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中 ‘幻’ 敍事의 美學的 特質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2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래의 연구계획대로장 「한중 환서사의 연원 및 전개양상」 부분에서는 중국 환상서사의 특징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그 기원과 변모 양상을 살피는 기초적인 작업부터 시행했다. 양국의 문학에 대한 논의를 서술할 때에 중국을 한국보다 앞서 고찰했다. 이것은 양국을 문화적 사대주의로 표상되는 수직적 상하관계로 인식함이 아니라, 한국 환서사에 문화적 충격을 주었던 動因으로서의 중국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먼저 西周 초기에서 魏晉시대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山海經󰡕에서 시작했다. 음양오행설과 팔괘에 입각하여 형상화할 수 없는 초월적 존재를 구체적으로 재현시키고 있는 󰡔神異經󰡕 이야기, 중국 最古의 신선설화집 󰡔列仙傳󰡕과 󰡔神仙傳󰡕, 東晋의 干寶가 지었다는 󰡔搜神記󰡕 및 志怪는 唐 傳奇로 이어진다. 인신연애, 환몽류, 협의류 작품들을 통해 道․佛敎의 종교적 배경과 신선, 귀신, 도술, 예언 등의 이야기, 꿈을 통해서 인생무상을 체험하는 「枕中記」, 「南柯太守傳」, 水神의 이야기 「湘中怨解」, 남성에서 여성으로 환생하는 이야기 「杜子春」, 女俠의 내용을 담은 「聶隱娘」, 道․佛敎의 종교적 색채가 짙은 「崔煒」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아서 󰡔太平廣記󰡕 이전 중국 환 서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해 보았다.
      한국 환 서사의 역사적 전개 양상에 관해서는 조선후기 3대 야담집에 큰 영향을 미쳤던 유몽인의 󰡔어우야담󰡕과 현전하는 최고의 신선전기집인 홍만종의 󰡔해동이적󰡕을 중심으로 한국소설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살펴보았고 중국에서 전래된 작품과의 영향관계에 주목해서 고찰했다. 나말여초의 시기에 중국과의 문화교류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유입된 중국의 지괴, 전기류는 국내의 서사문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당초 연구계획이던 「환 서사의 모티프와 세계관의 확대」와 「서사의 미학적 구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에, 죽음을 망각하고자 하는 욕망은 시간을 잊고자 하는 노력으로 표현되었고, 초능력을 행사하고픈 욕망은 저 너머의 세계에서 현실보다 더 완전한 자아에 대한 꿈으로 재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시간과 공간이라는 코드는 환 서사의 모티프와 환 서사의 구성요소를 분석하는데 가장 적절한 핵심어임을 간파하고 시공간이라는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개념을 환 서사의 문학적 상상력과 접목시키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리하여 시간과 연관된 환 서사의 미학적 특징은 다가오는 미래에 대한 예언과 영원한 현재를 갈망하는 심리적인 時間價로 나뉘어짐을 고찰했다. 《列仙傳》·《太平廣記》·《於于野譚》·《海東異蹟》 등의 기록을 근거로,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써의 인간이 환 서사 속 시간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미학적 특징을 지님을 간파했다. 인간에게 주어진 물리적인 시간을 극복하기 위해서 기계적 수치의 시간을 해체한다. 초월적 존재를 갈망하는 인간의 욕망은 순간을 지속시키며 재구성할 수 있다. 연대기적 순서로 상징되는 시간을 비틀어서 인간의 심리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서술적 형상화 전체에 걸쳐 작용하는 사유 활동은 시간 경험의 재형상화를 통해서 완성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래의 연구계획대로장 「한중 환서사의 연원 및 전개양상」 부분에서는 중국 환상서사의 특징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그 기원과 변모 양상을 살피는 기초적인 작업부터 시행했다. ...

      본래의 연구계획대로장 「한중 환서사의 연원 및 전개양상」 부분에서는 중국 환상서사의 특징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그 기원과 변모 양상을 살피는 기초적인 작업부터 시행했다. 양국의 문학에 대한 논의를 서술할 때에 중국을 한국보다 앞서 고찰했다. 이것은 양국을 문화적 사대주의로 표상되는 수직적 상하관계로 인식함이 아니라, 한국 환서사에 문화적 충격을 주었던 動因으로서의 중국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먼저 西周 초기에서 魏晉시대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山海經󰡕에서 시작했다. 음양오행설과 팔괘에 입각하여 형상화할 수 없는 초월적 존재를 구체적으로 재현시키고 있는 󰡔神異經󰡕 이야기, 중국 最古의 신선설화집 󰡔列仙傳󰡕과 󰡔神仙傳󰡕, 東晋의 干寶가 지었다는 󰡔搜神記󰡕 및 志怪는 唐 傳奇로 이어진다. 인신연애, 환몽류, 협의류 작품들을 통해 道․佛敎의 종교적 배경과 신선, 귀신, 도술, 예언 등의 이야기, 꿈을 통해서 인생무상을 체험하는 「枕中記」, 「南柯太守傳」, 水神의 이야기 「湘中怨解」, 남성에서 여성으로 환생하는 이야기 「杜子春」, 女俠의 내용을 담은 「聶隱娘」, 道․佛敎의 종교적 색채가 짙은 「崔煒」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아서 󰡔太平廣記󰡕 이전 중국 환 서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해 보았다.
