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관광목적지로서의 도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여러 지자체에서는 도시관광을 도시이미지 확립 및 도시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9960
-
2013년
Korean
도시관광 ; Urban Tourism ; Place Making ; Old Downtown ; 개발전략 ; 구도심 ; 도시마케팅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관광목적지로서의 도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여러 지자체에서는 도시관광을 도시이미지 확립 및 도시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따...
최근 관광목적지로서의 도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여러 지자체에서는 도시관광을 도시이미지 확립 및 도시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차별화된 도시이미지 확립을 통한 도시관광 개발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도시의 구도심이 가지는 역사문화자원의 매력성과 이를 활용한 도시관광 개발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를 대상으로 지역거주민들이 인식하는 구도심의 역사문화자원의 매력성을 측정하고, 이러한 인식이 도시관광 목적지로서의 대구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구도심의 관광자원으로 (1)종교유산, (2)근대문화거리, (3)산업유산, (4)근대문화건축, (5)문화예술거리, (6)특화골목, (7)쇼핑 및 맛집거리, 그리고 (8)역사전시관의 여덟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들 중 관광자원으로서 근대문화를 대표하는 건축물에 대해 높게 평가할수록,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표기업의 발상지라는 산업유산의 매력도를 높게 평가할수록 대구로의 관광에 대한 추천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구시 골목투어 중 가장 대표적인 코스라고 알려져 있는 근대문화골목에 대한 매력도를 높게 평가할수록, 카톨릭 역사가 배어있는 종교유산에 대한 매력도를 높게 평가할수록 추천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old downtown as a tourism resources for city marketing. The subject of study was Daegu, and 320 data were collected from Daegu citizen. Frequency analysis, facto...
This study h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old downtown as a tourism resources for city marketing. The subject of study was Daegu, and 320 data were collected from Daegu citizen.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were test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8 factors of tourism resources of old downtown of Daegu; (1)religious property, (2)modern cultural street, (3)industrial heritage, (4)modern cultural architecture, (5)culture and arts street, (6)specialized street, (7)shopping and food street, and (8)historical exhibition. Among these factors, ‘industrial heritage,’ ‘modern cultural architecture,’ ‘modern cultural street,’ and ‘religious proper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sidences’ intention to recommend Daegu as a tourism dest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