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치세대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4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lves into the correlation of the ideological propensity to the political generation in Korea. It differ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in two respects. First, a different criterion is employed in defining and grouping political generations, focusing upon the early political socialization ages between 16 and 20. The so-called, sweeping Democratization generation is re-categorized into two: the democratization realization generation (DRG) and the democratization striving generation. Second, the political generation’s ideological propensity is analyzed by differentiating a cohort effect, age effect, and period effect.
      One critical finding of the analysis is that the DRG is even more liberal than the younger generation. Another important finding is that the impact of the period effect vari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even within the same generation it appears differently from low to high educational levels. It is the DRG that shows the most drastic change affected by the period effect of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 in which the liberal inclination was prominently losing its ground. As for the DRG’s drastic change, age effects can provide a possible explanation. This generation’s life cycle, which is at the stage of high financial responsibilities, happens to coincide with the national economic decline, therefore the DRG is more susceptible to the period effect, as shown in the 2007 election. This is why within the DRG, the ones with a high school and lower educational level are more likely to show their against toward the poor economic performance of the previous liberal government.
      (keyword: political generation, ideological disposition, cohort effect, age effect, period effect)
      번역하기

      This study delves into the correlation of the ideological propensity to the political generation in Korea. It differ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in two respects. First, a different criterion is employed in defining and grouping political generations...

      This study delves into the correlation of the ideological propensity to the political generation in Korea. It differ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in two respects. First, a different criterion is employed in defining and grouping political generations, focusing upon the early political socialization ages between 16 and 20. The so-called, sweeping Democratization generation is re-categorized into two: the democratization realization generation (DRG) and the democratization striving generation. Second, the political generation’s ideological propensity is analyzed by differentiating a cohort effect, age effect, and period effect.
      One critical finding of the analysis is that the DRG is even more liberal than the younger generation. Another important finding is that the impact of the period effect vari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even within the same generation it appears differently from low to high educational levels. It is the DRG that shows the most drastic change affected by the period effect of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 in which the liberal inclination was prominently losing its ground. As for the DRG’s drastic change, age effects can provide a possible explanation. This generation’s life cycle, which is at the stage of high financial responsibilities, happens to coincide with the national economic decline, therefore the DRG is more susceptible to the period effect, as shown in the 2007 election. This is why within the DRG, the ones with a high school and lower educational level are more likely to show their against toward the poor economic performance of the previous liberal government.
      (keyword: political generation, ideological disposition, cohort effect, age effect, period eff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제16대 대선에서 주목된 세대와 이념의 중요성이 제17대 대선에서 급격히 약해진 현상은 세대와 이념의 관계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면밀한 재검토를 요한다. 기존의 세대 분석들은 정치세대의 이념성향에 대하여 코호트 효과와 연령효과, 기간효과를 구분할 수 없었던 점이 가장 큰 한계였다. 본 연구는 민주화 경험에 대한 청소년기의 초기 사회화 효과에 초점을 두고 민주화 투쟁세대와 민주화 성취세대를 구분하였으며, 세 차례의 대선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이념성향에 대한 이들 세 효과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정치세대의 이념성향에는 코호트효과, 연령효과, 기간효과가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주목되는 발견은 민주화 성취세대의 높은 정치참여 성향과 진보적인 특성이었다. 이들은 다른 어떤 정치세대보다 진보성향이 많았고 학력 간 동질적인 특성을 적어도 민주화 이후 15년이 지난 시점인 2002년까지 유지하였다. 그러나 제17대 대선에서 민주화 성취세대의 진보비율이 크게 줄어든 현상은, 비록 모든 정치세대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으로 기간 효과를 말해주는 것이지만, 그 영향력이 정치세대마다 다르고, 동일 정치세대 내에서도 학력 간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민주화 성취세대의 진보성은 정치사회화의 코호트 효과에 기인한 것이었지만, 그 지속성은 생애주기적인 요소와 사회 흐름의 시기적 요인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제16대 대선에서 주목된 세대와 이념의 중요성이 제17대 대선에서 급격히 약해진 현상은 세대와 이념의 관계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면밀한 재검토를 요한다. 기존의 세대 분석들은 정치...

      제16대 대선에서 주목된 세대와 이념의 중요성이 제17대 대선에서 급격히 약해진 현상은 세대와 이념의 관계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면밀한 재검토를 요한다. 기존의 세대 분석들은 정치세대의 이념성향에 대하여 코호트 효과와 연령효과, 기간효과를 구분할 수 없었던 점이 가장 큰 한계였다. 본 연구는 민주화 경험에 대한 청소년기의 초기 사회화 효과에 초점을 두고 민주화 투쟁세대와 민주화 성취세대를 구분하였으며, 세 차례의 대선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이념성향에 대한 이들 세 효과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정치세대의 이념성향에는 코호트효과, 연령효과, 기간효과가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주목되는 발견은 민주화 성취세대의 높은 정치참여 성향과 진보적인 특성이었다. 이들은 다른 어떤 정치세대보다 진보성향이 많았고 학력 간 동질적인 특성을 적어도 민주화 이후 15년이 지난 시점인 2002년까지 유지하였다. 그러나 제17대 대선에서 민주화 성취세대의 진보비율이 크게 줄어든 현상은, 비록 모든 정치세대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으로 기간 효과를 말해주는 것이지만, 그 영향력이 정치세대마다 다르고, 동일 정치세대 내에서도 학력 간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민주화 성취세대의 진보성은 정치사회화의 코호트 효과에 기인한 것이었지만, 그 지속성은 생애주기적인 요소와 사회 흐름의 시기적 요인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