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Ⅰ. 5ㆍ18의 반복에서 망각으로
- Ⅱ. 5ㆍ18의 혁명적 재현과 대항이데올로기
- Ⅲ. 5ㆍ18의 부활을 위하여
- 참고문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94452
2010
Korean
340
KCI등재
학술저널
161-190(30쪽)
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희, "후진민주주의와 한국 혁명의 성격과 과제. in: 우리 민족의 나아갈 길" 동아출판사 1962
2 조정래, "황홀한 글감옥" 시사IN북 2009
3 윤건차, "현대 한국의 사상 흐름" 당대 2000
4 조희연, "현대 한국 사회운동사 - 6·25전쟁 이후 8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in: 한국사회론" 한울 1990
5 조희연,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울 1991
6 이성근, "해방직후 미군정치하의 여론동향에 관한 분석" 25 : 1985
7 손호철,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 지형. in: 현대 한국정치: 이론과 역사 1945-2003" 사회평론 2003
8 최형익, "한국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노무현 정권" 2003
9 임영일, "한국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 in: 한국사회와 지배이데올로기: 지식사회학적 이해" 녹두 1991
10 정해구, "한국사회의 이데올로기 변동 in: 한국사회론" 한울 1990
1 박정희, "후진민주주의와 한국 혁명의 성격과 과제. in: 우리 민족의 나아갈 길" 동아출판사 1962
2 조정래, "황홀한 글감옥" 시사IN북 2009
3 윤건차, "현대 한국의 사상 흐름" 당대 2000
4 조희연, "현대 한국 사회운동사 - 6·25전쟁 이후 8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in: 한국사회론" 한울 1990
5 조희연,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울 1991
6 이성근, "해방직후 미군정치하의 여론동향에 관한 분석" 25 : 1985
7 손호철,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 지형. in: 현대 한국정치: 이론과 역사 1945-2003" 사회평론 2003
8 최형익, "한국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노무현 정권" 2003
9 임영일, "한국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 in: 한국사회와 지배이데올로기: 지식사회학적 이해" 녹두 1991
10 정해구, "한국사회의 이데올로기 변동 in: 한국사회론" 한울 1990
11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 한길사 1993
12 이희영, "체험된 폭력과 세대간의 소통 1980년대 학생운동 경험에 대한 생애사 재구성 연구" 비판사회학회 (68) : 107-132, 2005
13 정수복, "지식인과 사회운동 - 지식인의 이데올로기적 개종을 중심으로" (3) : 1989
14 한지수, "지배이데올로기와 재생산 메커니즘. in: 한국정치론" 백산서당 1989
15 황석영,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풀빛 1985
16 이기훈, "젊은이들의 초상 ― 식민지의 학생, 오늘날의 학생" 역사문제연구소 (90) : 50-83, 2010
17 조희연, "저항론의 변화와 분화에 관한 연구 - 변혁론을 중심으로. in: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1" 문화과학 2003
18 문지영, "자유주의: 체제 수호와 민주화의 이중 과제 사이에서. in: 한국 정치의 이념과 사상" 후마니타스 2009
19 김 원, "잊혀진 것들에 대한 기억: 한국 대학생의 하위문화와 대중정치" 이후 1999
20 은수미, "의식화조직, 사회운동, 그리고 대항이데올로기. in: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1" 문화과학 2003
21 갈봉근, "유신헌법 해설" 광명출판사 1975
22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 풀빛 1999
23 김 원, "여공 1970, 그녀들의 반역사" 이매진 2005
24 윤소영,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와 ‘워싱턴 콘센서스’: 마르크스적 비판의 쟁점들" 공감 1999
25 신진욱, "사회운동의 연대 형성과 프레이밍에서 도덕감정의 역할" 비판사회학회 (73) : 203-245, 2007
