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1995년 한해 동안에 발표된 국어 어휘론, 국어 의미론, 사전 편찬학에 관련되는 논저들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소개한다는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따라서 논저 하나하나에 대한 주관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637385
1996
Korean
710.7
학술저널
150-167(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1995년 한해 동안에 발표된 국어 어휘론, 국어 의미론, 사전 편찬학에 관련되는 논저들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소개한다는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따라서 논저 하나하나에 대한 주관적...
지금까지 1995년 한해 동안에 발표된 국어 어휘론, 국어 의미론, 사전 편찬학에 관련되는 논저들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소개한다는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따라서 논저 하나하나에 대한 주관적인 견해나 소감을 밝히는 것은 가급적 피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내용에 나타난 전반적인 특징을 정리함으로써 결론을 삼고자 한다.
첫째, 어휘론의 연구 동향은 여러 분야에 걸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된 가운데 낱말밭 이론을 적용하여 현대 국어 어휘의 체계를 구명하려는 노력이 1994년도에 이어 활발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사회언어학적인 측면에서 특수 집단어에 대한 관심이 주목된다. 외래어에 대한 논의가 일본어에 편중된 것도 하나의 특징이라 하겠다.
둘째, 의미론의 경우 의미 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한 반면, 어휘 의미론 분야에서 유의어․반의어․다의어․동음어 등 어휘의 의미 관계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통사 의미론 분야의 관심은 관용구 및 속담의 의미 파악과 유형화에 집중되어 있다.
셋째. 사전 편찬학에 대한 연구는 표제어 선정 문제에 대하여 방언, 파생접사, 형식명사, 동사․형용사의 활용 형태, 관용 표현, 반의어, 북한어 등의 다양한 주제들이 논의되었으며, 뜻풀이에 대해서는 기준과 원칙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고에서는 하위 영역을 설정한 것은 검토 대상으로 수집한 논저들의 내용을 바탕으로 분류한 것일 뿐이다. 필자가 의도한 목적이나 내용에 대한 오해로 인하여 다른 영역에서 언급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 1995년도의 국어 어휘론이나 국어 의미론, 사전 편찬학의 연구 동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논저 가운데 미처 살피지 못한 것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필자들의 너그러운 양해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