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러시아 국민의 양국 경제 관계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Korean and Russian People’s Perceptions about the Economic Relations of the Two Countries: Focused on Survey Res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61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how the Korean and Russian citizens perceive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in Korea and Russia for the three years 2016-2018. To this end, demographic factors, perceptions of the culture of the partner country, and perceptions of national cooperation with the partner country were cross-analyzed together, and through this, the perceptions of the Korean and Russian people’s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revealed in various ways. First of all,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and Russian people’s perceptions of the culture of the other country,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conomic cooperation are generally positive. However, there is no very low percentage that the likelihood of the other people is neutral, the nature of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not well understood, and there is little interest in the other country or the culture of the other country.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groups with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culture of the other count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cooperatively looking at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same time, it was revealed that some groups of Russian citizens who perceived negatively or did not know much about Korean culture and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lso viewed economic relations with Korea cooperatively.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how the Korean and Russian citizens perceive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in Korea and Russia for the three years 2016-2018. To this end, demographic factors, percep...

      This paper analyzes how the Korean and Russian citizens perceive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in Korea and Russia for the three years 2016-2018. To this end, demographic factors, perceptions of the culture of the partner country, and perceptions of national cooperation with the partner country were cross-analyzed together, and through this, the perceptions of the Korean and Russian people’s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revealed in various ways. First of all,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and Russian people’s perceptions of the culture of the other country,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conomic cooperation are generally positive. However, there is no very low percentage that the likelihood of the other people is neutral, the nature of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not well understood, and there is little interest in the other country or the culture of the other country.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groups with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culture of the other count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cooperatively looking at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same time, it was revealed that some groups of Russian citizens who perceived negatively or did not know much about Korean culture and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lso viewed economic relations with Korea coopera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과 러시아에서 2016~2018년 3년간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과 러시아 국민이 양국의 경제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사회학적 요소들, 상대국 문화에 대한 인식들, 상대국과의 국가 협력에 대한 인식들을 함께 교차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과 러시아 국민의 양국 경제 관계에 대한 인식을 다각적으로 밝혔다. 우선 상대국 문화와 양국 국가 관계 및 경제 협력에 대한 한국과 러시아 국민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상대 국민에 대한 호감도가 중립적이고, 양국 경제 관계 성격을 잘 모르겠으며, 상대국에 대해 별 관심이 없거나 상대국 문화에 흥미가 없다는 비율도 아주 낮지는 않다. 전체적으로 상대국 문화와 양국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지닌 집단들이 양국 경제 관계를 협력적으로 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러시아 국민 중에서 한국 문화와 양국 관계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거나 잘 모르는 일부 집단들도 한국과의 경제 관계를 협력적으로 보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러시아 국민은 한국 국민보다 양국 경제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한국과 러시아에서 2016~2018년 3년간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과 러시아 국민이 양국의 경제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사회학적 요소들,...

      이 논문은 한국과 러시아에서 2016~2018년 3년간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과 러시아 국민이 양국의 경제 관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사회학적 요소들, 상대국 문화에 대한 인식들, 상대국과의 국가 협력에 대한 인식들을 함께 교차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과 러시아 국민의 양국 경제 관계에 대한 인식을 다각적으로 밝혔다. 우선 상대국 문화와 양국 국가 관계 및 경제 협력에 대한 한국과 러시아 국민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상대 국민에 대한 호감도가 중립적이고, 양국 경제 관계 성격을 잘 모르겠으며, 상대국에 대해 별 관심이 없거나 상대국 문화에 흥미가 없다는 비율도 아주 낮지는 않다. 전체적으로 상대국 문화와 양국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지닌 집단들이 양국 경제 관계를 협력적으로 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러시아 국민 중에서 한국 문화와 양국 관계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거나 잘 모르는 일부 집단들도 한국과의 경제 관계를 협력적으로 보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러시아 국민은 한국 국민보다 양국 경제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희, "한러수교 20주년과 문화교류" 외국학연구소 (18) : 383-400, 2011

      2 송정수, "한국 대학생들의 러시아 국가이미지 연구, In A Search of Enhanced Cooperation and Mutual Recogni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33-42, 2015

      3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한·러 양국 국민 상호인식조사 : 미래 협력 전망" 도서출판 이환 2016

      4 홍완석, "한-러 문화교류 기초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5 신범식,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공유이익과 실현전략의 관점에서" 극동문제연구소 26 (26): 235-278, 2010

      6 고재남, "역대 정부의 대러 정책 성과 및 평가와 박근혜 정부의 대러 정책 과제"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1-21, 2013

      7 윤영기, "러시아에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 러시아 대학생들의 동북아 국가 이미지와 인식차이 비교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3 (3): 46-51, 2012

      8 ВЦИОМ, "Россия и Корея: Образы стран по данным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9 Овакимян, А., "Образ Кореи в общественном мнении россиян" (2) : 45-55, 2013

      10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2018 한·러 양국 국민 상호인식조사 : 미래 협력전망" 도서출판 이환 2018

      1 최진희, "한러수교 20주년과 문화교류" 외국학연구소 (18) : 383-400, 2011

      2 송정수, "한국 대학생들의 러시아 국가이미지 연구, In A Search of Enhanced Cooperation and Mutual Recogni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33-42, 2015

      3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한·러 양국 국민 상호인식조사 : 미래 협력 전망" 도서출판 이환 2016

      4 홍완석, "한-러 문화교류 기초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09

      5 신범식,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공유이익과 실현전략의 관점에서" 극동문제연구소 26 (26): 235-278, 2010

      6 고재남, "역대 정부의 대러 정책 성과 및 평가와 박근혜 정부의 대러 정책 과제"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1-21, 2013

      7 윤영기, "러시아에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 러시아 대학생들의 동북아 국가 이미지와 인식차이 비교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3 (3): 46-51, 2012

      8 ВЦИОМ, "Россия и Корея: Образы стран по данным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9 Овакимян, А., "Образ Кореи в общественном мнении россиян" (2) : 45-55, 2013

      10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2018 한·러 양국 국민 상호인식조사 : 미래 협력전망" 도서출판 이환 2018

      11 ВЦИОМ, "2018 Россия и Корея: Образы стран по данным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12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2017 한·러 양국 국민 상호인식조사 : 미래 협력전망" 도서출판 이환 2017

      13 ВЦИОМ, "2017 Россия и Корея: Образы стран по данным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14 최우익, "2016~17년 한반도 주변국에 대한 한·러 국민 인식의 변화: 한국 국민의 세대별 인식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소 27 (27): 227-254,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6 0.7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