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진성(釜山鎭城)의 공간구성과 변화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 and Changing Process of Busanjin For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7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sanjin Fortress was originally made of stone fortress for the Joseon Navy, which was located in Dongnae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Japanesque Castle of Busanjin in 1592 was built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Since the Japanese military retreated, the Joseon Navy had renovated the fortress and had used it as a base for stationing, and it had been maintained in Busanjin Fortress until the Joseon Navy was disbanded in 1895. After the abolition of the Naval Force System, the space in Busanjin Fortress was dismantled, and the government facilities and their sites were not properly managed and repaired, eventually was sold to Japanese. As Busanjin Fortress failed to function properly, the coastal space in Busanjin became a burial ground after being reclaimed by Japanese with real estate investment in mind. Today, the traces of Busanjin Fortress have been removed by the reclamation work, and only the remains of some stone pillars remain under the name of Jaseongdae(子城臺). Thus, the old custom as the Naval base disappeared, leaving only the image of Japanesque Castle.
      번역하기

      Busanjin Fortress was originally made of stone fortress for the Joseon Navy, which was located in Dongnae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Japanesque Castle of Busanjin in 1592 was built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Japanese Invasi...

      Busanjin Fortress was originally made of stone fortress for the Joseon Navy, which was located in Dongnae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Japanesque Castle of Busanjin in 1592 was built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Since the Japanese military retreated, the Joseon Navy had renovated the fortress and had used it as a base for stationing, and it had been maintained in Busanjin Fortress until the Joseon Navy was disbanded in 1895. After the abolition of the Naval Force System, the space in Busanjin Fortress was dismantled, and the government facilities and their sites were not properly managed and repaired, eventually was sold to Japanese. As Busanjin Fortress failed to function properly, the coastal space in Busanjin became a burial ground after being reclaimed by Japanese with real estate investment in mind. Today, the traces of Busanjin Fortress have been removed by the reclamation work, and only the remains of some stone pillars remain under the name of Jaseongdae(子城臺). Thus, the old custom as the Naval base disappeared, leaving only the image of Japanesque Cast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부산진성은 오늘날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석축 성곽으로 조선시대 수군첨절제사가 주재했던 부산포진의 주둔지로서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축조되었다. 임진왜란 때 원래의 부산진성이 왜군에 의해 훼손됨에 따라 잔존했던 왜성 일대를 부산포진이 수축 후 주둔하면서 그 유구가 현재까지 남아 보기 드문 왜성 형식을 갖춘 수군 진성으로 남겨졌다. 외적을 방어하던 수군해안방어의 최전선이라는 역사성과 왜군에 의해 축성된 왜성이라는 특수성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는 관방도시의 공간구성과 변화과정에 대해 사료의 고증을 통해 고찰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조선 후기 부산포진의 주재지였던 부산진성은 임진왜란의 교훈에 따라 적로초경으로 중시되었으며 특히 부산진첨사는 남방의 요해처를 사수하는 수군 장수로 역대 군주의 신임을 받았고 부산진성이 임진왜란 때 축조된 왜성에 기반을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래의 읍·진성 형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을미개혁의 여파로 수군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부산진성은 보존의 기회를 얻지 못했는데 이는 구한국정부의 재정악화에서 비롯했다. 종국에 부산진성 내 관아 부지가 일본인에게 불하되었고 일본인 주도의 철로 개설로 선소 일곽이 해체됨으로써 관방도시로서 제 기능을 잃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인 주도의 해안매립공사로 인해 수군 특유의 해안지역은 사라졌고 매립에 따른 창고부지만 남겨짐에 따라 오늘날 옛 수군기지로서 옛 풍모는 찾을 수 없으며 단지 왜성 이미지만이 유구와 함께 전해진다.
      번역하기

      부산진성은 오늘날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석축 성곽으로 조선시대 수군첨절제사가 주재했던 부산포진의 주둔지로서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축조되었다. 임진왜란 때 원래의 부...

      부산진성은 오늘날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석축 성곽으로 조선시대 수군첨절제사가 주재했던 부산포진의 주둔지로서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축조되었다. 임진왜란 때 원래의 부산진성이 왜군에 의해 훼손됨에 따라 잔존했던 왜성 일대를 부산포진이 수축 후 주둔하면서 그 유구가 현재까지 남아 보기 드문 왜성 형식을 갖춘 수군 진성으로 남겨졌다. 외적을 방어하던 수군해안방어의 최전선이라는 역사성과 왜군에 의해 축성된 왜성이라는 특수성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는 관방도시의 공간구성과 변화과정에 대해 사료의 고증을 통해 고찰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조선 후기 부산포진의 주재지였던 부산진성은 임진왜란의 교훈에 따라 적로초경으로 중시되었으며 특히 부산진첨사는 남방의 요해처를 사수하는 수군 장수로 역대 군주의 신임을 받았고 부산진성이 임진왜란 때 축조된 왜성에 기반을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래의 읍·진성 형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을미개혁의 여파로 수군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부산진성은 보존의 기회를 얻지 못했는데 이는 구한국정부의 재정악화에서 비롯했다. 종국에 부산진성 내 관아 부지가 일본인에게 불하되었고 일본인 주도의 철로 개설로 선소 일곽이 해체됨으로써 관방도시로서 제 기능을 잃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인 주도의 해안매립공사로 인해 수군 특유의 해안지역은 사라졌고 매립에 따른 창고부지만 남겨짐에 따라 오늘날 옛 수군기지로서 옛 풍모는 찾을 수 없으며 단지 왜성 이미지만이 유구와 함께 전해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統監府文書"

      2 국가기록원, "지적원도, CJA0013263 · CJA0013270"

      3 "조선왕조실록"

      4 "승정원일기"

      5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부산근대지도"

      6 "부산광역시 동구, (폐쇄)토지대장"

      7 부산광역시, "부산고지도"

      8 고려대중앙도서관, "고문서Ⅰ(관문서Ⅰ)"

      9 문화재청, "魚變堂釜山浦鎭解由文書"

      10 규장각한국학연구원, "新增東國輿地勝覽(奎799), 經國大典(奎15221), 嶺南鎭誌(奎12183), 鐵道院來去文(奎17811), 內部來去案(奎17768)公文編案(奎18154), 奏本(奎17704), 請願書(奎17848), 지승(奎15423), 1872年地方圖"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統監府文書"

      2 국가기록원, "지적원도, CJA0013263 · CJA0013270"

      3 "조선왕조실록"

      4 "승정원일기"

      5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부산근대지도"

      6 "부산광역시 동구, (폐쇄)토지대장"

      7 부산광역시, "부산고지도"

      8 고려대중앙도서관, "고문서Ⅰ(관문서Ⅰ)"

      9 문화재청, "魚變堂釜山浦鎭解由文書"

      10 규장각한국학연구원, "新增東國輿地勝覽(奎799), 經國大典(奎15221), 嶺南鎭誌(奎12183), 鐵道院來去文(奎17811), 內部來去案(奎17768)公文編案(奎18154), 奏本(奎17704), 請願書(奎17848), 지승(奎15423), 1872年地方圖"

      11 국립중앙박물관, "倭館圖, 東萊府使接倭使圖"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