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세계사 교육이 서구중심적 틀 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오랫동안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서구중심적 틀에서 벗어나 한국적 세계사관을 정립하고, 그것을 세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740275
Kang, Sun Ju (서울 미성중학교)
2001
English
374.305
학술저널
51-79(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한국의 세계사 교육이 서구중심적 틀 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오랫동안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서구중심적 틀에서 벗어나 한국적 세계사관을 정립하고, 그것을 세계...
한국의 세계사 교육이 서구중심적 틀 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오랫동안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서구중심적 틀에서 벗어나 한국적 세계사관을 정립하고, 그것을 세계사 교육에 반영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로서 쉽게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도대체 미국의 서구중심 세계사 교육관의 본질은 무엇이며, 그 문제는 무엇인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이 논문은 먼저 미국의 세계사 교육관을 둘러싼 논쟁을 세계사 국가 표준서(the National Standards for World History)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고, 현재 미국 세계사 교육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서구중심적 세계사 교육관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에서 1994년 발행된 세계사 국가 표준서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진행되어 온 세계사 교육의 관점과 내용 구성에 대한 논쟁을 학계뿐 아니라 세간에까지 확대시켰다. 세계사 국가 표준서를 둘러싼 논쟁은 크게 두 가지 관점 - 서구중심적 접근(Western-centered approach)과 글로벌 - 다문화적 접근(Global-multicultural approach) -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 논쟁의 핵심은 세계사에서 서구문명의 비중 문제로 요약된다. 서구중심적 접근에서는 서구문명의 세계사 내용 구성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글로벌-다문화적 접근에서는 서구문명은 여러 문명 중 하나로서 다루어져야 하며, 서구중심의 편협한 과점에서 탈피하여 더 포괄적인 관점에서 세계사를 서술하고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역사서술과 역사교육은 그 시대와 사회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현실 이해와 고민을 반영한다. 따라서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역사는 재해석되었고, 역사교육은 재정립되어 왔다. 최근 세계화, 정보화, 그리고 민족, 국가를 포함한 여러 집단들의 문화적 다양성 수용 요구의 강화로 대표되는 사회 변화는 새로운 인류사의 관점을 세우고 그 관점에 따라 역사교육의 내용을 재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의 많은 세계사 교과서 저자들과 출판인들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서구문명 이외에 다른 문명 또는 민족의 관점이나, 문명의 단계를 넘어서는 보다 포괄적인 전 지구적 차원에서 역사를 재조명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 대부분은 서술 양에서나, 개념적 틀에서나, 관점에서나 서구중심적 접근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먼저 서술 양에서 보면, 세계사 교과서 서술의 2/3 정도가 서구문명사에 대한 기술인 반면, 나머지 1/3 정도만이 아시아, 동유럽,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와 북미대륙의 발견 이전의 원주민에 대한 서술이다. 개념적 틀에서 보면, 서구문명사의 시대구분과 내용선정 기준이 세계사의 시대구분과 내용선정에 거의 그대로 반영되어 서구문명의 생성과 발전과정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면, 다른 문명들에 대한 서술은 산발적이어서 그 문명들의 전체적인 발전과정을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문명간의 상호교류와 그로 인해 여러 문명에 걸쳐서 펼쳐진 거대한 변화를 학생들이 인식하기 어려운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관점 면에서도 서구적인 관점이 서구문명은 물론 비서구문명 해석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사 교과서 서술은 마치 서구문명이 인류발전의 중심이 되는 거대한 강이라면 다른 문명들은 여기저기서 흘러 들어와 그 강에 합류되는 지류에 불과한 인상을 학생들에게 심기 쉽다. 사회사학자들과 글로벌-다문화적 관점에서 세계사를 보는 많은 역사학자와 교육학자들은 현재 세계 변화가 이러한 서구중심적 세계사 교육의 해체와 관점의 재정립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초등 교사의 수업 창의성이 학생의 토론절차 수행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