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의 경관협정을 통한 마을 만들기 사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llage Formation Example through Japanese Landscape Agre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3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illage formation through landscape agreements of all things has sufficient expectation effects in that it outgrows the existing hardware- and development-oriented methods and realizes software- and policy-centered measures developed on the basis of environments and amenity.

      Village formation through landscape agreements is a work toward future in the long term. Villages are moving in the flow of time. Recognition on life environments and changes in consciousness of residents may be the most direct head start showing the possibility of village formation. However, the signs of such changes are yet uncertain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changes in conscious ness would lead to realization and accomplishm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struct a society-wide system in which administration, experts, and local residents altogether support resident-led village formation, as well as efforts to enhance and expand the sprouts of hope.
      번역하기

      Village formation through landscape agreements of all things has sufficient expectation effects in that it outgrows the existing hardware- and development-oriented methods and realizes software- and policy-centered measures developed on the basis of e...

      Village formation through landscape agreements of all things has sufficient expectation effects in that it outgrows the existing hardware- and development-oriented methods and realizes software- and policy-centered measures developed on the basis of environments and amenity.

      Village formation through landscape agreements is a work toward future in the long term. Villages are moving in the flow of time. Recognition on life environments and changes in consciousness of residents may be the most direct head start showing the possibility of village formation. However, the signs of such changes are yet uncertain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changes in conscious ness would lead to realization and accomplishm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struct a society-wide system in which administration, experts, and local residents altogether support resident-led village formation, as well as efforts to enhance and expand the sprouts of hop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석, "함평군과 나가하마시(長浜)의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207-214, 2008

      2 이정형, "지자체 경관시책의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경관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229-240, 2008

      3 이명주, "주민참여속에 마을만들기의 사례와 시사점" 51 (51): 2007

      4 조미향, "우리나라의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현황 및 향후 전개방향에 관한연구" 2006

      5 목정훈, "마을만들기 운영사례 비교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와 동경도 세타가야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9 (9): 19-38, 2008

      6 송대호, "기성시가지의 경관이미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양산시 도시경관의 형태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1 (21): 217-226, 2005

      7 최일홍, "경관법과 도시공간관리" 20-, 2007

      1 이윤석, "함평군과 나가하마시(長浜)의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207-214, 2008

      2 이정형, "지자체 경관시책의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경관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229-240, 2008

      3 이명주, "주민참여속에 마을만들기의 사례와 시사점" 51 (51): 2007

      4 조미향, "우리나라의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현황 및 향후 전개방향에 관한연구" 2006

      5 목정훈, "마을만들기 운영사례 비교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와 동경도 세타가야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9 (9): 19-38, 2008

      6 송대호, "기성시가지의 경관이미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양산시 도시경관의 형태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1 (21): 217-226, 2005

      7 최일홍, "경관법과 도시공간관리" 20-,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4-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4-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 (사)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영문명 : Korea Digital Architecture And Interior Association -> Korea Digital Architecture And Interior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