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독일의 인권보장기관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11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2001년에 창설된 독일인권연구소는 파리원칙에 따른 독일 내 국가적 인권보장기구로서 이른바 ‘연구소유형’을 채택한 결과로 개별 진정사건이 접수․처리되지 않는 등 광범위한 정보수집 및 조사권한이 결여됨에도 불구하고, 독일과 국제사회에서 발생하는 여러 인권현안에 대해서 입장, 보도자료 및 연구보고서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활동해 왔다. 또한 인권연구소는 비정부기구로서 그 독립성이 철저히 확보되는 가운데 비교적 소규모의 제한된 인력을 통해 대단히 효율적으로 활동해왔다.
      또한 독일 내 다른 인권기구들과의 유기적인 공조협력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인권문제에 관한 인권연구소의 입장은 연방의회와 연방정부 등 여러 국가기관들로부터 적극 수용되어 왔다. 여느 국가에서와 마찬가지로 독일에서도 인권은 권력을 행사하는 정부의 측면에서 볼 때 여전히 불편한 화두이고, 인권연구소와 같은 인권보장기구는 부담스러운 존재이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권연구소를 중심으로 인권을 다루는 여러 주체들 간의 대화와 수용 그리고 공조협력이 국가적 차원에서의 인권보장에 필수적임을 독일의 사례가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인권연구소의 설치배경, 지위, 조직, 권한 및 활동을 세부적으로 다룬다.
      번역하기

      지난 2001년에 창설된 독일인권연구소는 파리원칙에 따른 독일 내 국가적 인권보장기구로서 이른바 ‘연구소유형’을 채택한 결과로 개별 진정사건이 접수․처리되지 않는 등 광범위한 정...

      지난 2001년에 창설된 독일인권연구소는 파리원칙에 따른 독일 내 국가적 인권보장기구로서 이른바 ‘연구소유형’을 채택한 결과로 개별 진정사건이 접수․처리되지 않는 등 광범위한 정보수집 및 조사권한이 결여됨에도 불구하고, 독일과 국제사회에서 발생하는 여러 인권현안에 대해서 입장, 보도자료 및 연구보고서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활동해 왔다. 또한 인권연구소는 비정부기구로서 그 독립성이 철저히 확보되는 가운데 비교적 소규모의 제한된 인력을 통해 대단히 효율적으로 활동해왔다.
      또한 독일 내 다른 인권기구들과의 유기적인 공조협력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인권문제에 관한 인권연구소의 입장은 연방의회와 연방정부 등 여러 국가기관들로부터 적극 수용되어 왔다. 여느 국가에서와 마찬가지로 독일에서도 인권은 권력을 행사하는 정부의 측면에서 볼 때 여전히 불편한 화두이고, 인권연구소와 같은 인권보장기구는 부담스러운 존재이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권연구소를 중심으로 인권을 다루는 여러 주체들 간의 대화와 수용 그리고 공조협력이 국가적 차원에서의 인권보장에 필수적임을 독일의 사례가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인권연구소의 설치배경, 지위, 조직, 권한 및 활동을 세부적으로 다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 vergangenen Jahr 2001 wurde 'Deutsches Institut fü Menschenrechte' als innerdeutsche nationale Menschenrechtsinstitution nach Pariser Prinzipien gegrüdet.
      Trotz fehlender Berechtigung zur umfangreichen Informationssammlung und Ermittlung infolge seiner Wahl des sogenannten „nstitutionstyps„ als nationale Menschenrechtsinstitution, das Deutsche Institut fü Menschenrechte hat sich durch Stellungnahme, Pressemitteilung und Berichte aktiv fü verschiedene laufende Menschenrechtsfrage innerhalb und außerhalb Deutschlands engagiert.
      Mittlerweile hat es mit relativ kleinem eingeschräkten Personal sehr effektiv geargeitet, indem ihm als Nichtregierungsorganisation die Unabhägigkeit gäzlich eingerämt wurde.
      Die Kooperation mit anderen Menschenrechtsorganisationenen in Deutschland ist gut aufgebaut und seine Stellung üer die Menschenrechtsfrage wurde in verschiedene staatliche Organe wie Bundestag und Bundesregierung aktiv aufgenommen, In diesem Aufsatz werden Grüdungshintergrund, Position, Aufbau und Täigkeiten des Deutschen Instituts fü Menschenrechte eingehend behandelt.
      번역하기

      Im vergangenen Jahr 2001 wurde 'Deutsches Institut fü Menschenrechte' als innerdeutsche nationale Menschenrechtsinstitution nach Pariser Prinzipien gegrüdet. Trotz fehlender Berechtigung zur umfangreichen Informationssammlung und Ermittlung infolge...

