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구운몽과 불교 경전을 활용하는 우울증 상담 치료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저술은 꿈 경험과 <구운몽>, 그리고 불교 경전들을 활용하는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구안한다. 본 저술은 사람의 생각을 중시하는 인지치료의 관점에 입각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그 틀을 넘어선다. 즉, 생각 바꾸기를 이끈 뒤 마침내 그 생각에 대한 집착까지 넘어서기 위한 세계관과 수행법을 제시한다.
      <구운몽>의 서사의 전개 과정은 우울증의 발현과 극복의 과정이라는 성격을 가진다. <구운몽>에서는 현실이 현실 아닌 것과 뒤섞여 혼동을 일으키고 있다. 현실이 가상 • 꿈 • 환상 등과 다채로운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원각경>>이나 <<반야심경>> 등 여러 불교 경전들이 끊임없이 지적하고 있는 현실과 꿈의 구분과 뒤섞임 현상과도 관련되는 것이다. 우울증 환자나 독자들은 <구운몽>을 읽으면서 현실과 비현실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구운몽>은 독자로 하여금 이런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관습화된 세계 인식 태도를 근본적으로 성찰하게 하고, 인식적 전환을 가져다준다. 이런 인식적 전환은 현재의 우울과 절망을 벗어나서 삶에 대한 새로운 감각과 태도를 모색하게 할 것이다. <구운몽>은 인간이 영위하는 일생의 경험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닐 수 있을까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금강경>>은 공(空)과 무아(無我)를 가르치고, 십이연기(十二緣起)와 함께 세상 만물의 존재 원리를 알려준다. 삶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하고 절망하여 있는 우울증 환자들이 충분히 참조할 만한 길잡이가 된다. 절망감을 극복하는 원리가 될 수도 있다. <<반야심경>>은 오온(五蘊)이 모두 공(空)하다는 것을 알고 일체고액을 벗어났다는 것을 가르친다. 이런 가르침은 우울증 환자의 절망의 문제에 대한 성찰과 곧바로 이어질 수 있다. <<능엄경>>은 지금 이곳의 황량하고 진절머리 나는 현실 자체가 진여불성이 존재하는 곳임을 명백하게 가르쳐주고 있다. 이런 <<능엄경>>의 세계관은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해 절망하는 우울증 환자로 하여금 새로운 희망을 갖게 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저술의 제1부는 꿈 경험과 <구운몽>, 그리고 불교 경전들을 활용하는 우울증 상담 치료 프로그램을 온전하게 구안하여 제시한다. 제1부에서 기술할 우울증 상담 치료 프로그램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제1회기에서 우울증을 진단하고 라포를 형성한다. 제2회기에서는 내담자 스스로 자기 문제를 자각하게 만든다. 과연 내담자의 우울한 기분이 고정된 것인가 아니면 현재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가를 스스로 살피게 한다. 과제로 제출한 ‘자기 서사’를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자기 문제를 자기 경험에서 찾게 만든다. 기본
      번역하기

      본 저술은 꿈 경험과 <구운몽>, 그리고 불교 경전들을 활용하는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구안한다. 본 저술은 사람의 생각을 중시하는 인지치료의 관점에 입각하면서도 궁극적...

