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지 청년 김익상의 삶과 의열 투쟁 = Young Kim, Ik-sang’s Life and Heroic Struggl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조선총독부 폭탄의거’와 일본 육군대신 田中義一을 처단코자 한 ‘상해 황포탄 의거’ 두 차례에 걸친 김익상의 의열투쟁은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통쾌한 의거였다. 김익상은 의열투쟁의 화신이요,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전해져오고 있다. 그러나 의열단과 관련된 인물들의 기억과 전해오는 이야기의 기록 차이로 인해 김익상의 의열투쟁 내용은 과장된 무용담처럼 느껴져 왔고 여러 설이 전해져오고 있다.
      한국에서 고단한 삶을 이어가던 식민지 청년 김익상은 중국으로 건너가 북경에서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1년 조선총독부 청사에 폭탄 3발을 터뜨려 청사 일부를 파괴시켰으나 일제는 폭탄을 던진 이가 누구인지 전혀 감지하지 못한 채 사건은 종결되었다. 이어 1922년에 상해 황포탄 부두에서 오성륜 ․ 이종암과 함께 일본 육군대장 田中義一에게 권총을 발사하고 폭탄을 던지는 의열투쟁을 감행하였다. 2번째 의거에서 그는 체포되고 말았다. 심문과정에서 김익상은 자신이 총독부 폭탄의거의 주인공임을 당당히 밝히고 재판과정에서 대한 남아의 의연한 기개와 굴복하지 않은 저항 정신을 보여주었다. 일본감옥에서 20년을 복역하고 고국으로 돌아왔으나 그는 행방불명되고 말았다.
      본 연구는 김익상에 대해 전해오는 사료 내용을 비판하여 분석해 보고, 그의 사망과 관련하여 여전히 확인되지 않고 의문으로 남아있는 부분을 추적해 보았다. 그리하여 이제까지 알려진 내용들을 재정리하여 김익상 의사의 전 생애를 새롭게 조망해 보았다.
      번역하기

      ‘조선총독부 폭탄의거’와 일본 육군대신 田中義一을 처단코자 한 ‘상해 황포탄 의거’ 두 차례에 걸친 김익상의 의열투쟁은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통쾌한 의거였다. 김익상은 의열...

      ‘조선총독부 폭탄의거’와 일본 육군대신 田中義一을 처단코자 한 ‘상해 황포탄 의거’ 두 차례에 걸친 김익상의 의열투쟁은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통쾌한 의거였다. 김익상은 의열투쟁의 화신이요,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전해져오고 있다. 그러나 의열단과 관련된 인물들의 기억과 전해오는 이야기의 기록 차이로 인해 김익상의 의열투쟁 내용은 과장된 무용담처럼 느껴져 왔고 여러 설이 전해져오고 있다.
      한국에서 고단한 삶을 이어가던 식민지 청년 김익상은 중국으로 건너가 북경에서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1년 조선총독부 청사에 폭탄 3발을 터뜨려 청사 일부를 파괴시켰으나 일제는 폭탄을 던진 이가 누구인지 전혀 감지하지 못한 채 사건은 종결되었다. 이어 1922년에 상해 황포탄 부두에서 오성륜 ․ 이종암과 함께 일본 육군대장 田中義一에게 권총을 발사하고 폭탄을 던지는 의열투쟁을 감행하였다. 2번째 의거에서 그는 체포되고 말았다. 심문과정에서 김익상은 자신이 총독부 폭탄의거의 주인공임을 당당히 밝히고 재판과정에서 대한 남아의 의연한 기개와 굴복하지 않은 저항 정신을 보여주었다. 일본감옥에서 20년을 복역하고 고국으로 돌아왔으나 그는 행방불명되고 말았다.
      본 연구는 김익상에 대해 전해오는 사료 내용을 비판하여 분석해 보고, 그의 사망과 관련하여 여전히 확인되지 않고 의문으로 남아있는 부분을 추적해 보았다. 그리하여 이제까지 알려진 내용들을 재정리하여 김익상 의사의 전 생애를 새롭게 조망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bumb deed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the Japanese army Commander-in-Chief Danaka Kyichi(田中義一) one wishes to punish ‘The bumb deed of Huangputan(黃浦灘)’ of Kim, Ik-sang over twice Heroic struggle was under a thrilling and cool to chat in Japanese. Kim, Ik-sang became the incarnation of Heroic struggle, became a symbol of resistance to colonial rule. However, due to differences in recording memories and stories of the characters associated with Ui’yeoldan(義烈團), Kim, Ik-sang has been handed down as various participating Heroic struggle exaggerated saga is coming to tell the story about the incident he performed.
      Following an exhausting life, youth colonies Kim, Ik-sang his way to China from Korea have joined the Ui’yeoldan in Beijing. Three to set off a bomb i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1921 the building was destroyed the building part. However, Japanese imperialism has not detected no idea who it is literally threw the bomb case was concluded. Following in Shanghai Huangputan(黃浦灘) shells in 1922, He fired the pistol and throw a bomb to the Japanese Army Commander-in-Chief Danaka gyichi with O Sung-ryoun and Lee Joung–am. In the second, he fell under arrested. In the interrogation process Kim, Ik-sang showed the spirit of resistance that they do not succumb to the backbone of the remaining resolute in the course of a trial for saying openly that the hero of the Government-General pursuant bomb. After serving 20 years in a Japanese prison he was returned to Korea. But he was missing.
      This study was analyzed by criticizing the feed content comes through for Kim, Ik-sang, and performed to track a new remaining portion still in question is not confirmed with respect to their death. Thus, by reorganizing the information known so far to investigate it overlooks the entire life of the newly Kim, Ik-sang.
      번역하기

      The bumb deed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the Japanese army Commander-in-Chief Danaka Kyichi(田中義一) one wishes to punish ‘The bumb deed of Huangputan(黃浦灘)’ of Kim, Ik-sang over twice Heroic struggle was under a thrilling a...

