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참여의도와 지각된 행동통제가 투자자의 무리행동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40700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8(1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참여의도와 지각된 행동통제가 투자자의 무리행동에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참여의도와 지각된 행동통제가 투자자의 무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효과 분석을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연구 결과를 통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를 이해하고 관계 당사자들에게 동 제도 활성화 및 투자자 보호를 위한 각종 정책 및 사업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투자한 경험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잠재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76부의 응답지를 받았다. 이 중 부적합 응답을 제외한 총 261명의 설문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및 Amos 22.0 통계 패키지를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주요변인 중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간접효과 분석 결과 참여의도는 태도, 주관적 규범과 무리행동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행동의도의 주요 변인으로 제시된 지각된 행동통제는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무리행동에는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쉽게 참여할 수 있다고 지각하고 있더라도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은 손실위험이 큰 초기창업기업에 대한 투자행위이기 때문에 참여의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는 실제 투자행동을 할 때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펀딩 진행정보를 일종의 신호로 보고 다수의 다른 투자자를 모방하여 무리행동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와 무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향후 크라우드펀딩 감독기관의 정책 수립이나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사업자의 사업계획 및 활성화 방안 수립 등에 유의미한 연구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that affect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investors and how participation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ffect investors’herd behavior including in...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that affect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investors and how participation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ffect investors’herd behavior including indirect effect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vestment behavior of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investors and to help the relevant parties to develop various policies and business plans to revitalize the system and protect investo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ho are interested or have experience in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to receive a total of 276 responses. Excluding outliers, a total of 261 responses were taken into account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data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ackage was conducted.
As a result, two of the major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 have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investors. And after analyzing the indirect effect, the participation intention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herd behavior. However,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esented as a major variable of behavioral intention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howed that the effe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stead, it was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herd behavior.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empirically confirmed that even if investors perceive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as easy to participat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oes not seem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because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is an investment in an early-stage business with a high risk of los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confirmed that domestic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investors perceive the funding progres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latform as a signal and imitate many other investors, showing herd behavior when they actually make an invest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insights for the policy making of crowdfunding supervisory offices and platform operators by empirically identifying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intentions and herd behavior of domestic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investor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백,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공공자전거 지속 이용 예측모형 검증" 한국체육과학회 27 (27): 737-750, 2018
2 강영기, "투자형 크라우드 펀딩의 활용과 법적 규제에 관한 고찰" 안암법학회 (52) : 257-286, 2017
3 이애리,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통한 대중적 투자 활성화 방안 연구: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44-660, 2016
4 가정, "크라우드펀딩 특성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37-247, 2018
5 신현탁,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에 대한 후견적 보호의 한계 및 펀딩플랫폼 활성화 방안" 한국증권법학회 18 (18): 81-111, 2017
