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학계의 임진왜란사 연구 현황과 과제 =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Researching in History of Imjin Wearan by Chinese Academ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43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ing in history of Imjin Wearan(壬辰倭亂) by Chinese academia can be generally classified and analyzed on three periods which in 1950s~1960s, 1980s and from 1992 until now. As a whole, Chinese scholars has got a bundant achievements in ...

      The researching in history of Imjin Wearan(壬辰倭亂) by Chinese academia can be generally classified and analyzed on three periods which in 1950s~1960s, 1980s and from 1992 until now. As a whole, Chinese scholars has got a bundant achievements in aspects of the reason of invasion, process of the war, some famous campaigns, famous generals, the reinforcement by Myeong Dynasty, the peace negotiation by Chinese and Japanese, the Myeong"s grace of rebirth to Joseon, the influence of the war and soon. However, we realized that we still got some missdistance with Korean research not only in scale, but also in depth. In view of the status of diplomacy and politics in East Asian countries, we should explore new materials, and do some obbjective research based on historical facts with the relative analysis the war records of the three countries by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historical data and achievements from Korea and Japan. Meanwhile, we should also intensify the cooperative researching with Korea and Japan schola rs from the view of historiography of the world instead of doing subjective assume only from the view of one coun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중국학계의 임진왜란사 연구의 주요관점에 관하여
      • 3. 전망-미래의 연구 방향과 과제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중국학계의 임진왜란사 연구의 주요관점에 관하여
      • 3. 전망-미래의 연구 방향과 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韩明基,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2 周晓红, "贡献突出的抗倭援朝将领宋应昌" 6 : 1992

      3 颜廷宏, "试论壬辰战争对东亚国际关系的影响" 2 : 2010

      4 石少颖, "试论“壬辰倭乱”中明朝与朝鲜对日本“封贡”问题的交涉" 4 : 2010

      5 关庆凡, "论明末援朝抗倭之得失" 1 : 2008

      6 杨昭全, "论明代援朝御倭战争的几个问题" 1988

      7 杨昭全, "论明代援朝御倭战争中的和议问题" 1 : 1981

      8 王家骅, "略论丰臣秀吉侵朝战争的原因" 3 : 1985

      9 李光濤, "朝鮮壬辰倭禍硏究" (臺灣)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專刊之六十一 1972

      10 杨通方, "明朝与朝鲜的壬辰卫国战争" (秋季) : 2001

      1 韩明基,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2 周晓红, "贡献突出的抗倭援朝将领宋应昌" 6 : 1992

      3 颜廷宏, "试论壬辰战争对东亚国际关系的影响" 2 : 2010

      4 石少颖, "试论“壬辰倭乱”中明朝与朝鲜对日本“封贡”问题的交涉" 4 : 2010

      5 关庆凡, "论明末援朝抗倭之得失" 1 : 2008

      6 杨昭全, "论明代援朝御倭战争的几个问题" 1988

      7 杨昭全, "论明代援朝御倭战争中的和议问题" 1 : 1981

      8 王家骅, "略论丰臣秀吉侵朝战争的原因" 3 : 1985

      9 李光濤, "朝鮮壬辰倭禍硏究" (臺灣)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專刊之六十一 1972

      10 杨通方, "明朝与朝鲜的壬辰卫国战争" (秋季) : 2001

      11 文廷海, "明代碧蹄馆之役及中日和谈考实" 2 : 2001

      12 周一良, "明代援朝抗倭战争" 中华书局 1962

      13 刘子敏, "明代抗倭援朝战争" 亚洲出版社 2006

      14 姜龙范, "明代中朝关系史" 黑龙江朝鮮民族出版社 1999

      15 孙文良, "明代‘援朝逐倭’探微" 3 : 1994

      16 李克玉, "抗倭名将陈璘军事活动述略" 27 (27): 2007

      17 陈尚胜, "字小与国家利益:对于明朝就朝鲜壬辰倭乱所做反应的透视" 1 : 2008

      18 柯胜雨, "大明帝国抗日史" 辽宁教育出版社 2011

      19 朱法武, "壬辰战争中朝鲜对中日议和立场探析" 2 : 2010

      20 刘宝全, "壬辰倭乱时期朝・明关系史研究" 民族出版社 2005

      21 劉寶全, "壬辰亂 後 朝鮮 對明 認識의 變化-‘再造之恩'을 중심으로" 11 : 2006

      22 宗惠玉, "也论丰臣秀吉侵朝战争的原因" 4 : 1993

      23 蔣非非, "中韩关系史・古代卷" 社会科学文献出版社 1998

      24 司 今, "中朝抗倭战争中的露梁海战" 4 : 1982

      25 杨昭全, "中国-朝鲜韩国关系史" 天津人民出版社 2001

      26 靳大成, "东域学手记" 14 : 2004

      27 黄枝连, "东亚的礼仪世界-中国封建王朝与朝鲜半岛关系形态论" 中国人民大学出版社 1994

      28 金洪培, "万历朝鲜役及其对东亚政治格局的影响" 24 (24): 2007

      29 樊树志, "万历年间的朝鲜战争" 6 :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