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중국, 미국의 모바일 정보역량과 삶의 질에 관한 비교연구 =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Mobile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among Korea, China, and US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9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spread of smartphones, mankind has been able to access and use a variety of mobile information anywhere, anytime. Mobile competency, the capability of accessing and using mobile information is affect the quality of the individual’s life. In this study, 1,290 South Korean, Chinese, and American responded on mobile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As a result, Korean had highest score in mobile information accessibilty, but American in mobile information utilization. Korea showed lowest rating i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due to mobile competency. These results shows that Korean do not properly utilized mobile information for higher quality of life although they use longest time of mobile internet. Also, consumer innovativenes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utilization of mobile information among individual variables.
      번역하기

      Due to the spread of smartphones, mankind has been able to access and use a variety of mobile information anywhere, anytime. Mobile competency, the capability of accessing and using mobile information is affect the quality of the individual’s life. ...

      Due to the spread of smartphones, mankind has been able to access and use a variety of mobile information anywhere, anytime. Mobile competency, the capability of accessing and using mobile information is affect the quality of the individual’s life. In this study, 1,290 South Korean, Chinese, and American responded on mobile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As a result, Korean had highest score in mobile information accessibilty, but American in mobile information utilization. Korea showed lowest rating i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due to mobile competency. These results shows that Korean do not properly utilized mobile information for higher quality of life although they use longest time of mobile internet. Also, consumer innovativenes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utilization of mobile information among individual variab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류는 다양한 모바일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모바일 정보에 접근하고 다루는 모바일 정보역량은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미국 3국의 소비자 1,29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정보역량과 삶의 질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정보역량 중에서 정보접근역량은 한국이 가장 높았으나, 정보활용역량에서는 미국이 가장 높고, 한국이 가장 낮게 나왔다. 모바일로 인한 삶의 질 향상에서도 한국은 미국, 중국에 이어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이 접근성이 좋아 모바일 인터넷 사용시간은 많지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제대로 활용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모바일 정보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수들을 중 소비자 혁신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에서는 모바일정보 활용능력을 함양시키고 혁신성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류는 다양한 모바일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모바일 정보에 접근하고 다루는 모바일 정보역량은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류는 다양한 모바일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모바일 정보에 접근하고 다루는 모바일 정보역량은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미국 3국의 소비자 1,29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정보역량과 삶의 질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정보역량 중에서 정보접근역량은 한국이 가장 높았으나, 정보활용역량에서는 미국이 가장 높고, 한국이 가장 낮게 나왔다. 모바일로 인한 삶의 질 향상에서도 한국은 미국, 중국에 이어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이 접근성이 좋아 모바일 인터넷 사용시간은 많지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제대로 활용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모바일 정보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수들을 중 소비자 혁신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에서는 모바일정보 활용능력을 함양시키고 혁신성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미영, "휴대폰 사용자간 정보격차는 존재하는가?" 241-245, 2012

      2 이동수, "한국사회의 복지지항적 정보화의 필요성 고찰"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383-407, 2004

      3 이현화, "패션점포 내 모바일 제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제공의도와 협력의도" 한국의류학회 37 (37): 1139-1154, 2013

      4 유재현, "중국소비자의 모바일 쇼핑 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9 (9): 81-106, 2009

      5 전자신문, "중국 커머스시장, 모바일이 승부처"

      6 조명한, "정보화와 삶의 질;사회활동 및 개인심리" 15 (15): 3-33, 1993

      7 조윤희, "정보사회론" 신지원 2013

      8 김지훈, "정보복지의 개념과 전망" 187 : 58-71, 2010

      9 황주성, "인터넷의 정치, 사회적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10 박철, "인터넷 오픈마켓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0 (10): 89-114, 2009

      1 조미영, "휴대폰 사용자간 정보격차는 존재하는가?" 241-245, 2012

      2 이동수, "한국사회의 복지지항적 정보화의 필요성 고찰"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383-407, 2004