6 김상대, "크라우드펀딩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합기술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7 (27): 150-156, 2017
7 김영도, "크라우드펀딩 자금조달의 유효성 분석" 한국금융학회 32 (32): 129-167, 2018
8 최석웅, "크라우드펀딩 성공을 위한 실증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55-63, 2017
9 한국예탁결제원, "크라우드넷 펀딩성공현황"
10 성희활,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의 규제체계 수립에 대한 연구" 한국증권법학회 14 (14): 391-421, 2013
1 김기백,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공공자전거 지속 이용 예측모형 검증" 한국체육과학회 27 (27): 737-750, 2018
2 강영기, "투자형 크라우드 펀딩의 활용과 법적 규제에 관한 고찰" 안암법학회 (52) : 257-286, 2017
3 이애리,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통한 대중적 투자 활성화 방안 연구: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44-660, 2016
4 가정, "크라우드펀딩 특성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37-247, 2018
5 신현탁,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에 대한 후견적 보호의 한계 및 펀딩플랫폼 활성화 방안" 한국증권법학회 18 (18): 81-111, 2017
6 김상대, "크라우드펀딩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합기술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7 (27): 150-156, 2017
7 김영도, "크라우드펀딩 자금조달의 유효성 분석" 한국금융학회 32 (32): 129-167, 2018
8 최석웅, "크라우드펀딩 성공을 위한 실증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55-63, 2017
9 한국예탁결제원, "크라우드넷 펀딩성공현황"
10 성희활,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의 규제체계 수립에 대한 연구" 한국증권법학회 14 (14): 391-421, 2013
11 천창민,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의 구축방향과 과제" 자본시장연구원 2013
12 손영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증권법학회 19 (19): 141-191, 2018
13 양광민, "정보 캐스케이드와 개인특성이 블로깅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15 (15): 89-108, 2005
14 이윤구, "운동의도 설명을 위한 계획된 행동이론과 사회생태학적 모델의 통합" 한국체육학회 55 (55): 117-125, 2016
15 강성민, "온라인 쇼핑몰 기반의 전자상거래에서 외적 정보가 구매 의사결정 과정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데이터전략학회 14 (14): 97-120, 2007
16 김진화, "오프라인 구전과 온라인 리뷰간의 정보 캐스케이드 영향 분석" 한국전자거래학회 15 (15): 39-60, 2010
17 이상섭, "스크린 골프 참여의도와 지속행동 예측을 위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한국체육과학회 20 (20): 327-338, 2011
18 이민규, "섭식억제, 사전음식섭취 및 공적자기주의에 따른 음식섭취 행동" 6 (6): 209-233, 2001
19 유현미, "생활무용 참여자의 지속행동, 운동지속수행 및 운동중독 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46) : 657-666, 2011
20 이윤선,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 소비자들의 무리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1 박범조, "무리행동, 뉴스, 그리고 금융시장의 변동성" 한국증권학회 39 (39): 1-29, 2010
22 한정희, "대학생들의 경력개발과 관련된 계획된 행동들이 창업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111-118, 2015
23 신연동,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달성률에 관한 영향 요인 연구: 일반 투자자 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15 (15): 45-56, 2017
24 박혜진,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현황과 시사점" 자본시장연구원 2019
25 정주영,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전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2016년 이후 현황 및 제도 개선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사학회 34 (34): 77-98, 2019
26 조현익, "골프 운동 참여의도 및 지속행동 예측을 위한 계획행동 이론의 적용" 한국체육학회 44 (44): 277-285, 2005
27 이현수,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예비체육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업지도행동의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3 (23): 825-835, 2014
28 조영아,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성인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 발현과정"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227-245, 2017
29 허진영, "계획행동 이론을 적용한 모험스포츠 참여의도와 지속행동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7 (17): 355-367, 2008
30 손영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사회인지적 행동 모델의 유용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언론학회 56 (56): 127-161, 2012
31 한수진,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보건증진 프로그램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32 Ajzen, I.,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Hall 1980
33 Godin, 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a review of its applications to health-related behaviors" 11 (11): 87-98, 1996
34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50): 179-211, 1991
35 Bonabeau, E., "The perils of the imitation age" 82 (82): 45-54, 2004
36 Dellarocas, C., "The digitization of word of mouth : Promise and challenges of online feedback mechanisms" 49 (49): 1407-1424, 2003
37 Zheng, H., "The Role of Multidimensional Social Capital in Crowdfunding: A Comparative Study in China and US" 51 (51): 488-496, 2014
38 Han, S. J., "The Effect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on Low-Income Children Us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PB)"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009
39 Park, H. J., "The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Securities-type Crowdfunding" Korea Capital Market Institute 2019
40 Lukkarinen, A., "Success drivers of online equity crowdfunding campaigns" 87 : 26-38, 2016
41 Fornell, C.,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 Algebra and statistics" 18 (18): 382-388, 1981
42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 1988
