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고려시대의 육류 소비 풍속과 그 실질적 양상을 다양한 문헌 및 고고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 식육재의 종류와 소비, 그것이 갖는 의미와 역할, 관련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33863
박유미 (상명대학교)
2022
Korean
고려 ; 육류문화 ; 육식 풍속 ; 사냥 ; 불교 ; 不殺生 ; 禁殺令 ; the Goryeo Dynasty ; Meat culture ; Carnivorous customs ; Hunting ; Buddhism ; No killing(不殺生) ; A prohibition on killing(禁殺令)
KCI등재
학술저널
181-232(5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고려시대의 육류 소비 풍속과 그 실질적 양상을 다양한 문헌 및 고고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 식육재의 종류와 소비, 그것이 갖는 의미와 역할, 관련된 ...
이 글은 고려시대의 육류 소비 풍속과 그 실질적 양상을 다양한 문헌 및 고고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 식육재의 종류와 소비, 그것이 갖는 의미와 역할, 관련된 시대적 생활상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하여 당시의 육류문화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고려시대 육류 소비 풍속의 실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고려시대 내내 불교의 영향은 강했지만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육식의 풍속을 유지하였고 이것은 고려 중기를 거쳐 후기로 갈수록 더욱 강화되었다. 고려의 지배층들은 肉膳을 섭취하였고, 외교 사절단을 위한 연회음식이나 국가 제례에 쓸 제수음식과 희생제물 등을 마련하였다. 건강회복 및 부모 봉양을 위해서 고기를 수용한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신앙심에 따른 禁肉도 실행되었기 때문에 육식의 정황은 사람마다 달랐을 것이다. 한편, 고려의 백성들도 생계를 위해 야생동물 등의 여러 육류를 먹었으며 고려 후기에는 소와 말고기를 선호하기도 했다.
둘째, 고려 고위층들은 사냥을 여가활동 및 군사훈련으로 삼았으며 서민층들은 생업활동 중 하나로 삼았다. 고위층들의 경우, 무예를 연마하며 즐거움이나 재미를 얻기 위하여 여러 동물을 사냥했는데 이렇게 잡은 사냥감은 때때로 친분이 있는 사람들에게 선물로 보내졌다. 또한 군사훈련의 방법으로 겨울철에 군대로 하여금 사냥하도록 조치하였다. 백성들은 다양한 야생동물을 잡아 이를 활용하였으며 특히 겨울철에는 먹거리를 얻기 위한 사냥이 빈번했다. 농민들은 나라나 관료들에게 납부해야 할 공물이나 음식물을 마련하기 위해 자주 사냥에 나가야 해서 농사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고려시대에 사냥이나 살생을 금하는 禁殺令이 내려진 이유는 다양했으나 목적은 재해 극복과 가축 및 야생동물의 보호였다. 특히 牛馬 등의 役畜을 보호하고, 야생동물이 알을 낳거나 새끼를 키우는 봄철 등에 주의를 요하며 사냥을 금하였다. 하지만 이런 금살령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판단되며, 거듭된 금살령의 下令은 역설적으로 고려인들이 현실에서 겪는 여러 문제나 발생하는 일을 해결하기 위해 사냥을 지속하거나 동물을 살생할 필요가 있었음을 방증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희, "한국전통 음식문화 연구중 육류조리에 관한 고찰-고려이전까지" 안성산업대학교 14 : 1982
2 윤서석, "한국식품사연구" 신광출판사 1993
3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90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론 23" 국사편찬위원회 1993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0" 국사편찬위원회 2002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8" 국사편찬위원회 2002
7 이성우, "한국 식생활의 역사" 수학사 1992
8 오현승, "한국 수육류 음식의 문헌적 고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 마도 3호선 수중발굴조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2
10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 마도 2호선 수중발굴조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1
1 이경희, "한국전통 음식문화 연구중 육류조리에 관한 고찰-고려이전까지" 안성산업대학교 14 : 1982
2 윤서석, "한국식품사연구" 신광출판사 1993
3 강인희,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90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론 23" 국사편찬위원회 1993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0" 국사편찬위원회 2002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8" 국사편찬위원회 2002
7 이성우, "한국 식생활의 역사" 수학사 1992
8 오현승, "한국 수육류 음식의 문헌적 고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 마도 3호선 수중발굴조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2
10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 마도 2호선 수중발굴조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1
11 룩 콴텐, "유목민족제국사" 민음사 1984
12 임병순, "우리나라 육류음식의 역사적 고찰" 공주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1 : 1993
13 정대성, "우리 음식문화의 지혜" 역사비평사 2001
14 곽영태, "몽골 돼지고기 시장 분석 및 수출 지속 가능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507-510, 2005
15 유애령, "몽고가 고려의 육류 식용에 미친 영향" 87 : 1999
16 이경록, "국역 향약구급방" 역사공간 2018
17 朴相敦, "고려중기 무예적 체육 활동에 관한 연구 : 무신정변을 전후한 시기를 중심으로"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18 이성우, "고려이전의 한국식생활사연구" 향문사 1978
19 윤덕인, "고려시대의 식생활에 관한 연구-고려도경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1990
20 윤성재, "고려시대 식품의 생산과 소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1 박용운, "고려시대 사람들의 식음생활" 경인문화사 2019
22 한복진 ; 정라나, "고려시대 궁중의 식생활에 대한 고찰-연회식과 의례식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73-82, 2003
23 이병희, "고려시기 사냥의 성행(盛行)과 대책" 한국중세사학회 (67) : 303-344, 2021
24 이병희, "高麗時期 不殺生과 不食肉" 고려사학회 (85) : 71-105, 2021
25 "高麗圖經 卷23․26"
26 "高麗史節要 卷1․2․5․12․15․24"
27 "高麗史 卷1․2․3․6․7․9․12․14․18․25․28․30․31․33․34․35․37․38․39․40․46․53․54․59․60․61․62․63․93․94․107․112․113․114․121․123․124․127․129․133․135․136"
28 "閔瑛묘지명"
29 "金永夫묘지명"
30 "釋名 卷4"
31 "鄕藥救急方 卷上․中․下"
32 "農桑輯要"
33 "說文解字 卷4․5"
34 "禮記 卷5"
35 "牧隱詩藁 卷4․5․7․9․13․15․25․30․34"
36 "柳墩묘지명"
37 "東文選 卷4․20"
38 "東國李相國後集 卷2․6․7․37"
39 "東國李相國前集 卷6․8․9․10․11․17․19․21․25․38"
40 "東人之文五七 卷9"
41 "廉瓊愛묘지명"
42 "宋史 卷487"
43 "三國史記 卷1"
44 윤성재, "『고려도경』에 보이는 고려의 의식주" 한국중세사학회 (55) : 115-140, 2018
45 "https://www.doopedia.co.kr"
조선민속학회 기관지 『조선민속』을 통해 본 1세대 연구자들의 민속학 인식
식민지기에 창립된 세계 유일 민속학회, 조선민속학회의 의의와 지속
동해안 지역의 기후변화와 어촌의 현실 -경북 영덕 지역의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