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소설 교수-학습 방법 연구-교육연극을 중심으로- = Study of Novel Teaching-Learning Method in Multicultural Society Context-Educational Drama Center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02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vel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of others is essential in any interactions taking plac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of others comes from understanding of self as self-identity is formed from the social relations with others. Thus, this study aims for formation of learner’s social identity based on nove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mphasis on novel experience and educational drama activity be considered. Educational drama is effective to improve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and value education such as ‘equality awareness, mutual consideration, identity.’ In addition, this enables learners to form their social identities by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self’ and ‘others’ with embodied knowledge rooted in experience. Hence, educational drama can be utilised for ‘play, social culture, dynamics and integration.’ The discussion is followed by novel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educational drama in multicultural society context, and authentic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oh, jeong hee’s 『Chinese street』 is provided. The novel teaching-learning method utilising educational drama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ociety is able to contribute to social integrity and social identity of each learning individua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vel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of others is essential in any interactions taking plac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of others comes from un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vel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of others is essential in any interactions taking plac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of others comes from understanding of self as self-identity is formed from the social relations with others. Thus, this study aims for formation of learner’s social identity based on nove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mphasis on novel experience and educational drama activity be considered. Educational drama is effective to improve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and value education such as ‘equality awareness, mutual consideration, identity.’ In addition, this enables learners to form their social identities by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self’ and ‘others’ with embodied knowledge rooted in experience. Hence, educational drama can be utilised for ‘play, social culture, dynamics and integration.’ The discussion is followed by novel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educational drama in multicultural society context, and authentic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oh, jeong hee’s 『Chinese street』 is provided. The novel teaching-learning method utilising educational drama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ociety is able to contribute to social integrity and social identity of each learning individu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소설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다문화 사회에서 상호소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타인에 대한 이해이다. 이는 자기이해를 통해 실현 가능하다. 다문화 사회에서 자기정체성은 자신을 둘러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사회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사회적 자기정체성 형성을 다문화 사회 소설교육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소설 체험을 강조하고 교육연극 활동을 제안하였다. 교육연극은 ‘평등의식, 상호배려, 자기정체성’ 함양과 같은 가치교육이나 고차원적 사고력 함양에 효과적이며 또한 체험을 통한 체현된 지식을 바탕으로 타인과 자신을 이해하며 자신의 삶과 행위를 반성하면서 학습자의 사회적 자기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에 교육연극의 활용 원리로 ‘유희성, 사회문화성, 역동성, 통합성’을 밝혔다. 일련의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 사회의 소설 교수-학습 과정을 살핀 후 오정희의 소설 『중국인 거리』의 교수-학습 실제를 제시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 사회의 소설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 개개인의 사회적 자기정체성 형성과 사회통합을 이끄는 데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소설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다문화 사회에서 상호소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타인에 대한 이해이다. 이는 자기이해를 통해 실현 가능하다. 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소설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다문화 사회에서 상호소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타인에 대한 이해이다. 이는 자기이해를 통해 실현 가능하다. 다문화 사회에서 자기정체성은 자신을 둘러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사회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사회적 자기정체성 형성을 다문화 사회 소설교육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소설 체험을 강조하고 교육연극 활동을 제안하였다. 교육연극은 ‘평등의식, 상호배려, 자기정체성’ 함양과 같은 가치교육이나 고차원적 사고력 함양에 효과적이며 또한 체험을 통한 체현된 지식을 바탕으로 타인과 자신을 이해하며 자신의 삶과 행위를 반성하면서 학습자의 사회적 자기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에 교육연극의 활용 원리로 ‘유희성, 사회문화성, 역동성, 통합성’을 밝혔다. 일련의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 사회의 소설 교수-학습 과정을 살핀 후 오정희의 소설 『중국인 거리』의 교수-학습 실제를 제시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 사회의 소설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 개개인의 사회적 자기정체성 형성과 사회통합을 이끄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익, "홀리스틱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바전방향 탐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 (1): 2003

      2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3 유인순, "현대 한국소설에 투영된 중국·중국인" 한중인문학회 (12) : 22-47, 2004

      4 정성희, "헤스컷 교육연극이론의 구성주의적 조망" 한국연극학회 (29) : 225-261, 2006

      5 황정현,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의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 (1): 41-54, 2001