43 Knyazeva, A., "Soft and hard information and signal extraction in securities crowdfunding" 2017
44 Ahlers, G. K., "Signaling in equity crowdfunding" 39 (39): 955-980, 2015
45 Welch, I., "Sequential sales, learning, and cascades" 47 (47): 695-732, 1992
46 Li, X., "Self-selection and information role of online product reviews" 19 (19): 456-474, 2008
47 Ajzen, I., "Predic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22 (22): 453-474, 1986
48 Bayer, J. K., "Predicting intentions to seek help from professional mental health services" 31 (31): 504-513, 1997
49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Vol. 6)" Pearson Prentice Hall 2006
50 Simon, H. A., "Models of bounded rationality. vol. 2, Behavioral economics and business organization" MIT Press 1982
51 Shin, H. T., "Limit of Guardianship Protection for Crowdfunding Investors and Ways to Revitalize Funding Platform" 18 (18): 81-111, 2017
52 Li, X., "Informational cascades in IT adoption" 47 (47): 93-97, 2004
53 Duan, W., "Informational Cascades and Software Adoption on the Internet : An Empirical Investigation" 33 (33): 23-48, 2009
54 Klepper, R., "Informational Cascades and New Technology Acquisition in IT" 1 : 2002
55 Vismara, S., "Information cascades among investors in equity crowdfunding" 2016
56 Kim, Y. K., "Influence of Information Cascad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Blogging Intention" 15 (15): 89-107, 2005
57 Huang, J. H., "Herding in online product choice" 23 (23): 413-428, 2006
58 Bikhchandani, S., "Herd behavior in financial markets" 47 (47): 279-310, 2001
59 Lee, M. K., "Food Intake Behavior by Eating Inhibition, Pre-Food Intake, and Public Self-Employment" 6 (6): 209-233, 2001
60 Armitage, C. J., "Efficac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 A meta‐analytic review" 40 (40): 471-499, 2001
61 Chun, C. M., "Directions and Challenges of Securities Crowdfunding System" Capital Market Institute 2013
62 Korea Securities Depository, "Crowdnet Funding Success Status"
63 Guirado, C. E., "Beyond signed t-shirts: A socio-technological model of equity crowdfunding adoption" (2) : 137-172, 2018
64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65 임태윤, "B2B 온라인 情報서비스 持續利用意圖 形成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13
66 Dohmen, T., "Are risk aversion and impatience related to cognitive ability?" 100 (100): 1238-1260, 2010
67 Hausenblas, H. A., "Application of the theories of reasoned action and planned behavior to exercise behavior : A meta-analysis" 19 (19): 36-51, 1997
68 Cho, H. I., "Application of Planned Behavior Theory to Predict Golf Participation Intention and Sustainable Behavior" 44 (44): 277-285, 2005
69 Baddeley, M. C., "An introduction to prior information derived from probabilistic judgements: elicitation of knowledge, cognitive bias and herding" 239 (239): 15-27, 2004
70 배병렬,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 2017
71 Bae, B. R., "Amos 24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heongram 2017
72 Fu, W. W., "Aggregate bandwagon effect on online videos' viewership : Value uncertainty, popularity cues, and heuristics" 62 (62): 2382-2395, 2011
7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dministrative Survival Statistics as of 2018"
74 Ajzen, I., "Action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Springer 11-39, 1985
75 Sung, H. H., "A study on establishing a regulatory framework for equity investment crowdfunding" 14 (14): 391-421, 2013
76 Boudewyns, V., "A meta-analytical tes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raction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Maryland 2013
77 Madden, T. J., "A comparis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18 (18): 3-9, 1992
78 Bikhchandani, S., "A Theory of Fads, Fashion, Custom, and Cultural Change as Informational Cascades" 100 (100): 992-1026, 1992
79 Lim, T. Y., "A Study on the Use of B2B Online Personality Servic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13
80 Jung, J. Y.,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ecurities-type Crowdfunding-Focusing on the Status and Process of Improvements after 2016" 34 (34): 77-98, 2019
81 Lee, Y. S., "A Study on the Behaviors of Female Consumers with Preschool Childre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6
82 Son, Y. H., "A Study on Improvement of Securities-type Crowdfunding System" 19 (19): 141-191, 2018
83 Shin, Y. D.,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Achievement of Domestic Securities Crowdfunding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Number of Investors" 15 (15): 45-56, 2017
84 Banerjee, A. V., "A Simple Model of Herd Behavior" 107 (107): 797-817, 1992
85 통계청, "2018년 기준 기업생멸 행정통계 결과"
지역창업 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 애로 요인에 관한 연구
사용자의 혁신성 및 지식수준이 가상비서 기반 음성쇼핑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싱가포르 창업생태계 연구: Isenberg(2010) 프레임워크의 지역적 변용을 통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5 | 1.12 | 1.187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