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統一新羅前期 石造建築의 隱藏 硏究 I - 감은사석탑, 불국사 석가탑, 석굴암, 월정교·춘양교를 중심으로 - = On the Stone-joint Metal Clamps (“eun-jang”) from the Early Unified Silla Stone Monuments datable to 680-770 CE - Part On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one-joint metal clamp, called “eun-jang ” in Korean (meaning “hidden”), is a masonry construction technology utilized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First found on the stone pagoda of Gameunsa temple (completed in 682CE), it is proven a s...

      The stone-joint metal clamp, called “eun-jang ” in Korean (meaning “hidden”), is a masonry construction technology utilized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First found on the stone pagoda of Gameunsa temple (completed in 682CE), it is proven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birth and preservation of great early-Unified Silla (ca,676-800) stone monuments such as the pagodas of Gameunsa and Bulguksa Buddhist temples, the Seokguram grotto temple, and the two bridges of Weoljungyo and Chunyanggyo. Its presence, though hidden and “microscopic”, reconfirms the inseparable unity of art and technology. Furthermore, it represents the spirit of challenge and the creative zeal of the Silla people who took its daring adaptation to the Buddhist stone-pagoda, a unique achievement in the world.
      The “eun-jang ” stone-joint of Korea has not been a focus of serious scholarly inquiry within Korea, nor has been recognized internationally. This paper aims, firstly to carry out an in-depth study on the technical and stylistic aspects of the eun-jang from the aforementioned type-sites, secondly to investigate its possible correlative link with other accompanying reinforcement techniques of stone masonry such as the use of wedge-stones.
      In the ensuing article (December-2019 issu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Korean eunjang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Chinese counterpart called “yao-tie ” (meaning “waist-iron”), which predates the Silla eun-jang , and further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distribution of stonejoint clamps with a closer look at the more historically relevant ancient Roman and Persian us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藏은 고대 ‘건식 마름돌 축조’에서 석재간의 이완과 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해 석재들을 연접, 결속하는 보강기술이다. 이 기법은 統一新羅 前期(약 676년~800년)의 왕실 주도 불교 사찰건축...

      藏은 고대 ‘건식 마름돌 축조’에서 석재간의 이완과 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해 석재들을 연접, 결속하는 보강기술이다. 이 기법은 統一新羅 前期(약 676년~800년)의 왕실 주도 불교 사찰건축과 교량 건설에 도입되었고, 현재로서는 感恩寺 石塔 두 기가(682년 완성)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다. 한반도의은장들은 대체로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채 이들 석조건축의 구조적 안정성을 최대치로 끌어 낸 숨은 공로자로서, 예술과 기술의 불가분의 관계를 재확인시켜 준다. 그리고 이 은장기술이 한반도에서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석탑에 과감히 도입되었다는 사실은 석조건축의 시대인 통일신라의 도전적 창조성을 여실히 드러낸다.
      한국의 은장은 국내 학계에서 중심 주제로 연구된 바는 없으며, 해외에도 그 존재가 알려져 있지않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은장의 표준 사례이며 통일신라 전기 석조건축을 대표하는 감은사와 불국사의석탑들, 월정교와 춘양교의 두 교량, 그리고 석굴암에 사용된 은장들의 유형과 설치기법을 조사하고, 은장 기법과 함께 등장하는 다른 석조건축 기술들과의 친연성을 탐문하면서, 이 미시적 공력이 석조건축 예술의 탄생과 보전에 기여한 바를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의 2부(2019.12)에서는 중국 北周(557~581)시대 무덤 두 기와 隋代(581~618) 趙州橋(安濟 橋)에 나타난 腰鐵(은장)을 심층적으로 다루면서 한반도 통일신라 전기 은장과의 연관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한중 양국 은장의 유래와 발전을 당시 국제사적으로 연관성이 깊은 로마문화권과 페르시아문화권에 집중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원사 규명 유물 대량 출토" 경북매일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vol.12"

      3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탑" 솔출판사 2003

      4 이강근, "토함산 석굴에 대한 건축사적 해석"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6) : 33-60, 2016

      5 "창경궁관천대,”문화재청 국가문유산포탈"

