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민속학자 샤를르 바라(Charles Varat)는 1889년 파리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에서 자신이 한국여행에서 수집한 유물들을 전시하였다. 바라가 한국에서 가져온 유물들로 구성된 이 전시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54066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64(24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프랑스 민속학자 샤를르 바라(Charles Varat)는 1889년 파리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에서 자신이 한국여행에서 수집한 유물들을 전시하였다. 바라가 한국에서 가져온 유물들로 구성된 이 전시는 ...
프랑스 민속학자 샤를르 바라(Charles Varat)는 1889년 파리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에서 자신이 한국여행에서 수집한 유물들을 전시하였다. 바라가 한국에서 가져온 유물들로 구성된 이 전시는 프랑스에서 한국을 알리는 최초의 공간이었으며 또한 해외에서 개최된 첫 번째 한국유물 전
시였다. 그의 소장품은 1889년 만국박람회에서 전시된 이후 트로카데로 민족학박물관(Musee d’Ethnographie du Trocadero)을 거쳐 파리에 신설된 아시아전문박물관 기메박물관(Musee Guimet)으로 이전되었다. 그리고 기메박물관의 관장 에밀 기메(Emile Guimet)는 이 유물들을 기반으로 1893년 한국유물 전시실을 개관하였다. 19세기 프랑스 사회에서 기메박물관 한국실의 개관은 한불 문화교류의 시작을 의미함과 동시에 국내 박물관의 역사가 시작되기 이전에 해외에서 먼저 한국 유물을 수집하고 소개하는 공간이 설립되었다는 점에서 한국예술품 전시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1893년에 개설된 기메박물관 한국실은 당시 프랑스 사회가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의 예술품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였다. 그래서 프랑스 국립 아시아박물관의 위상을 지니고 있는 기메박물관에 한국실이 설립되는 과정은 19세기 말 프랑스 사회에서 한국 문화가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메박물관의 한국실 전시가 프랑스에 체류한 최초의 한국인으로 알려진 홍종우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도 한불 교류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사실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exhibition of Korean culture at the Exposition universelle de paris in 1889 was formed by Charles Varat, a French folklorist with his collection of Korean art that was collected while he was on a journey to Korea in 1888. This exhibition was...
The first exhibition of Korean culture at the Exposition universelle de paris in 1889 was formed by Charles Varat, a French folklorist with his collection of Korean art that was collected while he was on a journey to Korea in 1888. This exhibition was the first Korean art exhibition not only in France but also in foreign countries. Charles Varat"s collection of Korean art has transferred to Guimet museum which is specialized in Asian art in Paris through Musee d’Ethnographie du Trocadero since the exhibition at the Exposition universelle de paris in 1889. Then Emile Guimet, director of Guimet Museum opened the Korean gallery with these collections in 1893. The opening of the Korean Gallery at the Guimet Museum which is comprised of Korean traditional clothes, furnitures, prints, genre paintings and buddhism sculptures has very important meaning that it was the beginning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France, and also it was the place that introduce Korean art yet Korea had not have any museums for Korean art.
The Korean Gallery at the Guimet Museum which is opened in 1893 was the only way for France to approach to Korean culture and art at that moment. Therefore, the process of how the Korean gallery has opened at the Guimet Museum which is a National Asian museum in France is the key of how the French society at the late of 19th century saw and accepted Korean culture. Also, the gallery was made up by the first Korean resident in France, Hong Jyong-ou and this is very interesting fact in the study of history of exchange between Korea and Fra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선, "한불관계자료, 한국 근대사 자료집성 4" 국사편찬위원회 2001
2 최광식, "태양의 아들, 잉카" 국립중앙박물관 2009
3 Varat, Charles, "Voyage en Corée"
4 Duchateau, Julien, "Une création scientifique française, Le premier Congrès international des orientalistes" Maisonneuve 1875
5 Régamey, Félix, "Un assassin politique, In dans T'oung pao, Paris, mars 1896" 1896
6 Muther, Richard, "The history of modern painting" J. M. Dent & son 1907
7 Guimet, Emile, "Rapport au Ministre de l’Instruction publique et des Beaux-Arts" Paris 1883
8 Rosny de, Léon, "Rapport annuel fait à la société d’Ethnographie sur ses travaux et sur les progrès des sciences ethnographiques pendant l’année 1869, In Actes de la Société d’Ethnographie, Paris, Maisonneuve, t. 6" 1870
9 Milloué de, Léon, "Petit Guide Illustré au Musée Guimet" Ernest Leroux 1894
10 Cordier, Henri, "Notice nécrologique de Charles Varat, 1e série, n. 4" 1893
1 박병선, "한불관계자료, 한국 근대사 자료집성 4" 국사편찬위원회 2001
2 최광식, "태양의 아들, 잉카" 국립중앙박물관 2009
3 Varat, Charles, "Voyage en Corée"
4 Duchateau, Julien, "Une création scientifique française, Le premier Congrès international des orientalistes" Maisonneuve 1875
5 Régamey, Félix, "Un assassin politique, In dans T'oung pao, Paris, mars 1896" 1896
6 Muther, Richard, "The history of modern painting" J. M. Dent & son 1907
7 Guimet, Emile, "Rapport au Ministre de l’Instruction publique et des Beaux-Arts" Paris 1883
8 Rosny de, Léon, "Rapport annuel fait à la société d’Ethnographie sur ses travaux et sur les progrès des sciences ethnographiques pendant l’année 1869, In Actes de la Société d’Ethnographie, Paris, Maisonneuve, t. 6" 1870
9 Milloué de, Léon, "Petit Guide Illustré au Musée Guimet" Ernest Leroux 1894
10 Cordier, Henri, "Notice nécrologique de Charles Varat, 1e série, n. 4" 1893
11 Gonse, Louis, "L’Art japonais" A. Quantin 1883
12 Ann-Baron, Ok-sung, "Les peintures de genre de Kisan au musée Guimet" (33) : 1993
13 Dias, Nélia, "Le musée d’ethnographie du Trocadéro : 1878-1908 anthropologie et muséologie en France" CNRS 1991
14 Guimet, Emile, "Le Jubilé du Musée Guimet, Vingt-cinquième anniversaire de fondation 1879-1904" Ernest Leroux 1904
15 Chesneau, Ernest, "Le Japonisme dans les arts, t. II" Musée Universel 1873
16 Layrle, Charles-Jules, "Le Japon en 1867" imp. de Dupont 1868
17 Varat, Charles, "Deux voyages en Corée, introduction et notes de Francis Macouin" Kailash Editions 1994
18 Pautier, Guillaume, "Des curiosité chinoises exposées aux Tuileries, In Gazette des Beaux-Arts, Paris, mars 1861, t. 9" 1861
19 Rosny de, Léon, "Compte-rendu de la première session du Congrès international des orientalistes" Maisonneuve 1876
20 Impey, Oliver, "Chinoiserie. The Impact of Oriental Style on Western Art and Dec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21 Astruc, Zacharie, "Beaux-Arts. L’Empire du soleil levant’"
22 신상철, "19세기말 프랑스 박물관 역사와 아시아 콜렉션: 동양 예술에 대한 새로운 인식"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2 : 143-161,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1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