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북지역에서 파종시기가 춘파 귀리의 생육특성과 사료작물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eeding Date on Agronomic Traits and Forage Crop Seed Production of Spring Oat (Avena sativa L.) in Gyeongbuk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48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북 지역에서 수요가 높은 사료작물 중 춘파 귀리(Avena sativa L., cv. High Speed)의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위하여 2015년과 2016년 2년간 파종 시기별(2월 말일, 3월 10일, 20일)로 파종(130 kg/ha) 하였을 ...

      경북 지역에서 수요가 높은 사료작물 중 춘파 귀리(Avena sativa L., cv. High Speed)의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위하여 2015년과 2016년 2년간 파종 시기별(2월 말일, 3월 10일, 20일)로 파종(130 kg/ha) 하였을 때 귀리의 생육 특성, 종자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출수기, 개화기 및 성숙기는, 매년 2월 말일 파종구와 3월 10일 파종구가 1~2일 차이로 거의 비슷하였다. 2월 말일 파종의 경우, 귀리의 초장이 타 파종구 대비 유의적으로 길었고 (p<0.05) 수장(穗長)은 2016년 최대 1cm 유의적으로 길었으며 단위 면적($m^2$)당 수수(穗數)도 2015년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다($416.7ea/m^2$). 이상, 파종 시기별 춘파 귀리는 2월 말 파종이 초장, 간장, 수장 및 단위 면적($m^2$)당 수수 등에서 비교적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1수립수(穗粒數)는, 2월 말일 파종구가 2016년 및 두 해 평균 각각 56.3 및 63.3개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1수립중(穗粒重)도, 2월 말일 파종구가 2016년 및 두 해 평균 각각 1.72 및 2.00 g/spike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종실 수량의 경우, 2월 말일 파종구에서 3월 10, 20일 파종구 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두 해 평균 가장 높은 종자 생산성(6,243 kg/ha)을 보였다(p<0.05).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ADF, NDF 및 TDN 함량에서 파종기와 무관하게 귀리의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북 경주지역에서 춘파 귀리의 적절한 파종 시기는, 종자 생산성 면에서 2월 말일이 효과적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fficiently produce forage crop seed of spring oat (Avena sativa L., cultivar High Speed) in Gyeongbuk area. Forage crop oats (130 kg/ha) were sown with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y were sown in triplicates in 20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fficiently produce forage crop seed of spring oat (Avena sativa L., cultivar High Speed) in Gyeongbuk area. Forage crop oats (130 kg/ha) were sown with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y were sown in triplicates in 2015 and 2016 using basal fertilizer of 70 kg N, 74 kg P, and 39 kg K/ha. Agronomic traits and seed production of oat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eding dates (February 28/29th, March 10th, and March 20th). Heading, flowering, and maturing dates of these oats sown on February 28/29th and March 10th were almost close to each other with 1-2 days of difference for all test plots. For oats sown on the last day (28/29) of Feb., plant heights (111.6-122.6 cm)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sown in March each year. In addition, panicle number ($416.7per\;m^2$) and panicle length (17.3 cm)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sown in March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sow these oats on the last day of February to have better agronomic traits in terms of plant height, stem length, panicle length, and panicle number $per\;m^2$. Grain numbers (56.3 and 63.3) and kernel weights (1.72 and 2.00 g) per spike in plots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in other plots in 2016 and in the average of 2015~2016, respectively. The highest grain yield (6,243 kg/ha) was obtained when oats were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Feed value of harvested oats was good in terms of proximate compositions including fiber contents and TDN contents. In conclusion, sowing on the last day of Februar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ncrease seed production of spring oats in Gyeongbuk area of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명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22 (22): 457-468, 2014

      2 최기준, "춘파재배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귀리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1 (31): 135-142, 2011

      3 한옥규, "중남부지역 적응 내한 다수 조사료용 월동귀리 신품종 ‘광한’" 한국육종학회 42 (42): 226-230, 2010

      4 한옥규, "조숙 양질 다수성 식용 쌀귀리‘조양’" 한국육종학회 40 (40): 512-516, 2008

      5 한옥규, "조숙 다수성 추파 총체사료용 귀리 신품종 ‘옥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3 (33): 87-93, 2013

      6 한옥규, "이모작 재배에 적합한 조숙성 추파용 귀리 신품종 태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3 (33): 227-233, 2013

      7 주정일, "봄과 가을 파종시 귀리 품종별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1 (31): 25-32, 2011

      8 한옥규, "남부지역 적응 조숙 다수 조사료용 월동귀리 신품종 ‘조풍’" 한국육종학회 42 (42): 231-235, 2010

      9 신정남, "경북지역에서 옥수수 후작 수단그라스간 교잡종 및 귀리의 파종시기가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4 (34): 81-86, 2014

      10 황보순, "경북남부지방에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23 (23): 583-593, 2015

      1 오명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22 (22): 457-468, 2014

      2 최기준, "춘파재배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귀리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1 (31): 135-142, 2011

      3 한옥규, "중남부지역 적응 내한 다수 조사료용 월동귀리 신품종 ‘광한’" 한국육종학회 42 (42): 226-230, 2010

      4 한옥규, "조숙 양질 다수성 식용 쌀귀리‘조양’" 한국육종학회 40 (40): 512-516, 2008

      5 한옥규, "조숙 다수성 추파 총체사료용 귀리 신품종 ‘옥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3 (33): 87-93, 2013

      6 한옥규, "이모작 재배에 적합한 조숙성 추파용 귀리 신품종 태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3 (33): 227-233, 2013

      7 주정일, "봄과 가을 파종시 귀리 품종별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1 (31): 25-32, 2011

      8 한옥규, "남부지역 적응 조숙 다수 조사료용 월동귀리 신품종 ‘조풍’" 한국육종학회 42 (42): 231-235, 2010

      9 신정남, "경북지역에서 옥수수 후작 수단그라스간 교잡종 및 귀리의 파종시기가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4 (34): 81-86, 2014

      10 황보순, "경북남부지방에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23 (23): 583-593, 2015

      11 Korea Customs Service, "Statistic trade data - Results of importation by items"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tandardization for research survey on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3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at, Crops, Agricultural technology"

      15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n Feeding Standard for Dairy Cattle"

      16 Korea Customs Service, "Import-export trade statistics, actual import-export records"

      17 Martinez, M., "Grain yield, nutrient content and lipid profile of oat genotypes grown in a semiarid environment" 116 (116): 92-100, 2010

      18 Linn, J.,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19 Goring, H.K., "Forage fiber analysis. Ag. Handbook. No. 379" ARS. USDA 1970

      20 Hyun, S. W., "Effects of seeding date on growth and yield in oats" 39 (39): 359-365, 1994

      21 Givens, D., "Effect of variety, nitrogen fertiliser and various agronomic factors on the nutritive value of husked and naked oats grain" 113 : 169-181, 2004

      22 Marshall, H. G.,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rate, seeding rate and row spacing on semidwarf and conventional height spring oat" 27 (27): 572-575, 1987

      23 Song, D. S., "Culm characteristics of rice plant related to lodging resistance under different nitrogen levels in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41 (41): 308-317, 1996

      24 Biel, W.,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husked and naked oats grain" 49 : 413-418, 2009

      25 Statistics Korea, "Cattle ranchers farming Korean cattle ‘Hanwoo’"

      26 Buerstmayr, H., "Agronomic performance and quality of oat (Avena sativa L.) genotypes of worldwide origin produced under Central European growing conditions" 101 : 343-351, 2007

      27 Park, B. G., "Adaptation and quality of naked oat (Avena nuda L.) cultivars in Korea" 27 (27): 429-437,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