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신호의 분리와 합성이 가능한 Diplexer를 제작하였다. 저역 통과 여파기와 고역 통과 여파기의 특성을 정합하여 Diplexer로 구현함으로써 신호의 분리와 합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79158
2000
Korean
569.4
학술저널
109-11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신호의 분리와 합성이 가능한 Diplexer를 제작하였다. 저역 통과 여파기와 고역 통과 여파기의 특성을 정합하여 Diplexer로 구현함으로써 신호의 분리와 합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
본 논문에서는 신호의 분리와 합성이 가능한 Diplexer를 제작하였다. 저역 통과 여파기와 고역 통과 여파기의 특성을 정합하여 Diplexer로 구현함으로써 신호의 분리와 합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신호의 분리와 합성의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제 마이크로스트립구조의 Diplexer를 제작, 측정한 결과 각각의 통과 대역폭 내에서 0.4dB, 0.8dB이내의 삽입손실과 -20dB의 반사손실이 됨을 실험결과를 통해 알수 있었고 또한, 인덕터의 구현 방법을 마이크로스트립으로 하여 주파수 특성과 재현성을 높였다.
Stainless Steel Stent에 Pyrolytic Carbon과 SiC의 촉매적 CVD-Kinetic 연구
소수성 NaY Zeolite의 합성과 탈알루미나의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