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활동참여 특성 분석 연구 - 투어발생 행태를 중심으로 - = Exploring Characteristics on Activity Participation: Focused on Tour Generation Behavi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40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tivity-based approach to travel demand analysis has been motivated by the recognition that individual trips are derived from the desire to pursue activities distributed in time and space during daily life. Thu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it is useful to examine the activity participation patterns from which the travel derives. This study conducts a tour based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ctivity participation behavior from leaving home until returning to home. The study results indicate individuals show different behaviors in generating activity tours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aged population and one-person households tend to increase home-based tour frequency, which enables us to expect them to increase trip rates under the same number of out-of-home activities. Married career women try to decrease home-based tour frequency with high intermediate-stops during work tour, whereas husbands in dual income households tend to increase home-based tour frequency, implying the tendency of sharing household maintenance activity.
      번역하기

      The activity-based approach to travel demand analysis has been motivated by the recognition that individual trips are derived from the desire to pursue activities distributed in time and space during daily life. Thu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

      The activity-based approach to travel demand analysis has been motivated by the recognition that individual trips are derived from the desire to pursue activities distributed in time and space during daily life. Thu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it is useful to examine the activity participation patterns from which the travel derives. This study conducts a tour based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ctivity participation behavior from leaving home until returning to home. The study results indicate individuals show different behaviors in generating activity tours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aged population and one-person households tend to increase home-based tour frequency, which enables us to expect them to increase trip rates under the same number of out-of-home activities. Married career women try to decrease home-based tour frequency with high intermediate-stops during work tour, whereas husbands in dual income households tend to increase home-based tour frequency, implying the tendency of sharing household maintenance activ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통행은 시·공간적으로 분산되어 발생하는 일상적 활동 참여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겨나는 파생수요이다. 따라서 통행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통행을 통해 참여하고자 하는 활동들을 대상으로 활동참여 패턴을 분석하는 접근법이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을 기반으로 집에서 출발하여 다시 집으로 귀가하기까지의 활동묶음을 하나의 분석단위로 하는 투어기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은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경제 특성에 따라 평일 하루 동안 활동투어를 생성하는 행태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격한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는 고령자와 1인가구는 동일한 외부활동횟수를 수행할 때 가정을 중심으로 귀가와 외출을 반복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은 직장활동에 참여하여 가정기반 투어빈도를 낮추고 직장투어에서 중간 스톱을 늘리고 있는 반면, 가구주인 남성은 비맞벌이인 경우에 비해 맞벌이인 경우 투어발생이 다소 증가하여 가구유지활동 분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통행은 시·공간적으로 분산되어 발생하는 일상적 활동 참여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겨나는 파생수요이다. 따라서 통행특성을 보�...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통행은 시·공간적으로 분산되어 발생하는 일상적 활동 참여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겨나는 파생수요이다. 따라서 통행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통행을 통해 참여하고자 하는 활동들을 대상으로 활동참여 패턴을 분석하는 접근법이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을 기반으로 집에서 출발하여 다시 집으로 귀가하기까지의 활동묶음을 하나의 분석단위로 하는 투어기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은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경제 특성에 따라 평일 하루 동안 활동투어를 생성하는 행태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격한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는 고령자와 1인가구는 동일한 외부활동횟수를 수행할 때 가정을 중심으로 귀가와 외출을 반복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은 직장활동에 참여하여 가정기반 투어빈도를 낮추고 직장투어에서 중간 스톱을 늘리고 있는 반면, 가구주인 남성은 비맞벌이인 경우에 비해 맞벌이인 경우 투어발생이 다소 증가하여 가구유지활동 분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창현, "활동기반 접근법에 의한 활동패턴의 맥락적 정보분석과 프로파일" 대한교통학회 25 (25): 171-183, 2007

      2 빈미영, "통행사슬유형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8 (28): 7-19, 2011

      3 추상호, "통행사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6 (26): 87-97, 2008

      4 김희경, "장래 인구 · 가구구조변화에 따른 통행행태 특성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13

      5 김희경, "가족변화 관련 국토교통정책의 향후과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2

      6 Hägerstrand, T., "What About People in Regional Scienc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4 : 7-21, 1970

      7 Strathman, J. G., "Understanding Trip Chaining" FHWA,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995

      8 Hensher, D. A., "Trip Chaining as a Barrier to the Propensity to Use Public Transport" 27 : 341-361, 2000

      9 Golob, T. F., "The Trip Chaining Activity of Sydney Residents: A Cross-section Assessment by Age Group with a Focus on Seniors" 15 : 298-312, 2007

      10 Rindt, Craig, "The Tractability and Performance of Microsimulating Human Activity for Transportation Systems Analysis" University of California 2003

      1 조창현, "활동기반 접근법에 의한 활동패턴의 맥락적 정보분석과 프로파일" 대한교통학회 25 (25): 171-183, 2007

      2 빈미영, "통행사슬유형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8 (28): 7-19, 2011

      3 추상호, "통행사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6 (26): 87-97, 2008

      4 김희경, "장래 인구 · 가구구조변화에 따른 통행행태 특성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13

      5 김희경, "가족변화 관련 국토교통정책의 향후과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2

      6 Hägerstrand, T., "What About People in Regional Scienc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4 : 7-21, 1970

      7 Strathman, J. G., "Understanding Trip Chaining" FHWA,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995

      8 Hensher, D. A., "Trip Chaining as a Barrier to the Propensity to Use Public Transport" 27 : 341-361, 2000

      9 Golob, T. F., "The Trip Chaining Activity of Sydney Residents: A Cross-section Assessment by Age Group with a Focus on Seniors" 15 : 298-312, 2007

      10 Rindt, Craig, "The Tractability and Performance of Microsimulating Human Activity for Transportation Systems Analysis" University of California 2003

      11 McNally, M. G., "The Activity-based Approach" University of California,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2000

      12 Washington, S. P.,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Second Edition" Chapman and Hall/CRC 2010

      13 Hausman, J., "Specifying and Testing Econometric Models for Rank Ordered Data with an Application to the Demand for Mobile and Portable Telephones" University of California, Department of Economics 1986

      14 Mohammadian, K., "Senior Travelers' Trip Chaining Behavior: Survey Results and Data Analysis" University of Illinois 2011

      15 Ettema, D., "SMASH (Simulation Model of Activity Scheduling Heuristics):Some Simulations" 1551 : 88-94, 1996

      16 Lee, Y., "Household Type and Structure, Time-use Pattern, and Trip-chaining Behavior" 41A (41A): 1004-1020, 2007

      17 Garling, T., "Household Activity Scheduling" 4 : 235-248, 1989

      18 McFadden, D., "Frontiers in Econometrics" Academic Press 1973

      19 Currie, G., "Exploring the Trip Chaining Behavior of Public Transport User in Melbourne" 18 : 204-210, 2011

      20 Green W. H, "Econometric Analysis, 5nd ed." Prentice Hall 2003

      21 Garling, T., "Computational-process Modeling of Household Activity Scheduling" 28B (28B): 355-364, 1994

      22 Arentze, T.A., "ALBATROSS- A Learning-Based Transportation Oriented Simulation System" European Institute of Retailing and Services Studies 152-168, 2000

      23 Zavoina, "A Statistical Model for the Analysis of Ordinal Level Dependent Variables" 103-120, 1975

      24 Recker, W. W., "A Model of Complex Travel Behavior: Part II- an Operational Model" 20A (20A): 319-330, 1986

      25 통계청, "2009년 생활시간조사(2차) 지침서"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