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깻잎에 등록된 농약 디메토모르프 수화제 25% 등 104품목에 대해(총 깻잎 등록품목 126품목 중 천연식물보호제, 토양처리 등 제외) 유럽 농약노출량 산정모델인 EFSA OpEx(Occupational Exposure) m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33508
2021
Korean
3903
학술저널
260-260(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깻잎에 등록된 농약 디메토모르프 수화제 25% 등 104품목에 대해(총 깻잎 등록품목 126품목 중 천연식물보호제, 토양처리 등 제외) 유럽 농약노출량 산정모델인 EFSA OpEx(Occupational Exposure) mo...
국내 깻잎에 등록된 농약 디메토모르프 수화제 25% 등 104품목에 대해(총 깻잎 등록품목 126품목 중 천연식물보호제, 토양처리 등 제외) 유럽 농약노출량 산정모델인 EFSA OpEx(Occupational Exposure) model를 이용하여 농약노출량산정하고, 농작업자위해성 평가를 수행 하였다.
농작업자농약노출량 및 위해성평가결과, 각 제품에 대한 피부흡수율(제품 및 희석사용)을 고려하지 않은 조건에서 모든 보호장비 착용(장갑, 방제복)시에도 농작업자위해성이 높게 평가된 농약은 40품목이었고, 비페나제이트(23.5%), 에마멕틴벤조에이트(2% 2.15%), 인독사카브(2.5%, 30%, 5%), 클로르페나피르(5%, 10%) 함유품목 및 사이안트라닐리프롤, 피라클로스트로빈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농약에서 위해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 결과는, 위해성평가에 사용된 해당농약에 대한 피부흡수율(제품 및 희석사용)등의 농약에 대한 특징이 직접 적용되지 않았고, 노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입력값이 다양(증기압, DT50 등)하게 고려되었기 때문이라 유추된다.
향후 국내 농작업자위해성평가 방법을 다양한 살포 및 노출조건을 고려한 농약노출량 평가로 확대 적용하고 개선하기 위해, 국외 다양한 농약노출량 산정 모델에 대한 분석하고 적용가능성 검토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xicological evaluation of organic contaminants in aquatic system using zebrafish embr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