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관영건축의 벽체에 사용된 중깃(中衿)과 외엮기 기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of Oeyeokki and Joongkit in Earth Wall of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70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건축 관련 의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장공사에 사용된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조선시대 흙벽공사에서 흙을 바르기 전 바탕 뼈대 역할을 하는 부재에는 中衿, 槊, 椳木 등이 쓰였으며 이는 현재의 중깃, 가시새, 욋가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건축 관련 의궤 등 고문헌에 대한 분석과 왕릉 정자각의 수리과정을 통해 확인된 외엮기 기법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관영건축공사에서 中衿을 사용한 외엮기 기법과 현재 문화재수리공사에 쓰이는 중깃을 사용한 외엮기 기법은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시대 영건의궤에 기록된 中衿 사용 부재의 물목과 규격, 왕릉 정자각 벽체의 외엮기 사례에서 나타나는 中衿의 설치기법을 볼 때, 조선시대 벽체 외엮기에 사용된 中衿과 현재의 중깃은 규격과 기능, 설치기법이 상이한 부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통적인 벽체 외엮기 기법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기법이 갖는 특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문화재 수리시 대나무외를 사용한 획일적인 외엮기 시공법의 문제점을 검토하였으며, 흙벽의 바탕인 외엮기에 있어서 전통기법을 복원하기 위한 단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조선시대 건축 관련 의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장공사에 사용된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조선시대 흙벽공사에서 흙을 바르기 전 바탕 뼈대...

      조선시대 건축 관련 의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장공사에 사용된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조선시대 흙벽공사에서 흙을 바르기 전 바탕 뼈대 역할을 하는 부재에는 中衿, 槊, 椳木 등이 쓰였으며 이는 현재의 중깃, 가시새, 욋가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건축 관련 의궤 등 고문헌에 대한 분석과 왕릉 정자각의 수리과정을 통해 확인된 외엮기 기법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관영건축공사에서 中衿을 사용한 외엮기 기법과 현재 문화재수리공사에 쓰이는 중깃을 사용한 외엮기 기법은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시대 영건의궤에 기록된 中衿 사용 부재의 물목과 규격, 왕릉 정자각 벽체의 외엮기 사례에서 나타나는 中衿의 설치기법을 볼 때, 조선시대 벽체 외엮기에 사용된 中衿과 현재의 중깃은 규격과 기능, 설치기법이 상이한 부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통적인 벽체 외엮기 기법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기법이 갖는 특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문화재 수리시 대나무외를 사용한 획일적인 외엮기 시공법의 문제점을 검토하였으며, 흙벽의 바탕인 외엮기에 있어서 전통기법을 복원하기 위한 단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ditional earth wall structure consists of a Joongkit(a small reinforcing post inside a wall) and a Oe(a miscellaneous tree, rendered laths) based on the space between the columns and applying the soil. The members who act as the base layer before applying soil used joongkit, sakmok, and oemok, which are known to correspond to the current joongkit, gasisae, and lath strips.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follow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ancient texts, such as uigwe. Through a study on the usage and specifications of joongkit recorded on the uigwe, I wanted to reveal that joongkit is a material that has different specifications, functions, and installation techniques from current joongk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fference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components of use for two types of oeyeokki technique of traditional wall. In addition, the items to be considered at the actual cultural heritage repair site were reviewed in the restoration of the earth wall weaving technique.
      번역하기

      The traditional earth wall structure consists of a Joongkit(a small reinforcing post inside a wall) and a Oe(a miscellaneous tree, rendered laths) based on the space between the columns and applying the soil. The members who act as the base layer befo...

      The traditional earth wall structure consists of a Joongkit(a small reinforcing post inside a wall) and a Oe(a miscellaneous tree, rendered laths) based on the space between the columns and applying the soil. The members who act as the base layer before applying soil used joongkit, sakmok, and oemok, which are known to correspond to the current joongkit, gasisae, and lath strips.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follow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ancient texts, such as uigwe. Through a study on the usage and specifications of joongkit recorded on the uigwe, I wanted to reveal that joongkit is a material that has different specifications, functions, and installation techniques from current joongk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fference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components of use for two types of oeyeokki technique of traditional wall. In addition, the items to be considered at the actual cultural heritage repair site were reviewed in the restoration of the earth wall weaving techniqu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희릉 정자각 예릉 정자각및 비각 수리보고서" 2016

      2 조영민, "전통 벽체 외엮기 기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32 (32): 127-134, 2016

      3 임원경제연구소, "임원경제지 섬용지1" 풍석문화재단 2017

      4 문화재청, "인릉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2009

      5 문화재청, "율곡사 대웅전 해체보수공사보고서" 2003

      6 예천군, "용문사 대장전 수리보고서" 2004

      7 "영건도감의궤"

      8 "산릉도감의궤"

      9 문화재청, "법주사 원통보전 실측수리보고서" 2010

      10 대구광역시, "동화사 대웅전 문화재 수리보고서" 2005

      1 문화재청, "희릉 정자각 예릉 정자각및 비각 수리보고서" 2016

      2 조영민, "전통 벽체 외엮기 기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32 (32): 127-134, 2016

      3 임원경제연구소, "임원경제지 섬용지1" 풍석문화재단 2017

      4 문화재청, "인릉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2009

      5 문화재청, "율곡사 대웅전 해체보수공사보고서" 2003

      6 예천군, "용문사 대장전 수리보고서" 2004

      7 "영건도감의궤"

      8 "산릉도감의궤"

      9 문화재청, "법주사 원통보전 실측수리보고서" 2010

      10 대구광역시, "동화사 대웅전 문화재 수리보고서" 2005

      11 문화재청, "대적사 극락전 수리보고서" 2005

      12 "구리 동구릉 목릉 수복방복원공사 수리보고서" 2017

      13 佐藤嘉一郎, "土壁·左官の仕事と技術" 学芸出版社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