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言論自由의 헌법적 위상에 대한 진단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7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의 현행 1987년 헌법체제에서 헌법재판소가 언론자유의 영역에서 내린 주요 결정들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한국에서 언론자유의 헌법적 위상이 어떠한지를 종합적으로 진단...

      이 글은 한국의 현행 1987년 헌법체제에서 헌법재판소가 언론자유의 영역에서 내린 주요 결정들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한국에서 언론자유의 헌법적 위상이 어떠한지를 종합적으로 진단해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작성되었다. 물론 일부 국제기구나 언론단체가 한국의 언론자유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있지만, 필자의 종합적인 평가에 의하면 한국 언론자유의 보호수준이 그렇게 우려할 정도로 낮은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1987년의 헌법체제에서 한국의 언론자유는 놀라울 정도로 신장되었다. 여기에는 초기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들이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1990년대 들어 헌법재판소가 실질적인 인권보장기관으로 기능하게 되고 언론자유의 영역에서 헌법 제21조를 보다 적극적으로 자유주의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한국 사회에서는 비로소 언론자유의 가치가 인정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언론자유를 신장시킨 헌법재판소의 대표적인 4가지 결정을 든다면, 1990년의 찬양고무죄 한정합헌결정, 1996년의 영화 사전심의제도 위헌결정, 1998년의 음란물출판사 등록취소제도 일부위헌결정, 그리고 2002년의 불온통신심의제도 위헌결정을 들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들 결정이 한국의 언론자유의 역사에서 갖는 의의를 간략히 짚어본다.
      그렇지만 한국의 언론자유의 현실이 헌법의 언론자유조항이 담고 있는 헌법적 가치를 완전하게 구현하고 있다고 말하기 어려운 일부 표현영역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국의 특수한 정치상황과 국민의식 그리고 디지털과 정보통신기술(ICT)에 의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초래하는 害惡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선거운동과 정치자금의 표현영역, 공무원의 정치적 표현영역, 성표현물이나 게임물과 같은 일부 문화영역, 그리고 명예나 초상과 같은 인격권의 보호영역이 그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들 표현영역에서 내려진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을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향후 입법자와 헌법재판소 및 대법원은 이들 표현영역에서 표현이 초래하는 害惡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해악의 실체와 그 위험성을 보다 정교하게 평가하고 판단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ends to evaluate a constitutional status of the freedom of speech and pres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major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area of freedom of expression under the current 1987 Constitutional Regime. ...

      This article intends to evaluate a constitutional status of the freedom of speech and pres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major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area of freedom of expression under the current 1987 Constitutional Regim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t seems that the protection level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of Korea is not that low, even though som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criticized the Korean government for not protecting the freedom of speech and press fully.
      The protection level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has risen amazingly under the 1987 Constitutional Regime in Korea. The new Constitutional Court established by the 1987 Constitution has made a very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triumph of the right to freedom of speech and expression. The Court has begun to positively accept the values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o interpret the Speech and Press Clause, Article 21 of the Korean Constitution, from a liberal perspective. The leading cases include the 1990 decision of limited constitutionality on the National Security Act, the 1996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on the prior restraint of motion pictures, the 1998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in part on the Publishing Registration Act, and the 2002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on improper communications ban on the internet.
      It can’t be said, however, that the free speech values have been fully realized in some areas of expressions. The areas include the political one such as elections campaign, political funds, and public employees’ political activities, the cultural one such as video games and sexual materials, and the realm of personality rights such as reputation and portrait. It seems that the regression of free speech is attributable to a hazy fear of harms or risks that will happen as well as the political circumstances specific to Korea. From now on, the legislative and judiciary branches need to make an effort to exquisitely evaluate and exactly decide the harms and ris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言論自由의 헌법철학과 기본법리
      • Ⅲ. 헌법재판소에 의한 언론자유의 伸張
      • Ⅳ. 헌법재판에 나타난 언론자유의 消極的 樣相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言論自由의 헌법철학과 기본법리
      • Ⅲ. 헌법재판소에 의한 언론자유의 伸張
      • Ⅳ. 헌법재판에 나타난 언론자유의 消極的 樣相
      • Ⅴ.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5

      2 李仁皓, "헌법재판 주요선례연구(Ⅰ)"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2012

      3 한위수, "한국헌법학의 현황과 과제 (금랑김철수교수정년기념논문집)" 1998

      4 박용상, "표현의 자유와 음란규제 및 청소년보호" 헌법재판소 13 : 2002

      5 문재완,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 ― 청자(聽者) 중심의 표현의 자유 이론을 위한 시론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7 (17): 85-110, 2011

      6 황성기, "청소년 보호와 국가후견주의의 한계 - 헌재 2014. 4. 24. 2011헌마659등(병합), 청소년보호법 제23조의3 등 위헌확인의 평석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1 (31): 25-47, 2014

      7 박경신, "진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처벌제도의 위헌"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35-70, 2010

      8 김재협, "정정보도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의 의미와 파장" 언론중재위원회 27 (27): 2007