      3 이현화, "패션점포 내 모바일 제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제공의도와 협력의도" 한국의류학회 37 (37): 1139-1154, 2013

      4 유재현, "중국소비자의 모바일 쇼핑 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9 (9): 81-106, 2009

      5 전자신문, "중국 커머스시장, 모바일이 승부처"

      6 조명한, "정보화와 삶의 질;사회활동 및 개인심리" 15 (15): 3-33, 1993

      7 조윤희, "정보사회론" 신지원 2013

      8 김지훈, "정보복지의 개념과 전망" 187 : 58-71, 2010

      9 황주성, "인터넷의 정치, 사회적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10 박철, "인터넷 오픈마켓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0 (10): 89-114, 2009

      11 정수연, "온라인쇼핑가치가 사이트속성중요도와 쇼핑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과 영국의 차이를 중심으로-" 국제e-비즈니스학회 11 (11): 69-94, 2010

      12 금희조,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5 (25): 7-48, 2011

      13 최수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IS 지속이용모델과 고객 가치-만족-충성도 모델의 통합적 접근" 한국경영정보학회 23 (23): 1-28, 2013

      14 김미령, "베이비붐세대의 정보활용이 정보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113-137, 2012

      15 한국인터넷진흥원, "모바일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16 황용석,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98-225, 2012

      17 김희연, "국내외 SNS의 현황과 사회적 의미" 24 (24): 19-42, 2012

      18 Brown, B., "Wireless world: social, cultural and interactional issues in mobile communications and computing" Springer 2001

      19 Kim, H. W., "Value-based adoption of mobile internet: an empirical investigation" 43 (43): 111-126, 2007

      20 Sarker, S., "Understanding mobile handheld device use and adoption" 46 (46): 35-40, 2003

      21 Meso, P., "Towards a model of consumer use of mobi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LDCs: the case of sub-Saharan Africa" 15 (15): 119-146, 2005

      22 Diener, E. 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23 Ald s-Manzano, J., "The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risk in online banking usage" 27 (27): 53-75, 2009

      24 Castells, M.,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The information ag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Vol. 1)" John Wiley & Sons 2011

      25 Hofstede, G., "The cultural relativity of the quality of life concept" 9 (9): 389-398, 1984

      26 Van Dijk, Jan, "The Deepening Divide: Inequa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Sage Publications 2005

      27 Rice, T. W., "Subjective well-being and culture across time and space" 35 (35): 633-647, 2004

      28 Fafchamps, M., "Subjective welfare, isolation, and relative consumption" 86 (86): 43-60, 2008

      29 Beuran, M., "Subjective welfare and the informal sector: the case of Russia"

      30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10-230, 2007

      31 한상연, "SNS사용을 통한 자기표현이 대인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개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2 (22): 29-64, 2013

      32 Wang, Y. S., "Predicting consumer intention to use mobile service" 16 (16): 157-179, 2006

      33 Bustillo, M., "Phonewielding shoppers strike fear into retailers"

      34 Diener, E.,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s of life" 54 (54): 403-425, 2003

      35 Cheong, Ho J., "Mobile internet acceptance in Korea" 15 (15): 125-140, 2005

      36 Goldsmith, R. E., "Measuring consumer innovativeness" 19 (19): 209-221, 1991

      37 Lee, I., "Measurement development for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obile Internet users at the individual level" 26 (26): 1355-1368, 2010

      38 Marchick, Adam, "Is Anyone Really Buying Anything On Mobile?"

      39 Ishii, K., "Internet use via mobile phone in Japan" 28 (28): 43-58, 2004

      40 Hirschman, E. C.,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13 (13): 283-295, 1980

      41 Gross, R., "Information revelation and privacy in online social networks" 71-80, 2005

      42 Morris, M. H., "Individualism and the modern corporation: Implications for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19 (19): 595-612, 1993