      6 최성희, "퍼포먼스 연구의 학문적 계보 -새로운 인문학 교육을 위한 고찰-" 한국연극학회 (41) : 115-139, 2010

      7 한국연극학회, "퍼포먼스 연구와 연극" 연극과인간 2010

      8 VanManen,Max, "체험연구" 동녘 1994

      9 고미숙, "체험교육의 의미" 교육연구소 7 (7): 133-162, 2006

      10 오정희, "중국인거리" 문학과 지성사 1983

      1 박성익, "홀리스틱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바전방향 탐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 (1): 2003

      2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3 유인순, "현대 한국소설에 투영된 중국·중국인" 한중인문학회 (12) : 22-47, 2004

      4 정성희, "헤스컷 교육연극이론의 구성주의적 조망" 한국연극학회 (29) : 225-261, 2006

      5 황정현,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의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 (1): 41-54, 2001

      6 최성희, "퍼포먼스 연구의 학문적 계보 -새로운 인문학 교육을 위한 고찰-" 한국연극학회 (41) : 115-139, 2010

      7 한국연극학회, "퍼포먼스 연구와 연극" 연극과인간 2010

      8 VanManen,Max, "체험연구" 동녘 1994

      9 고미숙, "체험교육의 의미" 교육연구소 7 (7): 133-162, 2006

      10 오정희, "중국인거리" 문학과 지성사 1983

      11 이현식,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 연구 - 소설의 공간적 배경과 관련하여 -" 동남어문학회 1 (1): 73-91, 2008

      12 崔志英, "역할연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4

      13 이성영, "생태학적으로 타당한 독서 교육을 위하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2) : 123-156, 2003

      14 신헌재,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219-237, 2010

      15 김혜숙,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다문화 사회의 통합형 문법교육을 위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5-46, 2012

      16 김규훈, "독서연극을 통한 문법 교수-학습 방법 - 이야기 활용 문법의 교수-학습 모형 개발 -" 한국어교육학회 (136) : 107-137, 2011

      17 차우규, "도덕 교과의 홀리스틱 교육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 97-112, 2000

      18 최충옥, "다문화교육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19 안병환,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다문화교육 접근방향 탐색"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55-177, 2009

      20 Bennett,ChristineI., "다문화교육" 학지사 2009

      21 김숙희, "다문화가족과 교육연극"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1 : 73-85, 2011

      22 박영민, "다문화 학습자와 중등학교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34) : 151-173, 2009

      23 김용재, "다문화 시대의 서사 교육 시론 - 『영원한 이방인』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1 (51): 279-301, 2011

      24 임경순, "다문화 시대 소설(문학)교육의 한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36) : 387-420, 2011

      25 원진숙, "다문화 시대 국어교육의 역할" 국어교육학회 (30) : 23-50, 2007

      26 선주원, "다문화 소설에 형상화된 유목적 존재들의 삶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한국독서학회 (25) : 203-235, 2011

      27 조용환, "다문화 교육의 의미와 과제, 다문화 사회의 이해" 유네스코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08

      28 김형중, "다문화 교육의 방향과 문학교육의 효용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47-364, 2011

      29 장인실,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교육과정 모형 탐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81-305, 2008

      30 박인기, "국어교육학의 생태학적 지평과 발전 전략"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3) : 1-27, 1997

      31 임칠성, "국어과 협동학습의 의의와 수업 전략" 국어교과교육학회 6 : 1-30, 2003

      32 이재승, "국어과 협동학습의 의미와 방법" 청람어문교육학회 (27) : 491-512, 2003

      33 김한미, "교육적 체험의 특징과 내재적 가치" 한국교육원리학회 11 (11): 75-102, 2006

      34 전두리,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설 정교화 읽기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35 권재원, "교육연극(DIE)이 청소년의 문화관용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29-148, 2005

      36 김영미,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소설교육 방안 연구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7 박진태, "공연문화와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26) : 1-30, 2008

      38 추병완, "Valerie O. Pang의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론"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5 (15): 1-19, 2011

      39 Vygotsky,L.S., "MindinSociety" MITPress 1986

      40 Van Manen,Max, "Linking waysofknowingwithwaysofbeing practical" 6 (6): 205-228, 1977

      41 Fine,ElizabethC, "Introduction. Performence,Culture,and Identity" Praeger 1992

      42 Turner,Victor, "FromRitualtoTheatre:TheHumanSeriousnessofPlay" PAJpublications 1982

      43 Dewey, J., "Experienceandeducation" Touchstone 193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