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한자(漢字)"영역(領域)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 내용(內容) 분석(分析) = Content analysis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3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새 교육과정은 별도의 해설서가 개발되지 않았다. 국가 수준의 한문과 교수·학습이나 평가 관련 연구가 충분하지 않고, 학교 한문 문법이 제정되지 않아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세부 진�...

      새 교육과정은 별도의 해설서가 개발되지 않았다. 국가 수준의 한문과 교수·학습이나 평가 관련 연구가 충분하지 않고, 학교 한문 문법이 제정되지 않아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세부 진술 내용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현실에서 해설서의 不在는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紛紛한 해석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침 개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은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적합성과 활용도를 提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새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 지식’ 중 중영역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성취기준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문항을 예시하였다. 교육과정 영역별로 제시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한문 학습의 출발점과 도달점 설정, 한문 학습의 위계 구분 등의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 연구는 추후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내용의 수준과 범위 설정을 위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자’ 영역의 학습내용 성취기준과 성취기준의 학교급별, 과목별 수준 구분의 주요 근거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이다. 餘他의 영역과 다른 한자 영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new curriculum manual is not published separately. Its absence will express various views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researche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on nationwide scale are insufficient and the details of description of th...

      A new curriculum manual is not published separately. Its absence will express various views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researche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on nationwide scale are insufficient and the details of description of the manual sub for the role since school grammar has been enacted. It is expected that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developed pursuant to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at this juncture will enhance suitability and availability. This paper analyses detail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one of the intermediate domains, which is included in ``grammatical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one of the advanced domains, on new curriculum. And also questions are given as an example to help people to underst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offered by the domain of curriculum are expected to encourage discussion about establishment as both the first step and terminus ad quem,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learning. Related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et levels and scale of content during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later. Achievement standards and its classification by a course and subject are based on the scop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