26 임현진, "박정희 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 in: 한국정치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4
27 김정한, "민주화세대의 역사적 좌표" 2006
28 김재은, "민주화 운동과정에서 구성된 주체위치의 ‘성별화’에 관한 연구(1985-1991)" 서울대 2002
29 강정인, "민주주의의 한국적 수용. in: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 아카넷 2004
30 최장집, "민주주의의 민주화" 후마니타스 2006
31 김정한, "대중과 폭력" 이후 1998
32 스콧, 제임스, "농민의 도덕경제: 동남아시아의 반란과 생계" 아카넷 2004
33 유인태, "내가 겪은 민청학련 사건" 1988
34 안병용, "남민전" 1990
35 정해구, "광주항쟁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연구 시론" (8) : 1990
36 조대엽, "광주항쟁과 80년대의 사회운동문화 -이념 및 가치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3 (3): 175-210, 2003
37 한국현대사사료연구소, "광주오월민중항쟁사료전집" 풀빛 1990
38 안종철, "광주민주화운동과 무장투쟁" 18 (18): 2001
39 조정환, "공통도시" 갈무리 2010
40 세계편집부, "공안사건기록 1964-1986" 세계 1986
41 광주광역시 5·18사료편찬위원회, "「5·18광주민주화운동자료총서」(1- 10)" 광주광역시 5·18사료편찬위원회 1997
42 손호철, "‘한국체제’ 논쟁을 다시 생각한다: 87년 체제, 97년 체제, 08년 체제론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25 (25): 31-59, 2009
43 이용기, "‘5·18’에 대한 역사서술의 변천. in: 5·18은 끝났는가" 푸른숲 1999
44 Katsiaficas, Georgy, "Neoliberalism and the Gwangju Uprising"
45 Thompson, Edward Palmer, "Customs in Commons" Merlin 1991
46 이성백, "90년대 진보적 사회이론의 상황" (3) : 2000
47 김보현, "88만원 세대에게 5·18 광주는 희미하고 무덤덤한 과거사?!. in: 5·18 민중항쟁에 대한 새로운 성찰적 시선" 한울 2009
48 김종엽, "87년 체제론: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의 인식과 새 전망" 창작과비평 2009
49 김정한, "5‧18 광주항쟁에서 시민군의 주체성" 사회과학연구소 18 (18): 120-148, 2010
50 강현아, "5·18항쟁의 성격·주체-연구사적 측면에서-" 5.18연구소 4 (4): 125-147, 2004
51 전재호, "5·18담론의 변화와 정치변동. in: 5·18담론은 끝났는가" 푸른숲 1999
52 정일준, "5·18담론의 변화와 권력-지식관계-역사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5.18연구소 4 (4): 103-123, 2004
53 정재호, "5·18 항쟁의 전개 과정. in: 5·18 그리고 역사" 길 2008
54 김정한, "5·18 광주항쟁의 이데올로기 연구" 한국민주주의연구소 (18) : 73-97, 2008
55 안 진, "5·18 광주항쟁에서 여성 주체들의 특성" 6 (6): 2007
56 5·18 광주의거청년동지회, "5·18 광주민중항쟁 증언록 Ⅰ: 무등산 깃발" 도서출판 광주 1987
57 강현아, "5.18 항쟁 역사에서 여성의 주체화" 한국여성학회 20 (20): 5-40, 2004
58 서중석, "3선개헌반대, 민청학련투쟁, 반유신투쟁" 1988
59 전명혁, "1980년대 비합법 정치조직. in: 한국 정치와 비제도적 운동정치" 한울 2007
60 이기훈, "1970년대 학생 반유신운동. in: 유신과 반유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61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70년대 민주화운동 I"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7
62 정태운, "1960-70년대 ‘공안사건’의 전개 양상과 평가. in: 한국현대사 3: 1960-70년대 한국사회와 변혁운동" 풀빛 1991
63 김동춘, "1960, 70년대 민주화운동세력의 대항이데올로기. in: 한국정치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4
64 손호철, "1950년대의 이데올로기: 극우, 반공 일색이었나?. in: 현대 한국정치: 이론과 역사 1945-2003" 사회평론 2003
자유주의주체 인간관(觀)의 ‘근대유럽 형성 통설’ 반증(反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87 | 1.324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