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 집행체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nforcement system in EU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ta protection was addressed through legislation adopted by the EU as early as October 1995, when the EU adopted Directive 95/46/EC on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with regard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nd on the free movement of such data. The basic principles of the right, freedom, and privacy of an individual included in the Directive we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1981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with regard to Automatic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imed at protecting individuals in automatically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The Directive is designed to protect the basic rights and freedoms of the public in each EU Member State, to safeguard their privacy right associ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and to promote free distribu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EU nations. The Directive is commonly applied to both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The Directive pushes ahead with a powerful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The Directive requires EU Member States to enact their own legislation implementing its terms. The EU Directive is aimed at protecting the basic rights and freedom of an individual and bis or her right to privacy in relation to the treatment of personal information. The EU plays a leading role in adopt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the world, as is c1early exhibited in i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ovisions discussed above. Not only has the EU been concemed with protecting data within EU Member States, but also the risks posed by the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third countries. The European Union is showing the recent movement for the amendment of the legal system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f this new regul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takes effect, there is going to be a lot of changes in the European enforcement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번역하기

      Data protection was addressed through legislation adopted by the EU as early as October 1995, when the EU adopted Directive 95/46/EC on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with regard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nd on the free movement of such data....

      Data protection was addressed through legislation adopted by the EU as early as October 1995, when the EU adopted Directive 95/46/EC on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with regard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nd on the free movement of such data. The basic principles of the right, freedom, and privacy of an individual included in the Directive we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1981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with regard to Automatic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imed at protecting individuals in automatically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The Directive is designed to protect the basic rights and freedoms of the public in each EU Member State, to safeguard their privacy right associ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and to promote free distribu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EU nations. The Directive is commonly applied to both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The Directive pushes ahead with a powerful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The Directive requires EU Member States to enact their own legislation implementing its terms. The EU Directive is aimed at protecting the basic rights and freedom of an individual and bis or her right to privacy in relation to the treatment of personal information. The EU plays a leading role in adopt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the world, as is c1early exhibited in i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ovisions discussed above. Not only has the EU been concemed with protecting data within EU Member States, but also the risks posed by the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third countries. The European Union is showing the recent movement for the amendment of the legal system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f this new regul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takes effect, there is going to be a lot of changes in the European enforcement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 Ⅱ.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보호기구의 헌법상 필요성
      • Ⅲ.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 입법 및 집행체계 현황
      • Ⅳ.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규칙에 따른 집행체계
      • Ⅴ. 결론
      • Ⅰ. 문제제기
      • Ⅱ.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보호기구의 헌법상 필요성
      • Ⅲ.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 입법 및 집행체계 현황
      • Ⅳ.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규칙에 따른 집행체계
      • Ⅴ. 결론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인선, "��잊혀�� 권리’에 관한 고찰 - EU 개인정보보호법안과 우리나라 「개인정보 보호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변호사협회 (427) : 51-67, 2012

      2 임종인, "주요 국가의 개인정보보호 동향 조사" 한국정보보호진흥원 52-90, 2009

      3 최경진, "잊혀질 권리-개인정보 관점에서" 한국정보법학회 16 (16): 97-120, 2012

      4 민윤영, "인터넷 상에서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법학연구원 (63) : 287-316, 2011

      5 "유럽연합조약 제16조 제1항"

      6 "유럽연합기능조약 제292조, 유럽연합조약 제39조"

      7 이재진, "언론의 오래된 기사로 인한 피해 제 근거로서의 ‘잊혀질 권리’에 대한 연구" 16 (16):

      8 지성우, "소위 ‘잊혀질 권리’(Right to be forgotten)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보법학회 15 (15): 55-86, 2011

      9 고시면, "사이버상 ‘잊혀질 권리와 의무’(혹은 ‘망각권리와 의무’)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司 法行政 2012

      10 채형복, "리스본조약상 법적 행위와 그 제정 절차의 개혁"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909-934, 2010

      1 함인선, "��잊혀�� 권리’에 관한 고찰 - EU 개인정보보호법안과 우리나라 「개인정보 보호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변호사협회 (427) : 51-67, 2012

      2 임종인, "주요 국가의 개인정보보호 동향 조사" 한국정보보호진흥원 52-90, 2009

      3 최경진, "잊혀질 권리-개인정보 관점에서" 한국정보법학회 16 (16): 97-120, 2012

      4 민윤영, "인터넷 상에서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법학연구원 (63) : 287-316, 2011

      5 "유럽연합조약 제16조 제1항"

      6 "유럽연합기능조약 제292조, 유럽연합조약 제39조"

      7 이재진, "언론의 오래된 기사로 인한 피해 제 근거로서의 ‘잊혀질 권리’에 대한 연구" 16 (16):

      8 지성우, "소위 ‘잊혀질 권리’(Right to be forgotten)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보법학회 15 (15): 55-86, 2011

      9 고시면, "사이버상 ‘잊혀질 권리와 의무’(혹은 ‘망각권리와 의무’)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司 法行政 2012

      10 채형복, "리스본조약상 법적 행위와 그 제정 절차의 개혁"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909-934, 2010

      11 김일환, "독일 연방정보보호법상 개인권리보호체계에 관한 고찰" 한국토지공법학회 49 : 477-500, 2010

      12 김일환,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법제정비방안" 법학연구소 24 (24): 233-257, 2012

      13 김일환, "개인정보보호법제정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새로운 개인정보보호법안을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52 : 269-294, 2011

      14 김연수, "개인정보보호 : 고도 지식정보사회의 개인정보보호와 Cyber Law" 사이버출판사 56-57, 2001

      15 이인호, "개인정보감독기구 및 권리구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산원 2004

      16 이인호, "개인정보 감독기구 및 권리구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산원 2004

      17 김일환, "憲法上 새로운 情報秩序確立을 위한 序說的 考察" 7 (7): 207-, 2001

      18 김일환, "個人情報保護法制의 整備方案硏究" 韓國法制硏究院 143-, 1997

      19 김일환, "個人情報保護機構의 法的 地位와 權限에 관한 憲法上 考察" 한국공법학회 33 (33): 197-228, 2005

      20 김일환, "個人情報保護機構의 法的 地位와 權限에 관한 憲法上 考察" 한국공법학회 33 (33): 197-228, 2005

      21 Norbert Nolte, "Zum Recht auf Vergessen im Internet" 236-, 2011

      22 Charles D. Raab, "Taking the measure of privacy : can data protection be evaluated?" 62 : 553-, 1996

      23 한국정 보화진흥원, "IT Issues Weekly"

      24 "95년 개인정보보호지침 제31조 제2항"

      25 "95년 개인정보보호지침 제30조 제6항, 제31조 제2항, 제33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ungKyunKwan Law Review KCI등재
      2008-05-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교법연구소 -> 법학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r Comparative Legal Studies ->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7 0.84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