      Im vergangenen Jahr 2001 wurde 'Deutsches Institut fü Menschenrechte' als innerdeutsche nationale Menschenrechtsinstitution nach Pariser Prinzipien gegrüdet.
      Trotz fehlender Berechtigung zur umfangreichen Informationssammlung und Ermittlung infolge seiner Wahl des sogenannten „nstitutionstyps„ als nationale Menschenrechtsinstitution, das Deutsche Institut fü Menschenrechte hat sich durch Stellungnahme, Pressemitteilung und Berichte aktiv fü verschiedene laufende Menschenrechtsfrage innerhalb und außerhalb Deutschlands engagiert.
      Mittlerweile hat es mit relativ kleinem eingeschräkten Personal sehr effektiv geargeitet, indem ihm als Nichtregierungsorganisation die Unabhägigkeit gäzlich eingerämt wurde.
      Die Kooperation mit anderen Menschenrechtsorganisationenen in Deutschland ist gut aufgebaut und seine Stellung üer die Menschenrechtsfrage wurde in verschiedene staatliche Organe wie Bundestag und Bundesregierung aktiv aufgenommen, In diesem Aufsatz werden Grüdungshintergrund, Position, Aufbau und Täigkeiten des Deutschen Instituts fü Menschenrechte eingehend behandel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인권연구소의 설치배경
      • Ⅲ. 인권연구소의 지위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인권연구소의 설치배경
      • Ⅲ. 인권연구소의 지위
      • Ⅳ. 인권연구소의 조직
      • 1. 회원총회(Mitgliederversammlung)
      • 2. 이사회(Kuratorium)
      • 3. 집행부(Vorstand)
      • Ⅴ. 인권연구소의 설립목적, 과제 및 권한
      • 1. 정보수집과 데이터베이스화22)
      • 2. 연구23)
      • 3. 정책자문24)
      • 4. 국내에서의 인권관련 교육사업25)
      • 5. 국제적인 공조협력26)
      • 6. 독일 내 대화와 공조협력의 촉진27)
      • 7. UN장애인권리협약 모니터링28)
      • Ⅵ. 인권연구소의 재정 및 재정지원29)
      • Ⅶ. 인권연구소의 최근 활동
      • Ⅷ. 맺는 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수, "이른바 ‘공동정부(구성)계약’의 헌법적 검토" 33-, 1999

      2 국가인권위원회, "세계 주요 국가인권기구 현황집" 2005

      3 "독일정보보호수임관"

      4 "독일인권연구소"

      5 "독일병사수임관"

      6 H. Bielefeldt, "Zur Funktion Nationaler Menschenrechtsinstitution-Erfarung aus Deutschland"

      7 Maunz, "Grundgesetz-Kommentar" C. H. Beck

      8 V. Aichele, "Die Nationale Menschenrechtsinstitution-Eine Einführung, 2. Aufl" 2009

      1 이종수, "이른바 ‘공동정부(구성)계약’의 헌법적 검토" 33-, 1999

      2 국가인권위원회, "세계 주요 국가인권기구 현황집" 2005

      3 "독일정보보호수임관"

      4 "독일인권연구소"

      5 "독일병사수임관"

      6 H. Bielefeldt, "Zur Funktion Nationaler Menschenrechtsinstitution-Erfarung aus Deutschland"

      7 Maunz, "Grundgesetz-Kommentar" C. H. Beck

      8 V. Aichele, "Die Nationale Menschenrechtsinstitution-Eine Einführung, 2. Aufl"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7 0.69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