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성익, "홀리스틱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바전방향 탐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 (1): 2003
2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3 유인순, "현대 한국소설에 투영된 중국·중국인" 한중인문학회 (12) : 22-47, 2004
4 정성희, "헤스컷 교육연극이론의 구성주의적 조망" 한국연극학회 (29) : 225-261, 2006
5 황정현,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의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 (1): 41-54, 2001
6 최성희, "퍼포먼스 연구의 학문적 계보 -새로운 인문학 교육을 위한 고찰-" 한국연극학회 (41) : 115-139, 2010
7 한국연극학회, "퍼포먼스 연구와 연극" 연극과인간 2010
8 VanManen,Max, "체험연구" 동녘 1994
9 고미숙, "체험교육의 의미" 교육연구소 7 (7): 133-162, 2006
10 오정희, "중국인거리" 문학과 지성사 1983
1 박성익, "홀리스틱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바전방향 탐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 (1): 2003
2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3 유인순, "현대 한국소설에 투영된 중국·중국인" 한중인문학회 (12) : 22-47, 2004
4 정성희, "헤스컷 교육연극이론의 구성주의적 조망" 한국연극학회 (29) : 225-261, 2006
5 황정현,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의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 (1): 41-54, 2001
6 최성희, "퍼포먼스 연구의 학문적 계보 -새로운 인문학 교육을 위한 고찰-" 한국연극학회 (41) : 115-139, 2010
7 한국연극학회, "퍼포먼스 연구와 연극" 연극과인간 2010
8 VanManen,Max, "체험연구" 동녘 1994
9 고미숙, "체험교육의 의미" 교육연구소 7 (7): 133-162, 2006
10 오정희, "중국인거리" 문학과 지성사 1983
11 이현식,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 연구 - 소설의 공간적 배경과 관련하여 -" 동남어문학회 1 (1): 73-91, 2008
12 崔志英, "역할연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4
13 이성영, "생태학적으로 타당한 독서 교육을 위하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2) : 123-156, 2003
14 신헌재,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219-237, 2010
15 김혜숙,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다문화 사회의 통합형 문법교육을 위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5-46, 2012
16 김규훈, "독서연극을 통한 문법 교수-학습 방법 - 이야기 활용 문법의 교수-학습 모형 개발 -" 한국어교육학회 (136) : 107-137, 2011
17 차우규, "도덕 교과의 홀리스틱 교육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 97-112, 2000
18 최충옥, "다문화교육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19 안병환,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다문화교육 접근방향 탐색"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55-177, 2009
20 Bennett,ChristineI., "다문화교육" 학지사 2009
21 김숙희, "다문화가족과 교육연극"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1 : 73-85, 2011
22 박영민, "다문화 학습자와 중등학교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34) : 151-173, 2009
23 김용재, "다문화 시대의 서사 교육 시론 - 『영원한 이방인』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1 (51): 279-301, 2011
24 임경순, "다문화 시대 소설(문학)교육의 한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36) : 387-420, 2011
25 원진숙, "다문화 시대 국어교육의 역할" 국어교육학회 (30) : 23-50, 2007
26 선주원, "다문화 소설에 형상화된 유목적 존재들의 삶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한국독서학회 (25) : 203-235, 2011
27 조용환, "다문화 교육의 의미와 과제, 다문화 사회의 이해" 유네스코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08
28 김형중, "다문화 교육의 방향과 문학교육의 효용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47-364, 2011
29 장인실,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교육과정 모형 탐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81-305, 2008
30 박인기, "국어교육학의 생태학적 지평과 발전 전략"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3) : 1-27, 1997
31 임칠성, "국어과 협동학습의 의의와 수업 전략" 국어교과교육학회 6 : 1-30, 2003
32 이재승, "국어과 협동학습의 의미와 방법" 청람어문교육학회 (27) : 491-512, 2003
33 김한미, "교육적 체험의 특징과 내재적 가치" 한국교육원리학회 11 (11): 75-102, 2006
34 전두리, "교육연극을 활용한 소설 정교화 읽기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35 권재원, "교육연극(DIE)이 청소년의 문화관용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29-148, 2005
36 김영미,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소설교육 방안 연구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7 박진태, "공연문화와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26) : 1-30, 2008
38 추병완, "Valerie O. Pang의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론"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5 (15): 1-19, 2011
39 Vygotsky,L.S., "MindinSociety" MITPress 1986
40 Van Manen,Max, "Linking waysofknowingwithwaysofbeing practical" 6 (6): 205-228, 1977
41 Fine,ElizabethC, "Introduction. Performence,Culture,and Identity" Praeger 1992
42 Turner,Victor, "FromRitualtoTheatre:TheHumanSeriousnessofPlay" PAJpublications 1982
43 Dewey, J., "Experienceandeducation" Touchstone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