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언약신학의 관점에서 본 웨슬리안 성결론 —한국 개신교의 개혁과 연합, 성숙을 위한 제안 = The Wesleyan View of Holiness from the Perspective of Covenant Theology — A Study for the Renewal, Reunion and Elevating Maturity of Korean Protestant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450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s John Wesley’s covenant theology: its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implications concerning entire sanctification. Wesley dealt with various concepts of covenants, dispensations, and types of the law, following the outline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1. Covenant of works (applying to Adam alone): moral law as norm, obedience as condition of fellowship with God. 2. Covenant of grace: moral law as norm, faith as condition of fellowship with God. Under covenant of grace: a. Mosaic dispensation: moral law as norm, faith in ceremonial mediation, leading to obedience of the letter, as condition of fellowship. b.
      Gospel dispensation: moral law as norm, faith in Christ-mediation — whose authenticity is attested by spiritual, loving obedience — as the condition of fellowship with God. Wesley taught salvific sufficiency of both Mosaic dispensation and Gospel dispensation, and that under Gospel dispensation, God gives not only more excellent revelation but also outpouring of the Holy Spirit for sanctification.
      In contrast, Reformed covenant theology supports double predestination, identifying the demands of the law with the continuity of covenant of works, and then applying covenant of works to the damned, and covenant of grace to the elect. It also denies the possibility of entire sanctification in this life, insisting that believers cannot satisfy the demands of covenant of works. It also insists that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as well as passive obedience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of both covenant of works and covenant of grace.
      Reformed covenant theology and Wesley’s covenant theolog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preserve the essence of the Reformation theology. So covenant theology can help dialogu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Reformed and the Wesleyan traditions.
      번역하기

      This article introduces John Wesley’s covenant theology: its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implications concerning entire sanctification. Wesley dealt with various concepts of covenants, dispensations, and types of the law, following th...

      This article introduces John Wesley’s covenant theology: its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implications concerning entire sanctification. Wesley dealt with various concepts of covenants, dispensations, and types of the law, following the outline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1. Covenant of works (applying to Adam alone): moral law as norm, obedience as condition of fellowship with God. 2. Covenant of grace: moral law as norm, faith as condition of fellowship with God. Under covenant of grace: a. Mosaic dispensation: moral law as norm, faith in ceremonial mediation, leading to obedience of the letter, as condition of fellowship. b.
      Gospel dispensation: moral law as norm, faith in Christ-mediation — whose authenticity is attested by spiritual, loving obedience — as the condition of fellowship with God. Wesley taught salvific sufficiency of both Mosaic dispensation and Gospel dispensation, and that under Gospel dispensation, God gives not only more excellent revelation but also outpouring of the Holy Spirit for sanctification.
      In contrast, Reformed covenant theology supports double predestination, identifying the demands of the law with the continuity of covenant of works, and then applying covenant of works to the damned, and covenant of grace to the elect. It also denies the possibility of entire sanctification in this life, insisting that believers cannot satisfy the demands of covenant of works. It also insists that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as well as passive obedience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of both covenant of works and covenant of grace.
      Reformed covenant theology and Wesley’s covenant theolog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preserve the essence of the Reformation theology. So covenant theology can help dialogu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Reformed and the Wesleyan trad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 잘 소개되지 않은 존 웨슬리의 언약신학을 소개하고, 그 구조와 특징, 무엇보다 성결론적 함의를 고찰하기 위한것이다. 웨슬리는 하나님께서 타락 전 아담과 행위언약을 맺으셨으나, 타락 후 인류와는 행위언약을 폐기하고 은혜언약을 맺으셨다고 가르쳤다.
      은혜언약 아래에서의 두 시대를 유대교 시대와 기독교 시대로 구분한후, 유대교 시대도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의 온전함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 받는 시대로 가르쳤다. 기독교 시대에 대해서는 유대교 시대보다더 뛰어난 계시와 성령의 능력 부으심을 통해 이 세상에서 성결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설명한다.
      이에 비해 개혁주의 언약신학은 하나님께서 타락 전 아담과 행위언약, 타락 후 인류와 은혜언약을 맺으셨다고 주장하면서도, 율법의 요구를행위언약의 지속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언약신학의 구조는 이중예정론을뒷받침한다. 유기된 자에게는 행위언약이 적용되며, 택자에게는 은혜언약이 적용된다는 것이다. 또 행위언약의 엄격한 요구를 충족하기 힘들다는 논리로 이 세상에서 성결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칭의는 은혜언약의요구인 그리스도의 속죄를 믿는 믿음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온전한 순종의 전가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개혁주의 언약신학과 웨슬리 언약신학의 차이가 두드러짐에도 두신학 모두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 얻는다는 종교개혁 신학의 본질을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언약신학은 두 전통 간 신뢰와 화합, 협력을가능케 하는 신학적 요소가 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 잘 소개되지 않은 존 웨슬리의 언약신학을 소개하고, 그 구조와 특징, 무엇보다 성결론적 함의를 고찰하기 위한것이다. 웨슬리는 하나님께서 타락 전 아담과 행...