      The bumb deed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the Japanese army Commander-in-Chief Danaka Kyichi(田中義一) one wishes to punish ‘The bumb deed of Huangputan(黃浦灘)’ of Kim, Ik-sang over twice Heroic struggle was under a thrilling and cool to chat in Japanese. Kim, Ik-sang became the incarnation of Heroic struggle, became a symbol of resistance to colonial rule. However, due to differences in recording memories and stories of the characters associated with Ui’yeoldan(義烈團), Kim, Ik-sang has been handed down as various participating Heroic struggle exaggerated saga is coming to tell the story about the incident he performed.
      Following an exhausting life, youth colonies Kim, Ik-sang his way to China from Korea have joined the Ui’yeoldan in Beijing. Three to set off a bomb i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1921 the building was destroyed the building part. However, Japanese imperialism has not detected no idea who it is literally threw the bomb case was concluded. Following in Shanghai Huangputan(黃浦灘) shells in 1922, He fired the pistol and throw a bomb to the Japanese Army Commander-in-Chief Danaka gyichi with O Sung-ryoun and Lee Joung–am. In the second, he fell under arrested. In the interrogation process Kim, Ik-sang showed the spirit of resistance that they do not succumb to the backbone of the remaining resolute in the course of a trial for saying openly that the hero of the Government-General pursuant bomb. After serving 20 years in a Japanese prison he was returned to Korea. But he was missing.
      This study was analyzed by criticizing the feed content comes through for Kim, Ik-sang, and performed to track a new remaining portion still in question is not confirmed with respect to their death. Thus, by reorganizing the information known so far to investigate it overlooks the entire life of the newly Kim, Ik-sa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김익상의 청년시절
      • 3. 김익상의 의열투쟁
      • 4. 김익상의 法廷 鬪爭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김익상의 청년시절
      • 3. 김익상의 의열투쟁
      • 4. 김익상의 法廷 鬪爭
      • 5.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영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趙東杰, "李奉昌義擧의 歷史性과 現在性"

      2 김영범, "혁명과 의열-한국독립운동의 내면-" 경인문화사 2010

      3 김용달, "한국독립운동의 인물과 노선" 도서출판 한울 2004

      4 김영범,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6-의열투쟁Ⅰ"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자료 20권(臨政篇 Ⅴ" 上海共同租界工務局警

      6 석원화, "중국 언론 신보에 그려진 한국근현대사" 역사공간 2011

      7 송건호, "의열단" 창작과 비평사 1985

      8 朝鮮의 現實 연구실, "여러분 아심니까"

      9 金昌洙, "민족운동으로서의 의열단의 활동"

      10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류자명 수기-한 혁명자의 회억록"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9

      1 趙東杰, "李奉昌義擧의 歷史性과 現在性"

      2 김영범, "혁명과 의열-한국독립운동의 내면-" 경인문화사 2010

      3 김용달, "한국독립운동의 인물과 노선" 도서출판 한울 2004

      4 김영범,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6-의열투쟁Ⅰ"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자료 20권(臨政篇 Ⅴ" 上海共同租界工務局警

      6 석원화, "중국 언론 신보에 그려진 한국근현대사" 역사공간 2011

      7 송건호, "의열단" 창작과 비평사 1985

      8 朝鮮의 現實 연구실, "여러분 아심니까"

      9 金昌洙, "민족운동으로서의 의열단의 활동"

      10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류자명 수기-한 혁명자의 회억록"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9

      11 님웨일즈, "동녘" 2008

      12 김용달, "김익상의 생애와 의열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8) : 87-111, 2011

      13 宋相燾, "騎驢隨筆" 國史編纂委員會 1974

      14 국사편찬위원회, "韓國獨立黨員 朴景淳사건"

      15 이강훈, "靑史에 빛난 순국선열들" 歷史編纂會 1990

      16 柳光烈, "記者半世紀" 瑞文堂 1969

      17 朴泰遠, "若山과 義烈團" 白楊堂 1947

      1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獨立運動史資料集 11(의열투쟁사자료집)" 高麗書林 1976

      19 "獨立新聞"

      20 滿鐵調査課調製, "滿鐵の現況"

      21 "每日申報"

      22 "東亞日報"

      23 朝鮮總督府, "朝鮮鐵道旅行便覽"

      24 "朝鮮中央日報"

      25 臼井勝美, "日本近現代人名辭典" 吉田弘文館 2001

      26 山川出版社, "日本外交史辭典" 1992

      27 金昌洙, "抗日獨立運動史에서의 義烈鬪爭의 性格 – 義烈團의 組織과 活動을 中心으로" 숙명여자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 : 1992

      28 "務處 韓人獨立運動關係文書, 11"

      29 朝鮮總督府, "京義線"

      30 李康勳, "わが抗日獨立運動史" 三一書房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1.4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