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촌은 지금 필리핀 여성들이 과거의 ‘양공주’를 대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평택 주한미군 기지의 유흥업에 종사하는 외국 이주여성들의 이주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65099
한정우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Pyeongtaek University)
2014
Korean
성매매 ; E-6 비자 ; 필리핀 연예 이주노동 ; Filipina Entertainer ; Camp-town ; Sex Workers ; E-6 Visa ; 기지촌
KCI등재
학술저널
33-65(3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지촌은 지금 필리핀 여성들이 과거의 ‘양공주’를 대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평택 주한미군 기지의 유흥업에 종사하는 외국 이주여성들의 이주의 ...
기지촌은 지금 필리핀 여성들이 과거의 ‘양공주’를 대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평택 주한미군 기지의 유흥업에 종사하는 외국 이주여성들의 이주의 동기와 과정 그리고 현지에서의 삶의 양식을 밝히는 민족지적 연구에 있다. 성매매 여성을 인신매매의 수동적 피해자로만 보는 시각으로부터 탈피해 한국으로의 이주 경험을 여성들의 주체적인 선택이나 삶의 전략의 하나로서 분석한다. 신자유주의 세계화 속에서 필리핀 농촌의 붕괴와 필리핀 정부의 해외 이주노동 장려 정책, 이들을 수입하는 한국 사회의 흡인 요인을 고려하면 필리핀 여성의 한국 기지촌으로의 유입은 여성의 성을 매개로 제도화된 해외이주노동에 의해 조장된다. 구조적 조건과 함께 이주과정에서의 여성의 선택의 과정을 분석하고 쥬시걸로서의 일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착취적 요소와 이에 대응하는 여성의 전략을 살펴본다. 기지촌 필리핀 여성 이주자들은 본국에 송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노동자로서 독립적이기도 하고 의존적이기도, 기략이 풍부하기도 하고 착취당하기도 한다. 이들은 세계화의 경제 관계의 망에 갇힌, 그러나 로컬 차원의 행위자들이다. 일의 체계는 고용주가 이들을 최대로 활용하여 최대의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데서 비롯된 주스 할당량과 바 파인(bar fine)의 구조로 짜여진다. 이에 따라 계약 임금노동자로서 지급해야 하는 월급보다 성과급(주스 할당/바 파인)의 비중이 훨씬 높고, 이 부분에 계약서상에 없는 벌금이나 외출 금지의 벌칙이 적용된다. 기지촌 성산업에 유입된 필리핀 여성은 형식적으로는 외국인 계약 노동자이다. 그러나 이들이 계약을 하고 한국에 와서 일하는 모든 과정을 관철하는 하나의 본질(epiphany)은 ‘비(非)법, 편법, 합법으로 위장, 법망을 피하기’이다. 이들이 정부의 허가를 받은 외국인노동자로서 수입됐다면 입국 과정에서의 중개자 역할과 고용 과정에서의 벌금제 등 불합리한 고용 행위를 노동권에 입각해 논의하고 시정하여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Filipina entertainers at a military camp-town in Korea. It includes motivations, immigration processes, and their work in the clubs. With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of the current glo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Filipina entertainers at a military camp-town in Korea. It includes motivations, immigration processes, and their work in the clubs. With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of the current globalization, the camp-town women have been replaced by foreign migrant women, especially from the Philippines. These women have been usually viewed as trafficked people, victims of forced sex slavery, a view that fails to recognize them as autonomous subjects. In analyzing their migration processes and lives in the clubs, I look at them not as passive agents, but rather as active ones. I have examined various structural causes as the defining factors in the Philippine women’s choices.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hilippines as a debtor country, along with the Philippines policy for enhancing work abroad, have led to this migration as a way of earning foreign currency. Contributing to this movement of women are the lax regulations of broker business, the efforts of the Korean camp town’s club businessmen to import foreign sex workers, a lax process of issuing entertainment visas, and lax regulations over military prostitution as a result of US-Korea relations. The women migrated to Korea to support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ack in the Philippines. Their considerations of intermarriage migration to Korea were also examined. However, their urgent financial needs have led them to reject patriarchal type marriages to Korean men. Before migration, they have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ir general work possibilities, but the extent and quality of this information seem to determ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migrate. Within the club they are struggling to expand their levels of bargaining power vis-à-vis their employers over required juice purchases and bar fines. Overall, Filipina camp-town women appear to be relieved that they are fortunate enough to migrate to Korea for higher incomes. They are independent, capable of sending money to their families, but are also dependent on labor processes which they sometimes circumvent.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exploitation, listening to their own voices should be the first step. To prevent abusive behaviors by brokers and club owners, there should be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over labor standards, such as regular days off, lifting of the penalty system and curfew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은상, "현장 르포: 기지촌마다 필리핀 ‘쥬시걸’…“가수될 줄 알았는데”"