      6 국립문화재연구소, "제3장 정림사지 정밀실측, 부여정림사지 정비복원고증 기본조사 (자료편)" 2009

      7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전통목조결구법"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전인용사지 발굴조사 중간보고서" 2009

      9 김지현,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에 대한 고찰" 불교미술사학회 22 : 7-56, 2016

      10 "의성 탑리 오층석탑서 발견된 은장 조만간 전시" 매일신문

      1 "호원사 규명 유물 대량 출토" 경북매일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vol.12"

      3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탑" 솔출판사 2003

      4 이강근, "토함산 석굴에 대한 건축사적 해석"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6) : 33-60, 2016

      5 "창경궁관천대,”문화재청 국가문유산포탈"

      6 국립문화재연구소, "제3장 정림사지 정밀실측, 부여정림사지 정비복원고증 기본조사 (자료편)" 2009

      7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전통목조결구법"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전인용사지 발굴조사 중간보고서" 2009

      9 김지현,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에 대한 고찰" 불교미술사학회 22 : 7-56, 2016

      10 "의성 탑리 오층석탑서 발견된 은장 조만간 전시" 매일신문

      11 "월정교5단석 완공 현장을 돌아보다環-09-06"

      12 경상북도, "신라천년의 역사와 문화 자료집7" 2016

      13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석굴암의 과학적 보존을 위한 전문가 회의록"

      14 문화재관리국, "석굴암의 과학적 보존-자료편" 1990

      15 문교부, "석굴암수리공사보고서" 1967

      16 문교부, "석굴암석굴의 현황과 보수대책(안)" 79-123, 1961

      17 문교부, "석굴암보존연구(자료)"

      18 황수영, "불국사와 석굴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19 국립문화재연구소, "부여정림사지 정비복원고증 기본조사(자료편)" 2009

      20 "부여만수산무량사오층석탑"

      21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 해체조사보고서V<도판>" 2017

      22 문화재관리국, "미륵사지동탑 복원설계보고서" 1990

      23 문화재관리국,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조사연구보고서" 1987

      24 문화재관리국, "미륵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I" 1989

      25 문화재관리국(경주사적관리사무소), "고선사지 발굴조사보고서" 1977

      26 성균관대학교박물관, "경주 신라유적의 어제와 오늘"

      27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수리보고서Ⅱ" 2017

      28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수리보고서" 2017

      29 김지현, "경주 구황동 塔址의 石塔材 고찰: 異型石塔說에 대한 再論을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20 : 7-38, 2015

      30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수리보고서" 2010

      31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수리공사: 2005-2008" 2012

      32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I" 2007

      33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II" 2009

      34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기술용어총서 제3호" 2012

      35 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보수정비보고서" 2011

      36 국립박물관, "감은사I" 1961

      37 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 발굴조사보고서" 1997

      38 홍대한, "高麗 石塔의 建立背景과 製作技法 硏究" 한국문화사학회 (43) : 25-63, 2015

      39 維基百科, "趙州橋"

      40 福井県, "福井城跡, 山里口御門地點 現地説明會資料"

      41 서병국, "春陽橋와 月淨橋의 築造時期에 대한 檢討" 1 : 2005

      42 박장식, "春陽橋址(日精橋址, 史蹟457號)發掘調査報告書"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5

      4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春陽橋址(日精橋址, 史蹟457號)發掘調査報告書" 2005

      44 南時鎭, "新羅橋梁址에 관한 硏究" 慶州大學校大學院 2003

      45 "新增東國輿地勝覽"

      4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五陵北便橋梁址 發掘調査報告書" 2002

      47 박경식, "彌勒寺址石塔을 통해본 百濟 石造文化의 獨創性-中國 亭閣型佛塔과의 比較를 중심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48 青森県弘前市, "史跡津軽氏城跡(弘前城跡)弘前城本丸発掘調査概報Ⅳ-本丸石垣解體修理事業に係る発掘調査-" 2015

      49 唐寰澄, "中國科學技術史·橋樑卷" 科學出版社 2000

      50 "三國遺事"

      51 "三國史記"

      52 National Museum of Korea, "Seokguram Grotto: Zenith of Silla Buddhist Art"

      53 "Mystery of ancient metal clips,環-05-16"

      54 김현용, "3차원 형상정보를 활용한 불국사삼층석탑 기단부 복원연구"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