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웅십력 ‘내성외왕’론의 혁명성: ‘체용불이’ 개념을 중심으로 = On the Revolutionary Trait of Xiong Shi-li’s Concepts ‘Neisheng-Waiwang 內聖外王’: With the Concept ‘Tiyong-Buer 體用不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0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초 서세동점과 신문화운동의 격동기에서 웅십력은 중국전통의 계승이라는 명확한 입장을 견지하는 동시에, 구체적으로는 󰡔원유(原儒)󰡕, 󰡔독경시요(讀經示要)󰡕, 󰡔체용론󰡕 등의 주요 저작을 통해 유학현대화의 과제를 맞이하여 치열한 사유과정을 보여주었다.
      본고는 웅십력이 이 세 주요 저작 중 특히 핵심사상의 집대성물인 󰡔원유󰡕를 통해 보여준 ‘내성외왕’론에서 제시된 현대적 과제의 의미에 주목하고, 그의 내성외왕론의 성립이 ‘체용불이’ 등 그의 ‘불이(不二)’ 철학의 논리를 통해 입증되는 사유과정을 추적하면서 그 ‘불이론’이 지닌 개념적 특징과 성패의 의의를 짚어 볼 것이다.
      이 논의를 통해 웅십력의 ‘내성외왕’관이 송명시기의 개념과 다른 새로운 의의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기초하여 이른바 현대신유학의 대표적 성과가 21세기 신문명의 초입에서 끼칠 유학적 영향력, 특히 외왕적 가능성을 점검하는 의의로 삼고자 한다.
      번역하기

      20세기초 서세동점과 신문화운동의 격동기에서 웅십력은 중국전통의 계승이라는 명확한 입장을 견지하는 동시에, 구체적으로는 󰡔원유(原儒)󰡕, 󰡔독경시요(讀經示要)󰡕, 󰡔체용론󰡕 �...

      20세기초 서세동점과 신문화운동의 격동기에서 웅십력은 중국전통의 계승이라는 명확한 입장을 견지하는 동시에, 구체적으로는 󰡔원유(原儒)󰡕, 󰡔독경시요(讀經示要)󰡕, 󰡔체용론󰡕 등의 주요 저작을 통해 유학현대화의 과제를 맞이하여 치열한 사유과정을 보여주었다.
      본고는 웅십력이 이 세 주요 저작 중 특히 핵심사상의 집대성물인 󰡔원유󰡕를 통해 보여준 ‘내성외왕’론에서 제시된 현대적 과제의 의미에 주목하고, 그의 내성외왕론의 성립이 ‘체용불이’ 등 그의 ‘불이(不二)’ 철학의 논리를 통해 입증되는 사유과정을 추적하면서 그 ‘불이론’이 지닌 개념적 특징과 성패의 의의를 짚어 볼 것이다.
      이 논의를 통해 웅십력의 ‘내성외왕’관이 송명시기의 개념과 다른 새로운 의의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기초하여 이른바 현대신유학의 대표적 성과가 21세기 신문명의 초입에서 끼칠 유학적 영향력, 특히 외왕적 가능성을 점검하는 의의로 삼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arly 20 century, Xiong Shi-li solidly held his stance on succeeding Chinese tradition in the era of the western invading to the eastern and the era of the New-cultural movements. For achieving this aim, Xiong intensively presented his thinking process by means of such as Yuanru 原儒(the original Ru-ist), Dujingshiyao 讀經示要(The key points on reading the confucian Scriptures), Tiyonglun 體用論(nonduality in the substance and function) and Qiankunyan 乾坤衍(the unfolding of hexagram Qian and hexagram Kun) etc.
      Firstly I will pay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 meanings in Xiong’s project that presented through his four writings, especially Yuanru, and pursuit his contemporary value containing in his theory on neisheng-waiwang 內聖外王(inner-sageness and outer-kingliness) and I will examine lastly that the accomplishment of his notion of neisheng-waiwang depended basically on his concepts ‘buer 不二(nonduality)’ such as tiyongbuer. And then, I also try to evaluate traits and success-failure on Xiong’s concept buer in the point of view of contemporary.
      Based on the upper discussion and fact that Xiong Shi-li’s notion on neisheng-waiwang was different from such as the very concepts in Song-Ming China’s, I finally confirm whether his achievement can have influence on a new-type of confucianism in the 21C. civilization, especially in his waiwang conception or not.
      번역하기

      In the early 20 century, Xiong Shi-li solidly held his stance on succeeding Chinese tradition in the era of the western invading to the eastern and the era of the New-cultural movements. For achieving this aim, Xiong intensively presented his thinking...