2 김정선, "필리핀 결혼 이주 여성의 귀속(belonging)의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혜경, "탈빈곤 전략으로서 이주결혼의 역설 - 한국의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2 (22): 33-62, 2010
4 이해응,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한국 이주경험을 통해 본 주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주한미군 가족동반 증가에 대비한 주둔지역 환경조성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007
6 김지은, "적응과 세력화의 경계에 선 "외국인 아내들" : 농촌 지역의 베트남 결혼이민자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7 설동훈, "외국인 여성 성매매 실태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1
8 백재희, "외국여성의 한국 성산업 유입에 관한 연구 : 기지촌의 필리핀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설동훈, "외국여성 성매매 실태조사" 여성부 2003
10 허성우, "여성적 빈곤, 민주주의와 젠더-거버넌스: 필리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4 (24): 5-49, 2008
1 고은상, "현장 르포: 기지촌마다 필리핀 ‘쥬시걸’…“가수될 줄 알았는데”"
2 김정선, "필리핀 결혼 이주 여성의 귀속(belonging)의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혜경, "탈빈곤 전략으로서 이주결혼의 역설 - 한국의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2 (22): 33-62, 2010
4 이해응,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한국 이주경험을 통해 본 주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주한미군 가족동반 증가에 대비한 주둔지역 환경조성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007
6 김지은, "적응과 세력화의 경계에 선 "외국인 아내들" : 농촌 지역의 베트남 결혼이민자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7 설동훈, "외국인 여성 성매매 실태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1
8 백재희, "외국여성의 한국 성산업 유입에 관한 연구 : 기지촌의 필리핀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설동훈, "외국여성 성매매 실태조사" 여성부 2003
10 허성우, "여성적 빈곤, 민주주의와 젠더-거버넌스: 필리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4 (24): 5-49, 2008
11 고정갑희, "성매매의정치학: 성매매특별법 제정 1년의 시점에서" 한울아카데미 36-67, 2006
12 최강민, "단일민족의 신화와 혼혈인" 중앙어문학회 35 : 285-312, 2006
13 김현미,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70) : 10-37, 2006
14 설동훈,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6
15 Sassen, Saskia-Koob, "Women’s Burden : Counter-geographies of Globalization and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53 (53): 503-524, 2000
16 Rowland, Ashley, "USFK Bans Buying Drinks for ‘Juicy Bar’ Workers" Stars and Stripes,28 October, 2014
17 Jeffreys, Sheila, "The Industrial Vagina: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Global Sex Trade" Routledge 2009
18 Castles, Stephen,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Macmillan 1999
19 Yea, Sallie, "Sex Trafficking of Foreign Women to United States Military Camp Towns in South Korea" RMIT University 2004
20 Moon, Katharine, "Sex Among Allies : Military Prostitution in U. S. -Korea Relation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7
21 Parrenas, Rhacel Salazar, "Servants of Globalization : Women, Migration and Domestic"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7
22 Cheng, Sealing, "On the Move for Love: Migrant Entertainers and the U.S. Military in South Kore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0
23 Yea, Sallie, "Labour of Love: Trafficked Filipina “Entertainers” Narratives of Romance, Relationships and Rights in South Korea" 28 (28): 456-472, 2005
24 설동훈, "International Sex Trafficking in Women in Korea: Its Causes, Consequences and Countermeasures" 한국여성연구원 10 (10): 7-47, 2004
25 Parrenas, Rhacel Salazar, "Illicit Flirtations : Labor, Migration, and Sex Trafficking in Tokyo"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
26 Ehrenreich, Barbara, "Global Woman: Nannies, Maids, and Sex Workers in the New Economy" Metropolitan Books 2003
27 Sassen, Saskia-Koob, "Global Woman: Nannies, Maid, and Sex Workers in the New Economy" Metropolitan Books 254-274, 2003
28 Tauli-Corpuz, Victoria, "Gender Series No.1, Third World Network" Jutaprint 2001
29 Yea, Sallie, "Foreign Women Trafficked to United States Military Areas in South Korea : Trafficking Processes and Victim Profiles in a Different Context" 15 (15): 495-524, 2006
30 MacIntyre, Donald, "Base Instincts: Filipina and Russian Women are Being Sold into Sexual Slavery in the Seedy Bars and Nightclubs that Serve U.S. Military Bases in South Korea" http://www.walnet.org/csis/news/world_2002/time-020805.html 160 (160): 2002
31 Enloe, Cynthia H., "Bananas, Beaches & Bases : Making Feminist Sense of International Poli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32 두레방, "2007년도 경기도 외국인 성매매피해여성 실태조사 연구용역 사업보고서" 두레방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6-1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Women's Studies Review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71 | 1.21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