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신자료 아세아레코드 <춘향>(1968)의 음성․음악․음향효과에 근거해 형식상 특징을, 인물․구성에 근거해 내용상 특징을 밝히는 한편, 작품이 지니는 음반극 자료로서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30351
2018
Korean
춘향가 ; 아세아레코드 ; 음반극 ; 라디오드라마 ; 판소리 ; 박동진 ; 박초선 ; 한농선 ; Choonhyang ; Asia record ; radio drama ; pansori ; Park Dongjin ; Park Choseon ; Han Nongseon
KCI등재
학술저널
69-98(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신자료 아세아레코드 <춘향>(1968)의 음성․음악․음향효과에 근거해 형식상 특징을, 인물․구성에 근거해 내용상 특징을 밝히는 한편, 작품이 지니는 음반극 자료로서의 ...
본 논문에서는 신자료 아세아레코드 <춘향>(1968)의 음성․음악․음향효과에 근거해 형식상 특징을, 인물․구성에 근거해 내용상 특징을 밝히는 한편, 작품이 지니는 음반극 자료로서의 의의를 탐색해 보았다.
이 작품은 1960년대에 인기가 높았던 라디오드라마와 전통의 판소리가 결합한 음반극으로, 각색의 저본이 된 것은 <열녀춘향수절가>이다. 동명의 영화 <춘향>(1968)의 유명세를 홍보에 이용하고자 영화 개봉 직전에 발매한 것으로 추정된다.
<춘향>의 형식적 특징과 관련되는 음성의 측면에서는, 춘향의 대사에 나타난 의도적인 침묵/휴지, 방자의 대사에 나타난 청각적 원근감, 이도령과 남자의 대사에 나타난 목소리 연출(특수 효과)가, 음악의 측면에서는 ‘분위기음악’으로서의 판소리, 배경음악으로서의 악기 연주가 주목된다. 음향효과의 측면에서는 새 소리, 방문 여닫는 소리 등이 장면 설정과 공간 변화의 기능을, 술 따르고 마시는 소리, 맹인의 산통 소리 등이 극의 사건과 분위기 주도의 기능을, 매 때리고 맞는 소리 등이 극의 재미와 흥미유발의 기능을 수행한다. <춘향>의 내용적 특징과 관련되는 인물 및 인물 성격의 측면에서는, 원전에서 적극적으로 자기 목소리를 냈던 춘향이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여인으로 바뀌고, 방자의 경우 작품 전편에 걸쳐 원전과 같은 발랄한 성격이 유지됨을 확인했다. 향단, 대부인, 낭청, 사령 등 기존 서사에서 보조 인물 또는 주변 인물로 형상화되었던 인물들의 비중이 크게 강화된 것도 특징이다. 작품 구성의 경우, 옥중 춘향이 꿈에서 이도령을 만나 구름 타고 하늘로 가는 장면이 새로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열녀춘향수절가>를 그대로 따랐다. 대사는 저본의 것을 원용하거나 일부 표현을 현대적으로 바꾸어 청자의 감상을 도왔다.
이상 살펴본 신자료 아세아레코드 <춘향>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디오드라마와 판소리가 결합한 첫 음반극이다. 판소리가 여타의 장르들과 결합해 음반극으로 발매된 사례는 그리 드물지 않지만, 이때 결합한 연극은 모두 ‘무대극’이었다. 라디오는 ‘듣는’ 드라마로서의 속성을 최대한 강화한 형태이기에, 성음 중심의 판소리와 만났을 때의 극적 효과도 컸다. 둘째, 판소리적 관점에서 박동진․박초선․한농선의 비교적 이른 시기 소리, 1960년대의 창극 소리와 창작 소리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라디오드라마의 관점에서, <춘향>은 1960년대 라디오드라마의 실제를 보여주며, 최요안이라는 작가 개인에 집중해보면 이것이 시기상 가장 뒤에 놓이는 최요안 각색 춘향전의 완결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Asia Record Choonhyang(1968) are expressed based on its voice, music, musical note, characters, plot, and setting. I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play as material for its recording. “Choonhyang”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Asia Record Choonhyang(1968) are expressed based on its voice, music, musical note, characters, plot, and setting. I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play as material for its recording.
“Choonhyang” is believed to have been planned with the release of the same-named movie, “Choonhyang” (1968). Radio dramas, which were popular among the public in the 1960s a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ovies and plays, are the materials of the type of record combined with traditional pansori(a Korean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performed by a singer and a drummer). The basis for the adaptation is the “Yeolneochunhyangsujeolga(a pansori novel of the Joseon Dynasty).”
“Choonhyang’s first valu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iece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is the first record play combining radio dramas and pansori. The dramatic effect when it combines the voice-oriented pansori is also highlighted, since the drama has not moved on from stage to stage but has strengthened its properties as a “listening’ drama.
The second value and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erms of the pansori genre. The sounds of the original of the 1960s can be heard through the Asia Record “Choonhyang.”
The third value and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erms of radio dramas. This recording can be an important example of the reality of the 1960s radio drama. In other words, it is a complete version of the “Choonhyang,” which is adapted from Choi Yo-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영, "한농선의 삶과 예술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문선영, "한국 라디오 드라마의 형성과 장르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3 박동진, "판소리 명창 박동진" 판소리학회 2 : 1991
4 송미경, "태평레코드 <춘향전>(1933)의 녹음 경위 및 특징적 면모" 한국구비문학회 (42) : 271-303, 2016
5 송미경, "춘향가 소리 대목 및 더늠의 전승 양상과 판소리사적 의미" 고려대학교 2015
6 "영화 <춘향> 심의대본"
7 "아세아레코드 발매 <춘향> (ALF 101-5)"
8 이경손, "무전방송극의 연출품과 무전극연구회에 대하여(下)"
9 안익수, "라디오드라마 음향효과의 연출기법과 발전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10 이선화, "라디오극의 매체적 특성과 주제의 형상화 - 부조리 극작가들의 라디오극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회 59 : 127-158, 2007
1 김지영, "한농선의 삶과 예술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문선영, "한국 라디오 드라마의 형성과 장르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3 박동진, "판소리 명창 박동진" 판소리학회 2 : 1991
4 송미경, "태평레코드 <춘향전>(1933)의 녹음 경위 및 특징적 면모" 한국구비문학회 (42) : 271-303, 2016
5 송미경, "춘향가 소리 대목 및 더늠의 전승 양상과 판소리사적 의미" 고려대학교 2015
6 "영화 <춘향> 심의대본"
7 "아세아레코드 발매 <춘향> (ALF 101-5)"
8 이경손, "무전방송극의 연출품과 무전극연구회에 대하여(下)"
9 안익수, "라디오드라마 음향효과의 연출기법과 발전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10 이선화, "라디오극의 매체적 특성과 주제의 형상화 - 부조리 극작가들의 라디오극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회 59 : 127-158, 2007
11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검색어 “춘향”"
12 윤중강, "가야금이 무섭다고?:윤중강 음악평론가의 <영화로 간 국악- 월하의 공동묘지>" 국립국악원 2006
13 振, "邦畵의 問題性:描写와 良識과 芸術感賞"
14 최동현, "<사랑가>의 의미" 판소리학회 (43) : 181-212, 2017
15 송소라, "20세기 창극의 음반⋅방송화 양상과 창극사적 의미" 고려대학교 2017
16 최영희, "1960년대 춘향 영화 연구" 판소리학회 (24) : 329-360,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3-21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7 | 0.61 | 1.35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