모자녀관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문계 학생들은 부모 학력이나 직업 및 가정 내 공부방 환경이 더 좋았고, 전문계 학생들은 부모와의 갈등이 더 심하였다. 학교유형별로 자기효능감과 일탈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인문계 학생들이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였으며, 전문계 학생들이 일탈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학교유형별로 이러한 차이가 밝혀짐에 따라, 인문계와 전문계 학생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LISREL 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LISREL 분석결과, 변인들 간의 경로 패턴이 거의 일치하였기 때문에, 인문계와 전문계 학생 데이터를 합하여 전체 고등학생 데이터로 다시 LISREL분석 및 효과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 일탈행동에 대해 친구 일탈행동의 정적인 직접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은 부적인 직접효과를, 청소년의 부모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는 정적인 직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청소년 일탈행동에 대해 친구의 자기효능감은 부적인 간접효과를, 친구의 부모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는 정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친구가 일탈행동을 많이 할수록, 청소년이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가 갈등적이고 통제적일수록, 청소년이 일탈행동을 많이 하였다. 그리고 친구가 자기효능감이 낮고, 친구가 부모와 갈등적이고 통제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청소년 일탈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여러 변인들 중에서도 친구의 일탈행동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이 있는 예언변인이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청소년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 일탈행동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친구가 청소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친구의 일탈행동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동시에 청소년의 부모자녀 갈등...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친구가 청소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친구의 일탈행동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동시에 청소년의 부모자녀 갈등과 부모통제 및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5개 남녀 고등학교에서 표집된 고등학생 총 1,399명(남 642명, 여 756명)으로서, 인문계 915명, 전문계 48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안귀덕, 황정규, 김의철, 박영신(1997)이 제작하여 사용한 것을 활용하였으며, 자기조절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은 Bandura(1995a)의 질문지를 번역하였다. 학교유형별 가정환경과 부모자녀관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문계 학생들은 부모 학력이나 직업 및 가정 내 공부방 환경이 더 좋았고, 전문계 학생들은 부모와의 갈등이 더 심하였다. 학교유형별로 자기효능감과 일탈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인문계 학생들이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였으며, 전문계 학생들이 일탈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학교유형별로 이러한 차이가 밝혀짐에 따라, 인문계와 전문계 학생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LISREL 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LISREL 분석결과, 변인들 간의 경로 패턴이 거의 일치하였기 때문에, 인문계와 전문계 학생 데이터를 합하여 전체 고등학생 데이터로 다시 LISREL분석 및 효과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 일탈행동에 대해 친구 일탈행동의 정적인 직접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은 부적인 직접효과를, 청소년의 부모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는 정적인 직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청소년 일탈행동에 대해 친구의 자기효능감은 부적인 간접효과를, 친구의 부모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는 정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친구가 일탈행동을 많이 할수록, 청소년이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가 갈등적이고 통제적일수록, 청소년이 일탈행동을 많이 하였다. 그리고 친구가 자기효능감이 낮고, 친구가 부모와 갈등적이고 통제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청소년 일탈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여러 변인들 중에서도 친구의 일탈행동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이 있는 예언변인이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청소년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 일탈행동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한국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 자기 효능감과 성취 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37-59, 2004

      2 "한국일보 (2010. 7. 16). 재범률 30% 웃돌아… 사후관리 더 중요. ‘처벌보다 사회·교육 환경개선 우선돼야’"

      3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4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종단분석: 심리적, 관계적, 그리고 사회적 접근"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3 (13): 1-41, 2007

      5 김의철,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13 (13): 99-142, 1999

      6 곽금주, "한국 청소년문화의 형성요인 탐색: 비행과 우울에 관하여" 5 (5): 111-121, 1999

      7 안귀덕, "한국 청소년 문화: 심리사회적 형성요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8 박영신,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 탐구: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107-145, 2004

      9 박영신,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Ⅲ): 성취의 그늘, 한국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심리적 역동"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4 : 223-253, 2008

      10 박영신, "학교폭력과 인간관계 및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폭력가해, 폭력피해, 폭력무경험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7 (7): 63-89, 2001

      1 박영신, "한국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 자기 효능감과 성취 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37-59, 2004

      2 "한국일보 (2010. 7. 16). 재범률 30% 웃돌아… 사후관리 더 중요. ‘처벌보다 사회·교육 환경개선 우선돼야’"

      3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4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종단분석: 심리적, 관계적, 그리고 사회적 접근"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3 (13): 1-41, 2007

      5 김의철,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13 (13): 99-142, 1999

      6 곽금주, "한국 청소년문화의 형성요인 탐색: 비행과 우울에 관하여" 5 (5): 111-121, 1999

      7 안귀덕, "한국 청소년 문화: 심리사회적 형성요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8 박영신,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 탐구: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107-145, 2004

