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영균, "후기중세국어의 모음조화 연구" 서울대학교 1994
2 김정아, "중세국어의 비교구문 연구" 태학사 1998
3 백두현, "아, 오, 으, 우의 대립관계와 원순모음화" 國語學會 17 : 177-202, 1988
4 김경아, "순경음의 변화에 대한 재론" 15 : 25-41, 2006
5 李浩權, "석보상절의 서지와 언어" 太學社 2001
6 金完鎭, "다시 β>w를 찾아서" 서울大學校語學硏究所 8 (8): 51-62, 1972
7 석주연, "노걸대와 박통사의 언어" 太學社 2003
8 이진호, "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음운론" 서울대학교 1997
9 김아름, "국어 고모음화 현상 연구" 아주대학교 2008
10 洪允杓, "近代國語의 語幹末子音群表記에 대하여" 國語學會 16 : 91-123, 1987
1 한영균, "후기중세국어의 모음조화 연구" 서울대학교 1994
2 김정아, "중세국어의 비교구문 연구" 태학사 1998
3 백두현, "아, 오, 으, 우의 대립관계와 원순모음화" 國語學會 17 : 177-202, 1988
4 김경아, "순경음의 변화에 대한 재론" 15 : 25-41, 2006
5 李浩權, "석보상절의 서지와 언어" 太學社 2001
6 金完鎭, "다시 β>w를 찾아서" 서울大學校語學硏究所 8 (8): 51-62, 1972
7 석주연, "노걸대와 박통사의 언어" 太學社 2003
8 이진호, "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음운론" 서울대학교 1997
9 김아름, "국어 고모음화 현상 연구" 아주대학교 2008
10 洪允杓, "近代國語의 語幹末子音群表記에 대하여" 國語學會 16 : 91-123, 1987
11 안소진, "童蒙先習諺解의 서지와 언어: 7행 15자본과 9행 16자본의 언해 양식 비교" 서울大學校國語國文學科 30 : 67-85, 2005
12 南廣祐, "敬信錄諺解硏究: 樂善齋文庫新資料를 가지고 近世語硏究를 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국어국문학회 (49ㆍ50 합병) : 87-104, 1970
13 敬信錄諺, "奎章閣本"
14 崔瑆煥編, "太上感應篇圖說諺解" 太學社 1986
15 李基文, "國語音韻史硏究" 塔出版社 1977
16 李翊燮, "國語表記法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17 安秉禧, "國語史資料硏究" 문학과 지성사 1992
18 李基文, "國語史槪說(改訂版)" 民衆書林 1972
19 洪允杓, "國語史文獻資料硏究(近代篇Ⅰ)" 太學社 1993
20 "南宮桂籍"
21 郭忠求, "十八世紀國語의 音韻論的硏究" 서울대학교 1980
22 宋敏, "前期近代國語音韻論硏究" 塔出版社 1986
23 李賢熙, "中世國語構文硏究" 新丘文化社 1994
24 "三聖訓經 奎章閣本"
25 敬信錄諺, "一石文庫本"
26 김경훤, "ㆎ, ㅔ, ㅐ 혼기의 음운론적 해석, In 基谷姜信沆博士定年退職紀念國語國文學論叢" 太學社 107-116, 1995
27 김주필, "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으로의 약화" 國語學會 38 : 27-54, 2001
28 김경아, "β>w에 대하여" 서울大學校韓國文化硏究所 17 : 17-42, 1997
29 이상신, "VyV 연쇄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1988
30 田光鉉, "18世紀後期國語의 一考察" 全北大學校 13 : 39-70, 1971
31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太學社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