      9 박경신, "인터넷임시조치제도의 위헌성 - “남이 싫어하는 말은 30일 후에 하라”" 중앙법학회 11 (11): 7-51, 2009

      10 류영재, "언론자유 제한 법리의 제(諸) 문제 - (사이버)명예훼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법학회 2015

      1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5

      2 李仁皓, "헌법재판 주요선례연구(Ⅰ)"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2012

      3 한위수, "한국헌법학의 현황과 과제 (금랑김철수교수정년기념논문집)" 1998

      4 박용상, "표현의 자유와 음란규제 및 청소년보호" 헌법재판소 13 : 2002

      5 문재완,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 ― 청자(聽者) 중심의 표현의 자유 이론을 위한 시론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7 (17): 85-110, 2011

      6 황성기, "청소년 보호와 국가후견주의의 한계 - 헌재 2014. 4. 24. 2011헌마659등(병합), 청소년보호법 제23조의3 등 위헌확인의 평석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1 (31): 25-47, 2014

      7 박경신, "진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처벌제도의 위헌"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35-70, 2010

      8 김재협, "정정보도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의 의미와 파장" 언론중재위원회 27 (27): 2007

      9 박경신, "인터넷임시조치제도의 위헌성 - “남이 싫어하는 말은 30일 후에 하라”" 중앙법학회 11 (11): 7-51, 2009

      10 류영재, "언론자유 제한 법리의 제(諸) 문제 - (사이버)명예훼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법학회 2015

      11 박용상, "언론의 자유" 박영사 2013

      12 문재완, "언론법 : 한국의 현실과 이론" 늘봄 2008

      13 김시철, "언론⋅출판의 자유와 인격권의 대립과 조화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 미국의 언론⋅출판의 자유에 관한 우월적 지위이론, 현실적 악의 원칙 등에 관하여 -" 한국법학원 147 : 53-116, 2015

      14 이인호, "성표현의 자유와 한계" (사)한국언론법학회 7 (7): 1-45, 2008

      15 윤영미, "선거의 공정성에 관한 검토 -공직선거법 제93조 제1항 문서 등 배부 금지규정에 대한 과도한 광범성 법리에 따른 위헌성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헌법학회 16 (16): 573-612, 2010

      16 이춘구, "사상의 자유시장이론 전개의 법적 고찰 : 연원과 현대적 발전을 중심으로" 한국국가법학회 10 (10): 2014

      17 이인호, "변호사의 직업적 개인정보에 대한 이용과 보호의 법리 : 로마켓 변호사평가정보 사건(2008다42430)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사)한국언론법학회 11 (11): 107-150, 2012

      18 윤성현, "미국헌법상 표현의 자유의 지지논변으로서 사상의 시장론" 한국공법학회 42 (42): 215-239, 2013

      19 박용상, "명예훼손법" 현암사 2008

      20 문재완, "명백·현존위험의 원칙의 현대적 해석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헌법학회 9 (9): 379-422, 2003

      21 李仁皓, "뉴미디어의 발전과 언론자유법의 새로운 전개" 헌법재판소 8 : 1997

      22 박창수, "表現의 自由와 名譽의 保護 -韓國, 獨逸과 美國에서의 명예훼손 법리에 관한 憲法的 考察과 批判을 겸하여-" 한국법학원 (84) : 21-52, 2005

      23 李仁皓, "犯罪報道와 免責事由의 適用" 언론중재위원회 19 (19): 1999

      24 이인호, "文化에 대한 國家介入의 헌법적 한계 ― 한글전용정책의 헌법적 문제점을 포함하여 ―" 한국공법학회 43 (43): 1-30, 2014

      25 本多淸二, "人權と報道を考える (法學セミナ-增刊總合特集シリ-ズ39)" 1988

      26 곽용헌, "“초상권에 관한 최근 판례 분석 및 동향”, 개인적 법익의 보호와 공익적 알권리: 초상권을 중심으로" 한국언론법학회 2015

      27 조소영, "“초상권 보호와 법적 성격”, 한국 언론의 자유 실태 진단 및 개선방향 모색" 한국언론법학회 2015

      28 박건식, "“저널리즘 측면에서 본 초상권 쟁점”, 한국 언론의 자유 실태 진단및 개선방향 모색" 한국언론법학회 2015

      29 Thomas I. Emerson, "Toward a General Theory of the First Amendment" 72 : 877-, 1963

      30 Cass R. Sunstein, "The First Amendment in Cyberspace" 104 : 1757-, 1995

      31 Patrick M. Garry, "Scrambling for Protection: the New Media and the First Amendment"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94

      32 Donald E. Lively, "Fear and the Media : A First Amendment Horror Show" 69 : 1075-, 1985

      33 Erwin Chemerinsky, "Constitutional Law: Principles and Policies, 3rd ed." Aspen Publishers 2006

      34 Lawrence Tribe, "American Constitutional Law 2nd ed" Foundation Fress 1988

      35 Jethro K. Lieberman, "A Practical Companion to the Constitu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1 1.67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