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敬信錄諺釋』과 19세기 후반 도교서의 언해 양상 비교  :  『太上感應篇圖說諺解』·『三聖訓經』·『南宮桂籍』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Kyengsinlokensek between Other 19th Taosim Literatures from the View of Trans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806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aim to explain and describe the bibliographic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yengsinlokensek. I account for transcrip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yengsinlokensek, and als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with those of other Taoism literatures in the 19th century within the framework of translations. This is because there are few bibliographic and linguistic studies about Korean Taoism literatures in the 19th century. In Kyengsinlokensek, both case marker ‘-i ’ and copular ‘(-)i-’ are written down with preceeding noun phrases and j-insertions are always observed at the conjugations of stems which have ‘uy, ey, oy’ at the word-final position. I find out that there are so many differences among translations of Kyengsinlokensek, Thaysangkamungphyentoselenhay, Samsenghwunkyeng and Namkwungkyeicek. Thus, there are more specific translations on Thaysangkamungphyentoselenhay, Samsenghwunkyeng and Namkwungkyeicek than Kyengsinlokensek since Kyengsinlokensek has so many contents in the book.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aim to explain and describe the bibliographic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yengsinlokensek. I account for transcrip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yengsinlokensek, and als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wit...

      In this paper, I aim to explain and describe the bibliographic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yengsinlokensek. I account for transcrip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yengsinlokensek, and als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with those of other Taoism literatures in the 19th century within the framework of translations. This is because there are few bibliographic and linguistic studies about Korean Taoism literatures in the 19th century. In Kyengsinlokensek, both case marker ‘-i ’ and copular ‘(-)i-’ are written down with preceeding noun phrases and j-insertions are always observed at the conjugations of stems which have ‘uy, ey, oy’ at the word-final position. I find out that there are so many differences among translations of Kyengsinlokensek, Thaysangkamungphyentoselenhay, Samsenghwunkyeng and Namkwungkyeicek. Thus, there are more specific translations on Thaysangkamungphyentoselenhay, Samsenghwunkyeng and Namkwungkyeicek than Kyengsinlokensek since Kyengsinlokensek has so many contents in the boo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敬信錄諺釋』의 서지와 국어학적 특징 3. 『敬信錄諺釋』과 다른 도교서와의 번역 양상 비교 4. 결론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 1. 서론 2. 『敬信錄諺釋』의 서지와 국어학적 특징 3. 『敬信錄諺釋』과 다른 도교서와의 번역 양상 비교 4. 결론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영균, "후기중세국어의 모음조화 연구" 서울대학교 1994

      2 김정아, "중세국어의 비교구문 연구" 태학사 1998

      3 백두현, "아, 오, 으, 우의 대립관계와 원순모음화" 國語學會 17 : 177-202, 1988

      4 김경아, "순경음의 변화에 대한 재론" 15 : 25-41, 2006

      5 李浩權, "석보상절의 서지와 언어" 太學社 2001

      6 金完鎭, "다시 β>w를 찾아서" 서울大學校語學硏究所 8 (8): 51-62, 1972

      7 석주연, "노걸대와 박통사의 언어" 太學社 2003

      8 이진호, "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음운론" 서울대학교 1997

      9 김아름, "국어 고모음화 현상 연구" 아주대학교 2008

      10 洪允杓, "近代國語의 語幹末子音群表記에 대하여" 國語學會 16 : 91-123, 1987

      1 한영균, "후기중세국어의 모음조화 연구" 서울대학교 1994

      2 김정아, "중세국어의 비교구문 연구" 태학사 1998

      3 백두현, "아, 오, 으, 우의 대립관계와 원순모음화" 國語學會 17 : 177-202, 1988

      4 김경아, "순경음의 변화에 대한 재론" 15 : 25-41, 2006

      5 李浩權, "석보상절의 서지와 언어" 太學社 2001

      6 金完鎭, "다시 β>w를 찾아서" 서울大學校語學硏究所 8 (8): 51-62, 1972

      7 석주연, "노걸대와 박통사의 언어" 太學社 2003

      8 이진호, "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음운론" 서울대학교 1997

      9 김아름, "국어 고모음화 현상 연구" 아주대학교 2008

      10 洪允杓, "近代國語의 語幹末子音群表記에 대하여" 國語學會 16 : 91-123, 1987

      11 안소진, "童蒙先習諺解의 서지와 언어: 7행 15자본과 9행 16자본의 언해 양식 비교" 서울大學校國語國文學科 30 : 67-85, 2005

      12 南廣祐, "敬信錄諺解硏究: 樂善齋文庫新資料를 가지고 近世語硏究를 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국어국문학회 (49ㆍ50 합병) : 87-104, 1970

      13 敬信錄諺, "奎章閣本"

      14 崔瑆煥編, "太上感應篇圖說諺解" 太學社 1986

      15 李基文, "國語音韻史硏究" 塔出版社 1977

      16 李翊燮, "國語表記法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17 安秉禧, "國語史資料硏究" 문학과 지성사 1992

      18 李基文, "國語史槪說(改訂版)" 民衆書林 1972

      19 洪允杓, "國語史文獻資料硏究(近代篇Ⅰ)" 太學社 1993

      20 "南宮桂籍"

      21 郭忠求, "十八世紀國語의 音韻論的硏究" 서울대학교 1980

      22 宋敏, "前期近代國語音韻論硏究" 塔出版社 1986

      23 李賢熙, "中世國語構文硏究" 新丘文化社 1994

      24 "三聖訓經 奎章閣本"

      25 敬信錄諺, "一石文庫本"

      26 김경훤, "ㆎ, ㅔ, ㅐ 혼기의 음운론적 해석, In 基谷姜信沆博士定年退職紀念國語國文學論叢" 太學社 107-116, 1995

      27 김주필, "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으로의 약화" 國語學會 38 : 27-54, 2001

      28 김경아, "β>w에 대하여" 서울大學校韓國文化硏究所 17 : 17-42, 1997

      29 이상신, "VyV 연쇄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1988

      30 田光鉉, "18世紀後期國語의 一考察" 全北大學校 13 : 39-70, 1971

      31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太學社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2 0.597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