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이 학문과 문화의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대함을 우선 강조하였다. 번역이란 어느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기는 단순작업이 아닌데도 그간 작업성과로서 번역을 인정하는 데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93500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7-274(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번역이 학문과 문화의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대함을 우선 강조하였다. 번역이란 어느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기는 단순작업이 아닌데도 그간 작업성과로서 번역을 인정하는 데 인...
번역이 학문과 문화의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대함을 우선 강조하였다. 번역이란 어느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기는 단순작업이 아닌데도 그간 작업성과로서 번역을 인정하는 데 인색했던 우리의 학술수준과 저열한 안목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특히 한문고전의 경우는 우리의 전통문화 및 가치관, 그리고 미래의 방향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고전번역에 보다 관심 갖고 대할 필요가 있음을 설파하였다.
본 논문은 명대 말기 태주학파의 사상가 李贄(1527~1602)의 『焚書』와 『續焚書』를 번역한 경험에 기반하여 한문고전의 우리말 번역에 대해 다루고 있다. 첫 번째로 번역 일반론에 관해 논한 뒤 다음 장에서는 실제 고전번역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는 판본, 강독, 공구서, 각주처리 등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런데 번역의 결과는 작업에 임하는 번역자의 자세와 능력에 의해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셋째 장에서는 역자의 열정과 사명감이 가장 중요한 번역요건임을 설파하는 동시에 학문적 능력과 연계되는 해독력,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 문장력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이른바 ‘좋은 번역’의 함의를 설명하면서 학인으로서의 의무가 어떤 것인지를 말하고자 하였다. 고전번역에 대한 인식이 달라져 우리의 문화적 수준이 제고되길 바라는 한편, 앞으로는 학제적이고 다차원적인 접근을 통해 좋은 결과물이 양산되길 기대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민, "컨텍스트로,패턴으로" 문학과 지성사 1996
2 Marianne Lederer, "번역의 오늘"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3 Roger T. Bell, "번역과 번역하기" 고려대 출판부 2000
4 "두산 엔싸이버 세계대백과"
5 金惠經, "고전번역의 조건" 중국어문학회 13 : 10-206, 2003
6 김혜경, "고전 번역의 문제와 해결" 중국어문학회 8 : 2000
7 김용옥, "東洋學 어떻게 할 것인가" 통나무 1989
8 趙順孫, "四書纂疏" 臺灣新興書局 民國 61
9 "中庸"
10 Steiner, "Psycholinguistics: Language, Mind and world" Longman 1982
1 김영민, "컨텍스트로,패턴으로" 문학과 지성사 1996
2 Marianne Lederer, "번역의 오늘"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3 Roger T. Bell, "번역과 번역하기" 고려대 출판부 2000
4 "두산 엔싸이버 세계대백과"
5 金惠經, "고전번역의 조건" 중국어문학회 13 : 10-206, 2003
6 김혜경, "고전 번역의 문제와 해결" 중국어문학회 8 : 2000
7 김용옥, "東洋學 어떻게 할 것인가" 통나무 1989
8 趙順孫, "四書纂疏" 臺灣新興書局 民國 61
9 "中庸"
10 Steiner, "Psycholinguistics: Language, Mind and world" Longman 1982
11 Tytler, "Essay on the Principles of Translation" Dent 1791
차이의 철학으로서의 이탁오의 ‘음양남녀론’에 대한 여성주의 이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23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