      43 Park, Cheol, "Hedonic and utilitarian values of mobile internet in Korea" 4 (4): 497-508, 2006

      44 Puro, J. P., "Finland: a mobile culture. Perpetual contact: Mobile communication, private talk" 33 : 19-29, 2002

      45 Lu, H. P.,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on mobile shopping web sites" 19 (19): 442-458, 2009

      46 Kim, J., "Exploring ebusiness implications of the mobile internet: a cross-national survey in Hong Kong, Japan and Korea" 2 (2): 1-21, 2004

      47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24 (24): 39-50, 1981

      48 Anderson, R. E., "Esatisfaction and e-loyalty: a contingency framework" 20 (20): 123-138, 2003

      49 Taylor, M. Z., "Does culture still matter?: The effects of individualism on national innovation rates" 27 (27): 234-247, 2012

      50 Fahey, T., "Do subjective indicators measure welfare? Evidence from 33 European societies" 6 (6): 5-27, 2004

      51 Norris, P.,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52 Wu, J. H., "Development of a tool for selecting mobile shopping site: A customer perspective" 5 (5): 192-200, 2006

      53 Yang, K., "Determinants of US consumer mobile shopping services adoption: implications for designing mobile shopping services" 27 (27): 262-270, 2010

      54 Lee, I., "Culture-technology fit: Effect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on the postadoption beliefs of mobile Internet users" 11 (11): 11-51, 2007

      55 Hofstead, G., "Culture and organizations" 34 (34): 15-41, 1980

      56 Vasalou, A., "Cultural differences, experience with social networks and the nature of “true commitment”in Facebook" 68 (68): 719-728, 2010

      57 Moisander, J., "Corporate narratives of information society: Making up the mobile consumer subject" 9 (9): 257-275, 2006

      58 Rice, R. E., "Comparing internet and mobile phone usage: digital divides of usage, adoption, and dropouts" 27 (27): 597-623, 2003

      59 Goggin, G., "Cell phone culture: Mobile technology in everyday life" Routledge 2012

      60 Siau, K., "Building customer trust in mobile commerce" 46 (46): 91-94, 2003

      61 Park, Cheol, "Antecedents of online reviews’ usage and purchase influence: an empirical comparison of US and Korean consumers" 23 (23): 332-340, 2009

      62 Merisavo, M., "An empirical study of the drivers of consumer acceptance of mobile advertising" 7 (7): 41-50, 2007

      63 Lai, J. Y., "An empirical study of consumer switching behaviour towards mobile shopping: a Push-Pull-Mooring model" 10 (10): 386-404, 2012

      64 Citrin, Varma A., "Adoption of Internet shopping: the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100 (100): 294-300, 2000

      65 Hartman, J. B., "Adolescents’utilitarian and hedonic Web consumption behavior: Hierarchical influence of personal values and innovativeness" 23 (23): 813-839, 2006

      66 Park, Y., "Acceptance and adoption of the innovative use of smartphone" 107 (107): 1349-1365, 2007

      67 Sohn, T., "A diary study of mobile information needs" 433-442, 2008

      68 Choi, J.,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of consumer eshopping adoption" 25 (25): 821-838, 2004

      69 Park, Cheol,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Internet buying behavior: Effects of Internet usage, perceived risks, and innovativeness" 20 (20): 534-553, 2003

      70 Steenkamp, J. B. E., "A cross-national investigation into the individual and national cultural antecedents of consumer innovativeness" 32 (32): 55-69, 1999

      71 Campbell, S. W.,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uses of mobile telephony" 9 (9): 343-363, 2007

      72 Truong, Y., "A cross-country study of consumer innovativeness and technological service innovation" 20 (20): 130-137, 2013

      73 Lee, Y.,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Value Structure of Mobile Internet Usag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3 (3): 227-239, 2002

      74 뉴시스, "40-50대 엄지족, 모바일 쇼핑 큰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formatization Polic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전산원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정보화정책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5 1.55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31 1.756 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