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주운전자 대상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 The Study on Effect of a Brief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DW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4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drunk driving fatalities is slowly declining, but socioeconomic costs of drunk driving accident is still high in Korean societ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Canada, Australia, and etc., have been operating and systemizing Driving While Intoxication(DWI) rehabilitation or specific counselling programs to prevent drunk driving a long time ago.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DWI counselling program using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theory, and a REBT (R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Therapy) theory, and evaluated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present DWI counselling program was a 2-hour program and consisted of drunk-driving attitude change, drinking refusal training and stress management. Especially, the effects of DWI counselling program were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typical education program to certain the effects of counselling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ward drunk driving, and drunk driving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program session.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compared to the pre-program session except drivers’ attitude in the educational program.
      The future research needs to consider adapting a double-blind experimental design for both of experimenter and participants not to know the aim of experiment because demand characteristics was not fully exclude in this study.
      번역하기

      Recently, the drunk driving fatalities is slowly declining, but socioeconomic costs of drunk driving accident is still high in Korean societ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Canada, Australia, and etc., have been operating and systemizing Driving Wh...

      Recently, the drunk driving fatalities is slowly declining, but socioeconomic costs of drunk driving accident is still high in Korean societ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Canada, Australia, and etc., have been operating and systemizing Driving While Intoxication(DWI) rehabilitation or specific counselling programs to prevent drunk driving a long time ago.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DWI counselling program using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theory, and a REBT (R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Therapy) theory, and evaluated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present DWI counselling program was a 2-hour program and consisted of drunk-driving attitude change, drinking refusal training and stress management. Especially, the effects of DWI counselling program were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typical education program to certain the effects of counselling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ward drunk driving, and drunk driving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program session.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compared to the pre-program session except drivers’ attitude in the educational program.
      The future research needs to consider adapting a double-blind experimental design for both of experimenter and participants not to know the aim of experiment because demand characteristics was not fully exclude in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의 음주운전 사망자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음주운전 사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과 같은 선진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음주운전자를 대상으로 재활 프로그램이나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음주운전 재발 방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 이론, 음주거절 자기효능성 이론, REBT(R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Therapy) 이론을 사용하여 단기 음주운전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총 2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주운전 태도 변화, 음주 거절 훈련 및 스트레스 관리가 포함되었다. 특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여부를 명확히 알아보기 위하여 음주운전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와 강의식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대상자들에서는 음주운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력 지각 및 음주 운전 의도가 상담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교육 대상자들에서는 태도 이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 요구특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 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실험자와 참가자 모두가 실험 목적에 대해 알지 못하게 하는 이중 은폐 실험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최근, 국내의 음주운전 사망자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음주운전 사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과 같은 선진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

      최근, 국내의 음주운전 사망자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음주운전 사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과 같은 선진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음주운전자를 대상으로 재활 프로그램이나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음주운전 재발 방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 이론, 음주거절 자기효능성 이론, REBT(R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Therapy) 이론을 사용하여 단기 음주운전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총 2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주운전 태도 변화, 음주 거절 훈련 및 스트레스 관리가 포함되었다. 특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여부를 명확히 알아보기 위하여 음주운전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와 강의식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대상자들에서는 음주운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력 지각 및 음주 운전 의도가 상담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교육 대상자들에서는 태도 이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 요구특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 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실험자와 참가자 모두가 실험 목적에 대해 알지 못하게 하는 이중 은폐 실험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용균, "음주운전자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연구" 29 : 21-32, 2010

      2 신용균,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28 : 25-36, 2009

      3 신용균,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결정요인" 도로교통공단 2008

      4 박은경, "음주운전 수강명령교육 대상자들의 변화동기와 변화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5 이건호, "상습음주운전자 심화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2010

      6 한덕웅,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한 음주운전 행동의 설명" 15 (15): 141-158, 2001

      7 도로교통공단, "‘12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와 평가" 2013

      8 Baldwin, A. R., "To Drink or not to Drink: The Differential Role of Alcohol Expectanci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in Quantity and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17 : 511-530, 1993

      9 Lee, N. K., "The Importance of Alcohol Expectanci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in the Quantity and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5 : 379-390, 1993

      10 Oei, T. P. S., "Social Skills and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Problem Drinking" 43 (43): 532-547, 1982

      1 신용균, "음주운전자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연구" 29 : 21-32, 2010

      2 신용균,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28 : 25-36, 2009

      3 신용균,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결정요인" 도로교통공단 2008

      4 박은경, "음주운전 수강명령교육 대상자들의 변화동기와 변화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5 이건호, "상습음주운전자 심화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2010

      6 한덕웅,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한 음주운전 행동의 설명" 15 (15): 141-158, 2001

      7 도로교통공단, "‘12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와 평가" 2013

      8 Baldwin, A. R., "To Drink or not to Drink: The Differential Role of Alcohol Expectanci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in Quantity and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17 : 511-530, 1993

      9 Lee, N. K., "The Importance of Alcohol Expectanci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in the Quantity and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5 : 379-390, 1993

      10 Oei, T. P. S., "Social Skills and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Problem Drinking" 43 (43): 532-547, 1982

      11 Burling, T. A., "Self-Efficacy and Relapse among Inpatient Drug and Alcohol Abusers: A Predictor of Outcome" 50 : 354-360, 1989

      12 Ellis, A., "Psychotherapy Techniques for Use with Psychotic" 9 : 452-476, 1955

      13 Wells-Parker, E., "Final Results from a Meta-Analysis of Remedial Interventions with Drink/Drive Offenders" 90 : 907-926, 1995

      14 Hong, I. K., "Development of a Driving Simulator for Virtual Experience and Education on Drunk Driving" 139-148, 2011

      15 Vogel-Sprott, M., "Defining "Light" and "Heavy" Social Drinking: Research Implications and Hypotheses" 35 : 1388-1392, 1974

      16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Wiley 1975

      17 Ajzen, I.,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Springer-Berlag 1985

      18 Heather, N., "A Comparison of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s of Alcohol Dependence as Predictors of Relapse Following Treatment" 22 : 11-17,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