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WHO의 지역사회중심재활(CBR) 매트릭스에 입각한 장애인복지관 사업의 개선방안 =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the welfare center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WHO's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CBR) matri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73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improve the plan of the welfare center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is, It was analyzed the welfare center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through WHo’s CBR matrix. As a result of analysis, among the health areas of CBR Matrix, the health promotion project was not conducted at welfare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Non-formal education projects in the education are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self-employment projects in the livelihood areas were insufficient. In the social area, recreation, leisure, culture, sports were not underway. It was not underway the political participation projects in empowermen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 project and detailed programs to be supplemented in welfare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propo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improve the plan of the welfare center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is, It was analyzed the welfare center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through WHo’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improve the plan of the welfare center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is, It was analyzed the welfare center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through WHo’s CBR matrix. As a result of analysis, among the health areas of CBR Matrix, the health promotion project was not conducted at welfare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Non-formal education projects in the education are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self-employment projects in the livelihood areas were insufficient. In the social area, recreation, leisure, culture, sports were not underway. It was not underway the political participation projects in empowermen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 project and detailed programs to be supplemented in welfare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관 사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장애인복지의 최근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개발된 WHO의 CBR매트릭스를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복지관 사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BR매트릭스의 보건영역 중 건강증진사업은 장애인복지관에서 시행되지 않고 있었다. 교육영역에서 비정규교육사업, 생계영역에서 기술개발과 자영업사업의 시행이 부족하고 사회영역에서는 레크리에이션ㆍ여가ㆍ문화ㆍ스포츠, 임파워먼트 영역에서는 정치참여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 않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사업에서 보완해야 할 사업과 세부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관 사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장애인복지의 최근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개발된 WHO의 CBR매트릭스를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관 사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장애인복지의 최근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개발된 WHO의 CBR매트릭스를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복지관 사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BR매트릭스의 보건영역 중 건강증진사업은 장애인복지관에서 시행되지 않고 있었다. 교육영역에서 비정규교육사업, 생계영역에서 기술개발과 자영업사업의 시행이 부족하고 사회영역에서는 레크리에이션ㆍ여가ㆍ문화ㆍ스포츠, 임파워먼트 영역에서는 정치참여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 않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사업에서 보완해야 할 사업과 세부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2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3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4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5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6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7 신현석, "지역사회중심재활(CBR)사업 방향" 56 : 100-107, 2007

      8 변용찬,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CBR)의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9 박석돈,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장애인 직업재활에 관한 연구" 6 (6): 23-44, 2004

      10 김범수, "재가복지론" 홍익제 1992

      1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2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3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4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5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6 윤재영, "지역사회중심포괄개발을 위한 WHO CBR 가이드라인" 삼육대학교 2014

      7 신현석, "지역사회중심재활(CBR)사업 방향" 56 : 100-107, 2007

      8 변용찬,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CBR)의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9 박석돈,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장애인 직업재활에 관한 연구" 6 (6): 23-44, 2004

      10 김범수, "재가복지론" 홍익제 1992

      11 김정대, "장애인복지환경 변화에 따른 장애인복지관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12 김용득, "장애인복지관의 지역사회중심지원서비스(CBSS)모형개발" 경기복지재단 2013

      13 윤재영,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 환경 변화와 대응 과제: 서울 N복지관의 경우"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37 : 89-113, 2017

      14 김혜정, "장애인복지 환경변화에 따른 장애인복지관기능재정립 방안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6

      15 이송희, "장애인복지 환경 변화에 따른 서울시 장애인복지관 기능개편 방안"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21-139, 2019

      16 김용득, "장애개념 변화와 장애인복지관 지역사회중심 재활 실천의 재구조화"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 : 49-74, 2006

      17 "법제처 홈페이지"

      18 Miles. S., "Engaging with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 the experience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11 (11): 501-517, 1996

      19 Taylor. R. R., "Encyclopedia of disability" Sage Publication 286-289, 2005

      20 Lightfoot, 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 a rapidly growing method ofr suppor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47 (47): 455-468, 2004

      21 보건복지부, "2020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22 보건복지부, "2019년 장애인복지시설일람표"

      23 보건복지부, "2019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24 보건복지부, "2018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25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26 보건복지부, "2016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27 보건복지부, "2015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28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29 보건복지부, "2013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30 보건복지부, "2012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1 보건복지부, "2011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2 보건복지부, "2010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3 보건복지부, "2009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4 보건복지부, "2008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5 보건복지부, "2007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6 보건복지부, "2005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7 보건복지부, "2001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8 보건복지부, "2000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39 보건복지부, "1999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3 1.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