      In the early 20 century, Xiong Shi-li solidly held his stance on succeeding Chinese tradition in the era of the western invading to the eastern and the era of the New-cultural movements. For achieving this aim, Xiong intensively presented his thinking process by means of such as Yuanru 原儒(the original Ru-ist), Dujingshiyao 讀經示要(The key points on reading the confucian Scriptures), Tiyonglun 體用論(nonduality in the substance and function) and Qiankunyan 乾坤衍(the unfolding of hexagram Qian and hexagram Kun) etc.
      Firstly I will pay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 meanings in Xiong’s project that presented through his four writings, especially Yuanru, and pursuit his contemporary value containing in his theory on neisheng-waiwang 內聖外王(inner-sageness and outer-kingliness) and I will examine lastly that the accomplishment of his notion of neisheng-waiwang depended basically on his concepts ‘buer 不二(nonduality)’ such as tiyongbuer. And then, I also try to evaluate traits and success-failure on Xiong’s concept buer in the point of view of contemporary.
      Based on the upper discussion and fact that Xiong Shi-li’s notion on neisheng-waiwang was different from such as the very concepts in Song-Ming China’s, I finally confirm whether his achievement can have influence on a new-type of confucianism in the 21C. civilization, especially in his waiwang conception or no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쟈크 라캉, "세미나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 새물결 2008

      2 熊十力, "體用論" 中華書局 1996

      3 郭湛波, "近五十年中國思想史" 上海古籍出版社 2010

      4 熊十力, "讀經示要" 明文書局 1999

      5 郭慶藩, "莊子集釋" 華正書局 1997

      6 梁啓雄, "荀子簡釋" 木鐸 1988

      7 范仲淹, "范仲淹全集" 四川大學出版社 2002

      8 蒙文通, "經學抉原" 上海人民出版社 2006

      9 費孝通, "皇權與紳權" 生活·讀書·新知三聯書店 2013

      10 熊十力, "熊十力論學書札" 上海書店 2009

      1 쟈크 라캉, "세미나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 새물결 2008

      2 熊十力, "體用論" 中華書局 1996

      3 郭湛波, "近五十年中國思想史" 上海古籍出版社 2010

      4 熊十力, "讀經示要" 明文書局 1999

      5 郭慶藩, "莊子集釋" 華正書局 1997

      6 梁啓雄, "荀子簡釋" 木鐸 1988

      7 范仲淹, "范仲淹全集" 四川大學出版社 2002

      8 蒙文通, "經學抉原" 上海人民出版社 2006

      9 費孝通, "皇權與紳權" 生活·讀書·新知三聯書店 2013

      10 熊十力, "熊十力論學書札" 上海書店 2009

      11 熊十力, "熊十力全集" 湖北教育出版社 2001

      12 歐陽修, "歐陽修全集" 中華書局 2001

      13 余英時, "朱熹的歷史世界: 宋代士大夫政治文化的研究" 允晨文化 2013

      14 黎靖德, "朱子語類, 第1册" 中華書局 2007

      15 蘇 輿, "春秋繁露義證" 中華書局 2002

      16 馮達文, "新編中國哲學史 (下册)" 人民出版社 2004

      17 王汎森, "思想是生活的一種方式: 中國近代思想史的再思考" 北京大學出版社 2018

      18 "宋史"

      19 黃宗羲, "宋元學案, 第1册" 中華書局 2007

      20 孫 復, "宋元學案, 第1册" 中華書局 2013

      21 呂祖謙, "呂祖謙全集" 浙江古籍出版社 2008

      22 熊十力, "原儒" 明文書局 1997

      23 熊十力, "十力語要" 上海書店 2007

      24 陳 柱, "公羊家哲學" 力行書局 1970

      25 梅 廣, "內聖外王考略" 臺灣清華大學 41 (41): 2011

      26 劉小楓, "儒家革命情神源流考" 上海三聯書店 2000

      27 林安梧, "儒學革命: 從新儒學到後新儒學" 商務印書館 2011

      28 林安梧, "儒學革命: 從新儒學到後新儒學" 商務印書館 2011

      29 程顥, "二程集 (下)" 中華書局 2008

      30 熊十力, "乾坤衍" 中華書局 1996

      31 陳榮捷, "中國哲學文獻選編 (下册)" 巨流圖書 1993

      32 馮友蘭, "中國哲學史新編, 第7册" 蘭登文化 1991

      33 牟宗三, "中國哲學十九講: 中國哲學之簡述及其所涵蘊的問題" 學生書局 1983

      34 Lacan, Jacques, "The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W.W.Norton & Company 1981

      35 Hobbes, Thomas, "Leviathan"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6 Lacan, Jacques, "Ecrits" W.W. Norton & Company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예술연구소 -> 인문예술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Art -> Humanities and Art Socie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