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디어 정책 결정 과정의 정책 논리와 현실 정합성 분석 = 지상파 방송시간 자율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20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 제기
      • 2. 미디어 정책 결정 과정과 담론 경합
      • 3. 지상파 방송시간 확대 관련 정책 논쟁과 정책 논리
      • 4. 방송시간 자율화 정책 결정 논리의 현실 정합성 분석
      • 5. 결론: 방송시간 자율화 정책 결정 과정의 함의
      • 1. 문제 제기
      • 2. 미디어 정책 결정 과정과 담론 경합
      • 3. 지상파 방송시간 확대 관련 정책 논쟁과 정책 논리
      • 4. 방송시간 자율화 정책 결정 논리의 현실 정합성 분석
      • 5. 결론: 방송시간 자율화 정책 결정 과정의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형일, "한국의 공영방송은 어떠한 공익을 실천하고 있는가? : 2003년∼2012년 KBS 편성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4

      2 방송과 기술, "한국방송협회, 지상파 방송시간 자율화 요구"

      3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59) : 105-136, 2004

      4 전자신문, "케이블TV협회, 지상파 심야방송 허용 반대 의견서 제출"

      5 방송위원회, "지상파텔레비전방송 운용허용시간 확대계획"

      6 임성원, "지상파방송의 장르다양성에 관한 연구: 시간대별 프로그램 편성과 노출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402-440, 2007

      7 방송위원회, "지상파방송 운용시간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8 이남표, "지상파방송 방송시간 자율화와 시청자복지" 16-21, 2011

      9 윤석년, "지상파방송 방송시간 규제의 본질과 자율화" 2007

      10 정재철, "지상파방송 독과점 강화시킬 뿐" 140-142, 2003

      1 오형일, "한국의 공영방송은 어떠한 공익을 실천하고 있는가? : 2003년∼2012년 KBS 편성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4

      2 방송과 기술, "한국방송협회, 지상파 방송시간 자율화 요구"

      3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59) : 105-136, 2004

      4 전자신문, "케이블TV협회, 지상파 심야방송 허용 반대 의견서 제출"

      5 방송위원회, "지상파텔레비전방송 운용허용시간 확대계획"

      6 임성원, "지상파방송의 장르다양성에 관한 연구: 시간대별 프로그램 편성과 노출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402-440, 2007

      7 방송위원회, "지상파방송 운용시간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8 이남표, "지상파방송 방송시간 자율화와 시청자복지" 16-21, 2011

      9 윤석년, "지상파방송 방송시간 규제의 본질과 자율화" 2007

      10 정재철, "지상파방송 독과점 강화시킬 뿐" 140-142, 2003

      11 이석능, "지상파TV 편성 다양성에 관한 다면적 접근: 장르·하위 장르·대상 다양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353-381, 2012

      12 최윤태, "지상파TV 방송 재방송 편성에 관한 연구: 낮방송 실시와 경제위기 상황변화를 중심으로" 48 (48): 107-132, 2009

      13 윤익한, "지상파TV 낮방송 편성분석" 2007

      14 PD저널, "지상파 종일 방송 1년 만에 계륵 신세"

      15 윤상길, "지상파 위성동시재송신 정책의 논쟁과정과 그 평가" 한국방송학회 (59) : 251-282, 2004

      16 디지털타임스, "지상파 심야방송 허용 임박 미디어업계 “광고쏠림 심화” 반발"

      17 김은미, "지상파 낮시간 방송의 편성분석" 2006

      18 한겨레신문, "지상파 ‘종일 방송’ 군불 때기 방송시간 자율화 논란 재점화"

      19 미디어오늘, "종일 방송 허용은 정권 말 지상파 당근용"

      20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의견서 “지상파 종일 방송 허용에 관한 케이블TV업계 의견서”"

      21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의견서 “지상파 종일 방송 허용에 관한 케이블TV업계 의견”"

      22 닐슨코리아, "심야시간대 시청률 동향 보고서" 닐슨코리아 2014

      23 바른지역언론연대, "시청자단체, 지상파 방송시간 연장 반대"

      24 한국방송협회, "성명서 “지상파방송의 방송시간 자율화 방침을 환영합니다”"

      25 한국신문협회, "성명서 “지상파TV의 낮방송 허용에 대한 우리의 입장”"

      26 방송통신위원회, "새로운 10년을 선도하는 방송통신 2010 핵심과제"

      27 미디어오늘, "빼든 PP협, 돌연 입장 바꾼 까닭?"

      28 한국신문협회, "보도자료 “지상파TV 종일 방송 전면 허용 안된다”"

      29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 “지상파TV 방송시간 자율적 운용 허용”"

      30 한진만, "방송환경 변화와 지상파 텔레비전 편성의 다양성 변화" (재)에스비에스문화재단 8 (8): 7-43, 2010

      31 정두남, "방송시간 자율화와 방송광고 시장 동향" 22-27, 2011

      32 홍종윤, "방송 정책결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연구: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송신에 관한 정책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5 (25): 349-394, 2011

      33 황준호, "디지털시대 지상파방송의 방송운용시간 자율화방안 정책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34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건의서 “지상파방송의 방송시간 자율화 요구에 대한 업계 입장”"

      35 한국방송협회, "건의서 “지상파방송 운용시간 자율화 건의”"

      36 Hajer, M. A., "Words matter in policy and planning-discourse theory and method in the social sciences" Koninklijk Nederlands Aardrijkskundig Genootschap 65-74, 2006

      37 Sabatier, P. A.,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Vol. 2)" Westview Press 2007

      38 Hajer, M. A., "The argumentative turn in policy analysis and planning" Duke University Press 43-76, 1993

      39 기자협회보, "KBS1 TV 24시간 방송, 뚜껑 열어보니"

      40 홍문기, "24시간 전일제 종일 방송시대의 방송광고 환경의 변화와 전망" 2013

      41 미래창조과학부, "2014년 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방송통신위원회 2014

      42 MBC, "2014년 9월 기본 편성표"

      43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

      44 미래창조과학부, "2013년 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방송통신위원회 2013

      45 SBS, "2013년 1월 편성 조정 내역"

      46 방송통신위원회, "2012년 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 2012

      47 MBC, "2012년 가을 편성 조정 내역"

      48 KBS, "2012년 10월 24시간 편성 조정 내역"

      49 방송통신위원회, "2011년 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 2011

      50 MBC, "2011년 9월 기본 편성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
      2005-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Broadcasting Studies ->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68 1.972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