      한국 환 서사의 역사적 전개 양상에 관해서는 조선후기 3대 야담집에 큰 영향을 미쳤던 유몽인의 󰡔어우야담󰡕과 현전하는 최고의 신선전기집인 홍만종의 󰡔해동이적󰡕을 중심으로 한국소설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살펴보았고 중국에서 전래된 작품과의 영향관계에 주목해서 고찰했다. 나말여초의 시기에 중국과의 문화교류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유입된 중국의 지괴, 전기류는 국내의 서사문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당초 연구계획이던 「환 서사의 모티프와 세계관의 확대」와 「서사의 미학적 구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에, 죽음을 망각하고자 하는 욕망은 시간을 잊고자 하는 노력으로 표현되었고, 초능력을 행사하고픈 욕망은 저 너머의 세계에서 현실보다 더 완전한 자아에 대한 꿈으로 재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시간과 공간이라는 코드는 환 서사의 모티프와 환 서사의 구성요소를 분석하는데 가장 적절한 핵심어임을 간파하고 시공간이라는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개념을 환 서사의 문학적 상상력과 접목시키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리하여 시간과 연관된 환 서사의 미학적 특징은 다가오는 미래에 대한 예언과 영원한 현재를 갈망하는 심리적인 時間價로 나뉘어짐을 고찰했다. 《列仙傳》·《太平廣記》·《於于野譚》·《海東異蹟》 등의 기록을 근거로,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써의 인간이 환 서사 속 시간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미학적 특징을 지님을 간파했다. 인간에게 주어진 물리적인 시간을 극복하기 위해서 기계적 수치의 시간을 해체한다. 초월적 존재를 갈망하는 인간의 욕망은 순간을 지속시키며 재구성할 수 있다. 연대기적 순서로 상징되는 시간을 비틀어서 인간의 심리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서술적 형상화 전체에 걸쳐 작용하는 사유 활동은 시간 경험의 재형상화를 통해서 완성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fantasy literature in the viewpoint of the culture of 21 century east asian society and discussed the meanings of them in the position of modern age. The space-tim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fantasy literature was examined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embeded in the east asian fantasy literature was revealed by analyzing examples in the original sources.
      For the purpose of thes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oth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was investigated with "󰡔列仙傳󰡕" which is the oldest tale of China on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太平廣記󰡕" which is called the ocean of Chinese novelists, "󰡔於于野譚󰡕" which is the first Korean historical story book and "󰡔海東異蹟󰡕" which is the oldest tale of Korea on Taoist hermits. Especially, "Tae Pyong Kwang Ki" has not only a tremendous value in the history of Chinese novels but also great influences on Korean stories, novels and even other east asian literature. Thus it is the most important reference and we cannot help taking a careful look at it.
      First of all,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fantasy literature was examined. In the section of "Aesthetics of Description of Time in Fantasy Literatur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dissolving the physical and objective time into the personal and relative time and restructuring it with literal imaginations was considered. In the section of "Aesthetics of Description of Space in Fantasy Literatu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hyper-space in a work exists in the real world where we live with psychological desire.
      Fantasy originates from the point where physically absent but psychologically present desire is visualized. Fantasy is a gap between reality and surreality. Fantasy is also the contact point of reality and surreality.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fantasy literature in the viewpoint of the culture of 21 century east asian society and discussed the meanings of them in the position of modern age. The space-time characte...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fantasy literature in the viewpoint of the culture of 21 century east asian society and discussed the meanings of them in the position of modern age. The space-tim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fantasy literature was examined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embeded in the east asian fantasy literature was revealed by analyzing examples in the original sources.
      For the purpose of thes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oth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was investigated with "󰡔列仙傳󰡕" which is the oldest tale of China on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太平廣記󰡕" which is called the ocean of Chinese novelists, "󰡔於于野譚󰡕" which is the first Korean historical story book and "󰡔海東異蹟󰡕" which is the oldest tale of Korea on Taoist hermits. Especially, "Tae Pyong Kwang Ki" has not only a tremendous value in the history of Chinese novels but also great influences on Korean stories, novels and even other east asian literature. Thus it is the most important reference and we cannot help taking a careful look at it.
      First of all,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fantasy literature was examined. In the section of "Aesthetics of Description of Time in Fantasy Literatur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dissolving the physical and objective time into the personal and relative time and restructuring it with literal imaginations was considered. In the section of "Aesthetics of Description of Space in Fantasy Literatu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hyper-space in a work exists in the real world where we live with psychological desire.
      Fantasy originates from the point where physically absent but psychologically present desire is visualized. Fantasy is a gap between reality and surreality. Fantasy is also the contact point of reality and surreal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