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러 수교 이후 기술 협력의 평가와 전망 = On Prospects and Evalu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since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been widely discussed about the negative evaluations of the potential of Korea-Russia technology cooperation even though its complementary strength and validity in terms of the promising future of mutual technology developments in Korea and Russia. However, the changing global technological environments represent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strongly asking us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Moreover, it is now very timely to implement it with a new vision of the win-win strategical cooperation for developing new growth engines between Korean and Russia in that Korea is now very actively engaging a national project to expand the diplomatic space of cooperation by giving a boost to his New Northern Policy and New Southern Policy.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look over what was the limits of Korea-Russia technological cooperation in the past and provides some insight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of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in terms of teleology cooperation.
      번역하기

      There have been widely discussed about the negative evaluations of the potential of Korea-Russia technology cooperation even though its complementary strength and validity in terms of the promising future of mutual technology developments in Korea and...

      There have been widely discussed about the negative evaluations of the potential of Korea-Russia technology cooperation even though its complementary strength and validity in terms of the promising future of mutual technology developments in Korea and Russia. However, the changing global technological environments represent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strongly asking us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Moreover, it is now very timely to implement it with a new vision of the win-win strategical cooperation for developing new growth engines between Korean and Russia in that Korea is now very actively engaging a national project to expand the diplomatic space of cooperation by giving a boost to his New Northern Policy and New Southern Policy.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look over what was the limits of Korea-Russia technological cooperation in the past and provides some insight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of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in terms of teleology co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러 수교 이후 양국 간 기술협력은 상호 보완적 협력의 타당성과 성과에도 불구하고, 양국이 가지고 있는 협력 잠재력에 비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있어 왔다. 특히, 한국 측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일방적 방식으로 추진되었다는 러시아 측의 불만이 크다. 그럼에도, 양국 정부의 새로운 정책 기조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의 신(新)북방과 러시아 신(新)동방 경제협력 추진으로 협력공간과 접점이 확대되면서, 새롭게 창출되는 협력 수요와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관행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도와 접근 방안을 찾아야 할 시점에 있다. 이 연구는 수교 이후 현재까지의 한국과 러시아의 기술협력 추진 과정과 주요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객관적인 평가와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한 적절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한·러 수교 이후 양국 간 기술협력은 상호 보완적 협력의 타당성과 성과에도 불구하고, 양국이 가지고 있는 협력 잠재력에 비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있어 왔다. 특히, 한�...

      한·러 수교 이후 양국 간 기술협력은 상호 보완적 협력의 타당성과 성과에도 불구하고, 양국이 가지고 있는 협력 잠재력에 비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있어 왔다. 특히, 한국 측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일방적 방식으로 추진되었다는 러시아 측의 불만이 크다. 그럼에도, 양국 정부의 새로운 정책 기조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의 신(新)북방과 러시아 신(新)동방 경제협력 추진으로 협력공간과 접점이 확대되면서, 새롭게 창출되는 협력 수요와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관행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도와 접근 방안을 찾아야 할 시점에 있다. 이 연구는 수교 이후 현재까지의 한국과 러시아의 기술협력 추진 과정과 주요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객관적인 평가와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한 적절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상현, "한・러과학기술협력 성과집"

      2 김상환, "한러 스타트업 생태계 비교와 중소벤처기업 협력방안" 한러대화 27-63, 2017

      3 현도빈, "한·러 과학기술협력센터 설립 타당성 조사사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5

      4 이명진, "이스라엘의 과학기술체제와 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5 제성훈, "러시아의 ‘경제 현대화’ 정책과 한・러 협력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6 "러시아-중국 2020 기술협력 강화... 서방국 압박 완화할까"

      7 김상환, "러시아 기술혁신 체계와 산업기술협력 방안" 여시재 2018

      8 김한준, "국내 기술혁신기업의 실태분석 : 재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기술재단 2006

      9 "Переучи ученого: цифровые компетенции получит 1 млн специалистов"

      10 Горин, А. А., "Наука России в цифрах: 1999, Статистическийсборник"

      1 임상현, "한・러과학기술협력 성과집"

      2 김상환, "한러 스타트업 생태계 비교와 중소벤처기업 협력방안" 한러대화 27-63, 2017

      3 현도빈, "한·러 과학기술협력센터 설립 타당성 조사사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5

      4 이명진, "이스라엘의 과학기술체제와 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5 제성훈, "러시아의 ‘경제 현대화’ 정책과 한・러 협력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6 "러시아-중국 2020 기술협력 강화... 서방국 압박 완화할까"

      7 김상환, "러시아 기술혁신 체계와 산업기술협력 방안" 여시재 2018

      8 김한준, "국내 기술혁신기업의 실태분석 : 재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기술재단 2006

      9 "Переучи ученого: цифровые компетенции получит 1 млн специалистов"

      10 Горин, А. А., "Наука России в цифрах: 1999, Статистическийсборник"

      11 Абдрахманова, Г. И., "Индикаторы цифровой экономики 2019:статис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12 "https://dr.nrf.re.kr/stats/total"

      13 "https://data.worldbank.org/country"

      14 "http://www.tadviser.ru"

      15 "http://www.sk.ru"

      16 "http://www.rvc.ru"

      17 "http://www.korustec.or.kr"

      18 "http://static.government.ru"

      19 "http://news.kotra.or.kr/kotranews/index.do"

      20 Schumpeter, J. A, "Theorie der wirtschaftlichen Entwicklung" Duncker and Humbolt 1912

      21 Gartner, "Semiconductor Forecast Database, Worldwide, 4Q18 Update"

      22 이민경, "ICT기술수준조사 보고서"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18

      23 정보통신산업진흥원, "ICT & Broadcasting: 러시아 정보통신방송 현황2019" 2019

      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년 소프트웨어산업 연간보고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0

      25 산업통상자원부, "2019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6 0.7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