      이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 잘 소개되지 않은 존 웨슬리의 언약신학을 소개하고, 그 구조와 특징, 무엇보다 성결론적 함의를 고찰하기 위한것이다. 웨슬리는 하나님께서 타락 전 아담과 행위언약을 맺으셨으나, 타락 후 인류와는 행위언약을 폐기하고 은혜언약을 맺으셨다고 가르쳤다.
      은혜언약 아래에서의 두 시대를 유대교 시대와 기독교 시대로 구분한후, 유대교 시대도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의 온전함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 받는 시대로 가르쳤다. 기독교 시대에 대해서는 유대교 시대보다더 뛰어난 계시와 성령의 능력 부으심을 통해 이 세상에서 성결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설명한다.
      이에 비해 개혁주의 언약신학은 하나님께서 타락 전 아담과 행위언약, 타락 후 인류와 은혜언약을 맺으셨다고 주장하면서도, 율법의 요구를행위언약의 지속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언약신학의 구조는 이중예정론을뒷받침한다. 유기된 자에게는 행위언약이 적용되며, 택자에게는 은혜언약이 적용된다는 것이다. 또 행위언약의 엄격한 요구를 충족하기 힘들다는 논리로 이 세상에서 성결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칭의는 은혜언약의요구인 그리스도의 속죄를 믿는 믿음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온전한 순종의 전가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개혁주의 언약신학과 웨슬리 언약신학의 차이가 두드러짐에도 두신학 모두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 얻는다는 종교개혁 신학의 본질을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언약신학은 두 전통 간 신뢰와 화합, 협력을가능케 하는 신학적 요소가 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더 핑크, "하나님의 언약"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2 피터 A. 릴백, "칼빈의 언약사상" CLC 2012

      3 우병훈, "칼빈과 바빙크에게 있어서 예정론과 언약론의 관계" 개혁신학회 26 : 297-331, 2013

      4 루이스 벌코프, "조직신학"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14

      5 황덕형, "웨슬리의 계약사상 이해" 2014

      6 Wesley, John, "웨슬리설교전집(총 7 권)" 대한기독교서회 2006

      7 김병훈,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언약신학" 32 (32): 325-345, 2014

      8 마이클 브라운, "언약신학으로의 초대" 부흥과개혁사 2016

      9 마이클 호튼, "언약신학" 부흥과 개혁사 2009

      10 서요한, "언약사상의 역사신학적 전통" 2 : 157-183, 1995

      1 아더 핑크, "하나님의 언약"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2 피터 A. 릴백, "칼빈의 언약사상" CLC 2012

      3 우병훈, "칼빈과 바빙크에게 있어서 예정론과 언약론의 관계" 개혁신학회 26 : 297-331, 2013

      4 루이스 벌코프, "조직신학"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14

      5 황덕형, "웨슬리의 계약사상 이해" 2014

      6 Wesley, John, "웨슬리설교전집(총 7 권)" 대한기독교서회 2006

      7 김병훈,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언약신학" 32 (32): 325-345, 2014

      8 마이클 브라운, "언약신학으로의 초대" 부흥과개혁사 2016

      9 마이클 호튼, "언약신학" 부흥과 개혁사 2009

      10 서요한, "언약사상의 역사신학적 전통" 2 : 157-183, 1995

      11 멜빈 디이터, "성화에 대한 다섯가지 견해"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1

      12 로버트 콜만, "새언약 : 그리스도의 보혈에 대한 탐구" 네비게이토 출판사 2002

      13 문병호, "기독론 :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생명의말씀사 2016

      14 E. W. 헹스텐베르크, "구약의 기독론"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08

      15 토마스 맥스미스키, "계약신학과 약속" 기독교문서선교회 1987

      16 팔머 로벗슨, "계약신학과 그리스도"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17 노창용, "계약과 인간의 응답에 관한 한 고찰" 4 : 68-94, 2000

      18 신호섭, "개혁주의 전가 교리" 지평서원 2016

      19 헤르만 바빙크, "개혁교의학" 부흥과 개혁사 2011

      20 장기영, "개신교 신학의 양대 흐름 : 루터 신학 vs 웨슬리 신학" 웨슬리르네상스 2019

      21 Deschner, John, "Wesley’s Christology : An Interpretation" Francis Asbury Press 1985

      22 Lindström, Harald, "Wesley and Sanctification : A Study in the Doctrine of Salvation" Abingdon Press 1946

      23 Outler, Albert C., "The Works of John Wesley, vols. 1-4" Abingdon 1984

      24 Wesley, John, "The Works of John Wesley" Abingdon Press 1975

      25 Starkey, Lycurgu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 A Study in Wesleyan Theology" Abingdon Press 1962

      26 Collins, Kenneth J, "The Theology of John Wesley : Holy Love and the Shape of Grace" Abingdon Press 2007

      27 Wesley, John, "The Letters of the Rev. John Wesley, A.M, 8 vols" Epworth Press 1931

      28 Rogers, Charles A., "The Concept of Prevenient Grace in the Theology of John Wesley" Duke University 1967

      29 McGonigle, Herbert. B, "Sufficient Saving Grace : John Wesley’s Evangelical Arminianism" Paternoster 2001

      30 Cox, Leo G, "John Wesley’s Concept of Perfection" Beacon Hill Press 1968

      31 Outler, Albert C, "John Wesley"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32 Rodes, Stanley J, "From Faith to Faith : John Wesley’s Covenent Theology and the Way of Salvation" Pickwick Publications 2013

      33 Dorman, Ted M., "Forgiveness of Past Sins: John Wesley on Justification: A Case Study Approach" 10 (10): 2001

      34 Wesley, John, "Explanatory Notes on the Old Testament"

      35 Wesley, John, "Explanatory Notes on the New Testament"

      36 Purkiser, W. T, "Conflicting Concepts of Holiness : Some Current Issues In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Beacon Hill Press 1953

      37 Mcneil, John. T., "Calvin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Westminster Press 1960

      38 Wesley, John, "A Plain Account of Christian Perfection" Hendrickson Publishers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5-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신학과선교 -> 신학과 선교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9-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목회선교연구소 -> 기독교신학연구소
      영문명 :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Christian Theology Institute Center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