      본 저술은 꿈 경험과 <구운몽>, 그리고 불교 경전들을 활용하는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구안한다. 본 저술은 사람의 생각을 중시하는 인지치료의 관점에 입각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그 틀을 넘어선다. 즉, 생각 바꾸기를 이끈 뒤 마침내 그 생각에 대한 집착까지 넘어서기 위한 세계관과 수행법을 제시한다.
      <구운몽>의 서사의 전개 과정은 우울증의 발현과 극복의 과정이라는 성격을 가진다. <구운몽>에서는 현실이 현실 아닌 것과 뒤섞여 혼동을 일으키고 있다. 현실이 가상 • 꿈 • 환상 등과 다채로운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원각경>>이나 <<반야심경>> 등 여러 불교 경전들이 끊임없이 지적하고 있는 현실과 꿈의 구분과 뒤섞임 현상과도 관련되는 것이다. 우울증 환자나 독자들은 <구운몽>을 읽으면서 현실과 비현실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구운몽>은 독자로 하여금 이런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관습화된 세계 인식 태도를 근본적으로 성찰하게 하고, 인식적 전환을 가져다준다. 이런 인식적 전환은 현재의 우울과 절망을 벗어나서 삶에 대한 새로운 감각과 태도를 모색하게 할 것이다. <구운몽>은 인간이 영위하는 일생의 경험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닐 수 있을까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금강경>>은 공(空)과 무아(無我)를 가르치고, 십이연기(十二緣起)와 함께 세상 만물의 존재 원리를 알려준다. 삶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하고 절망하여 있는 우울증 환자들이 충분히 참조할 만한 길잡이가 된다. 절망감을 극복하는 원리가 될 수도 있다. <<반야심경>>은 오온(五蘊)이 모두 공(空)하다는 것을 알고 일체고액을 벗어났다는 것을 가르친다. 이런 가르침은 우울증 환자의 절망의 문제에 대한 성찰과 곧바로 이어질 수 있다. <<능엄경>>은 지금 이곳의 황량하고 진절머리 나는 현실 자체가 진여불성이 존재하는 곳임을 명백하게 가르쳐주고 있다. 이런 <<능엄경>>의 세계관은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해 절망하는 우울증 환자로 하여금 새로운 희망을 갖게 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저술의 제1부는 꿈 경험과 <구운몽>, 그리고 불교 경전들을 활용하는 우울증 상담 치료 프로그램을 온전하게 구안하여 제시한다. 제1부에서 기술할 우울증 상담 치료 프로그램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제1회기에서 우울증을 진단하고 라포를 형성한다. 제2회기에서는 내담자 스스로 자기 문제를 자각하게 만든다. 과연 내담자의 우울한 기분이 고정된 것인가 아니면 현재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가를 스스로 살피게 한다. 과제로 제출한 ‘자기 서사’를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자기 문제를 자기 경험에서 찾게 만든다. 기본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book designs a Depression Therapy Program that makes use of wisdom and situations related to death, reality and fantasy, and dream found in Kuwoonmong and such Buddhist scriptures as Keumkangkyung, Wonkackyung, Banyasimkyung.
      Depression patients have a strong sense of negativity towards almost everything in life. They regard themselves and life as useless and meaningless. Such strong negation towards themselves and the world leads to the sense of depression and desperation, and ends up committing suicide.
      In order to help cure such patients with depression, this book suggests a counselling method that can help get rid the patients of negative thinking towards
      themselves and the world. This book also suggests a method that can prevent the patients from committing suicide by having them understand the very nature of death.
      The depression therapy is conducted in three categories: "I", "the world," and "death", And each category is closely referenced to one another to overcome patients' problematic situations. Such therapy leads patients to the stages of "recognition of my own greatness", "realization of everyday as happy day", and "recognition of the worth of all the living things". Depression is completely cured if the patient reaches at such stages of recognition.
      This book
      번역하기

      This book designs a Depression Therapy Program that makes use of wisdom and situations related to death, reality and fantasy, and dream found in Kuwoonmong and such Buddhist scriptures as Keumkangkyung, Wonkackyung, Banyasimkyung. Depression patients ...

      This book designs a Depression Therapy Program that makes use of wisdom and situations related to death, reality and fantasy, and dream found in Kuwoonmong and such Buddhist scriptures as Keumkangkyung, Wonkackyung, Banyasimkyung.
      Depression patients have a strong sense of negativity towards almost everything in life. They regard themselves and life as useless and meaningless. Such strong negation towards themselves and the world leads to the sense of depression and desperation, and ends up committing suicide.
      In order to help cure such patients with depression, this book suggests a counselling method that can help get rid the patients of negative thinking towards
      themselves and the world. This book also suggests a method that can prevent the patients from committing suicide by having them understand the very nature of death.
      The depression therapy is conducted in three categories: "I", "the world," and "death", And each category is closely referenced to one another to overcome patients' problematic situations. Such therapy leads patients to the stages of "recognition of my own greatness", "realization of everyday as happy day", and "recognition of the worth of all the living things". Depression is completely cured if the patient reaches at such stages of recognition.
      This book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