      9 박영신,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Ⅲ): 성취의 그늘, 한국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심리적 역동"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4 : 223-253, 2008

      10 박영신, "학교폭력과 인간관계 및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폭력가해, 폭력피해, 폭력무경험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7 (7): 63-89, 2001

      11 금명자, "학교밖 청소년 욕구조사, 학교 밖 청소년 길 찾기" 21-44, 2004

      12 박원모,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부모애착과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친구관계 간의 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41-59, 2008

      13 이춘화, "청소년폭력 가해자와 가해 집단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999

      14 김하연, "청소년의 자아개념, 또래집단에 대한 동조 및 비행 간의 상호관계" 4 (4): 199-212, 1991

      15 박영신, "청소년의 인간관계와 일탈행동: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교사 학생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87-115, 2004

      16 김청송, "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대처, 강인성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587-598, 2007

      17 김경식, "청소년의 비행을 낳는 요인. 한국청소년개발원" 601-621, 2006

      18 도금혜, "청소년의 개인특성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이 친구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1 (21): 133-150, 2008

      19 이은희, "청소년들의 가정, 학교, 지역의 심리사회적 환경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분노조절과 비행친구 접촉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123-145, 2004

      20 옥정, "청소년기 애착유형과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재소 중인 비행집단, 위험집단, 정상집단의 비교" 20 (20): 259-270, 2001

      21 송미경, "청소년기 아동기의 일탈행동 경로분석 비교연구" 585-600, 2006

      22 박영신, "청소년 학교폭력행동과 환경 및 심리특성의 관계: 위탁 청소년과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15 (15): 25-52, 2001

      23 박영신,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9 (9): 81-114, 2003

      24 김영희, "청소년 일탈행동 무경험집단과 경험집단의 환경, 심리, 행동 특성의 차이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3 (13): 201-219, 2004

      25 박영신, "청소년 비행과 성취행동: 가정환경, 귀인양식, 건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4 (4): 29-53, 1998

      26 한상철, "청소년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4 : 273-298, 2008

      27 김경연, "죄책감, 도덕적이탈, 및 친구의 규칙위반성향과 청소년의 규칙위반행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39-51, 2003

      28 금명자,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4 : 299-317, 2008

      29 박영신,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197-219, 2010

      30 김준호, "소년범죄자의 성인범죄자로의 전이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5

      31 박영신,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29 (29): 533-559, 2010

      32 백혜정, "성별에 따른 청소년들의 가정환경과 비행 경험 관계에서의 부모의 지지와 자기통제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2 (22): 37-56, 2009

      33 "서울신문 (2010. 3. 1). 소년범 늘고 재범률도 높아졌다"

      34 박영신,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초 중 고 대학생의 성취동기, 생활만족도, 학업성취,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38 (38): 109-147, 2000

      35 허태균, "부모-자녀가 지각한 의사소통 유형 일치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389-404, 2008

      36 탁수연, "보호관찰 청소년의 친구관계에 대한 분석" 연세대학교 상경관 165-166, 2003

      37 박순길, "또래비행동조, 신체적 성숙 및 스트레스가 중학생의 흡연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473-486, 2003

      38 탁수연, "고등학생의 사이버일탈과 인간관계, 심리특성 및 행동특성의 관계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33-258, 2007

      39 경찰청, "경찰백서" 2009

      40 Park, Y. S., "The nature and dynamics of school violence and delinquency in Korea: The influence of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Inha University 28-29, 2006

      41 Park, Y. S., "The impact of the changing parent-child relationship on adolescent' functioning" 84-, 2000

      42 Park, Y. S.,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 Tokyo University 2003

      43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44 Schunk, D. H., "Peer models: Influen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attributions" 77 : 313-322, 1985

      45 Park, Y. S., "Paths to academic achievement, delinquency and life-satisfaction: Longitudinal analysis of influences of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cultural factors" Shaanxi Normal University 11-12, 2004

      46 Park Y. S., "Parent-child relationship, academic grade, life-satisfaction and delinquency: Comparison of primary, junior high, senior high and university students" The University of Kumamoto 4-5, 2001

      47 Bandura, A., "Multifaceted scale of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Department of Psychology, Stanford University 1995

      48 Bandura, A., "Manual for the construction of self-efficacy scales" Dept. of Psychology, Stanford University 1995

      49 Kim, Y. H., "Factors influencing delinquent behaviors among Korean adolescents: Longitudinal analysis" Magellan Sutera Harbour, Kota Kinabalu City 199-120, 2007

      50 Patterson, G. R.,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antisocial behavior" 44 : 329-335,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