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최병두의 이주 관련 연구를 정리해 이론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해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주 연구를 시작한 2000년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16882
2018
-
300
KCI등재
학술저널
71-111(41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병두의 이주 관련 연구를 정리해 이론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해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주 연구를 시작한 2000년대...
이 연구는 최병두의 이주 관련 연구를 정리해 이론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해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주 연구를 시작한 2000년대 초반에는 주로 지구, 지방화 시대의 공간으로서 ‘다문화 공간’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주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천착하여 다문화 공간이 다양한 행위자와 그들이 만들어내는 연결망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들을 시도했고 최근에 이르러 근원적인 존재로서의 이방인에 대해 조건 없이 환대해야 한다는 환대의 지리학을 논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특징을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을 대상으로 하여 재해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현실에서 불가능한 환대가 재구성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 지구·지방적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토대 공간의 가능성을 해석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mmarizes Byungdoo Choi’s immigration research to examine his the-oretical features and applies his implication to a case study. Since the early 2000s, he has studied immigr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space’ as the...
This study summarizes Byungdoo Choi’s immigration research to examine his the-oretical features and applies his implication to a case study. Since the early 2000s, he has studied immigr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space’ as the space of glocalization. Next, deploying on the actor-network theory, he has analyzed how multicultural spaces are constantly re/constructed by various actors and their networks. Finally, he suggested the geography of hospitality 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glocal citizens who provide hospitality for human beings. Inspired by his works, this study attempts to reinterpret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homes as a multicultural space. By doing so, this study explores home as a potential space of hospitality where it is not possible in reality, in turn, suggests home as a basic space where the glocal citizenship can be cultiva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정희, "환대의 윤리 관점에서 본 이주노동자 정책과 한국 교회의 과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32 (32): 73-108, 2018
2 이병하, "환대 개념과 이민정책: 이론적 모색" 평화연구소 4 (4): 47-72, 2017
3 문옥표, "한국인의 식생활 속의 다문화 실천: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45 (45): 109-148, 2012
4 예동근, "한국의 지역 다문화공간에 대한 비판적 접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14, 2011
5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환대의 지리학" 푸른길 2018
6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대한지리학회 47 (47): 13-36, 2012
7 김연희, "초국적 삶의 주체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전환경험과 미디어 행위자네트워크의 역할: 중국출신여성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6 (56): 107-153, 2017
8 최병두,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 네트워크와 경계 넘기"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1-22, 2017
9 최병두, "지구, 지방화와 다문화 공간" 푸른길 2011
10 최금해,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1): 141-186, 2007
1 강정희, "환대의 윤리 관점에서 본 이주노동자 정책과 한국 교회의 과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32 (32): 73-108, 2018
2 이병하, "환대 개념과 이민정책: 이론적 모색" 평화연구소 4 (4): 47-72, 2017
3 문옥표, "한국인의 식생활 속의 다문화 실천: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45 (45): 109-148, 2012
4 예동근, "한국의 지역 다문화공간에 대한 비판적 접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14, 2011
5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환대의 지리학" 푸른길 2018
6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대한지리학회 47 (47): 13-36, 2012
7 김연희, "초국적 삶의 주체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전환경험과 미디어 행위자네트워크의 역할: 중국출신여성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6 (56): 107-153, 2017
8 최병두,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 네트워크와 경계 넘기"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1-22, 2017
9 최병두, "지구, 지방화와 다문화 공간" 푸른길 2011
10 최금해,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1): 141-186, 2007
11 김영옥, "인정투쟁 공간/장소로서의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공동체: ‘아이다’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4 : 31-64, 2010
12 아렌트, 한나,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13 이민경, "이주-정착-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 - 베트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2) : 223-264, 2016
14 홍태영, "이주자의 문화적 권리와 정체성" 아시아여성연구원 4 (4): 5-34, 2011
15 김영주, "음식으로 본 한국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적응 전략-충청남도 농촌 거주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9 (19): 121-160, 2009
16 심보선, "온정주의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과 변화- 한국의 다문화 정책을 위한 시론적 분석 -" 한국사회역사학회 10 (10): 41-76, 2007
17 한윤희,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 식생활 적응요인 및 식행동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19 (19): 115-159, 2011
18 하비, 데이비드, "사회 정의와 도시" 종로서적 1982
19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2015
20 최병두, "번역과 동맹: 초국적 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와 사회공간적 전환" 푸른길 2017
21 김정현,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식생활행태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173-189, 2015
22 공윤경, "다문화공간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차별화"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8) : 183-214, 2013
23 최병두, "다문화공간과 지구-지방적 윤리: 초국적 자본주의의 문화공간에서 인정투쟁의 공간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635-654, 2009
24 정현주,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 50 (50): 289-303, 2015
25 김희경,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유형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 121-160, 2010
26 최병두, "다문화 공생 일본의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과 지역사회의 역할" 푸른길 2011
27 김태원, "다문화 공간과 결혼이주민의 정체성에 관한 이론적 탐색"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527-548, 2015
28 이민경, "노동-유학-자녀교육의 동맹: 몽골 이주노동자 가정의 이주ㆍ정착ㆍ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ANT)" 교육문제연구소 28 (28): 85-109, 2015
29 이용재, "구성되는 관계에 대한 이해, ANT에 대한 길라잡이: 번역과 동맹(최병두 외, 2017 푸른길) 서평을 대신하여"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7 (7): 140-149, 2017
30 김종훈, "관용을 넘어 정의로: 데리다의 ‘환대’(hospitality)의 철학에 비추어 본 다문화 사회"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119-137, 2016
31 발렌타인, 질, "공간에 비친 사회, 사회를 읽는 공간: 사회지리학으로의 초대" 한울 아카 2009
32 김현미,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Home) 만들기: 문화 접경지대 번역자로서의 이주여성"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145-174, 2010
33 이희영, "결혼-관광-유학의 동맹과 신체-공간의 재구성- 아시아 여성 이주자들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02) : 110-148, 2014
34 Sassen, S., "Women’s burden: counter-geographies of globalization and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53 (53): 503-524, 2000
35 Zhou, Y. R., "Transnational aging: the impacts of adult children’s immigration on their parents’ later lives" 3 (3): 49-64, 2013
36 Zhou, Y. R., "Toward transnational care interdependence: rethink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 immigration and social policy" 13 (13): 280-298, 2013
37 Anzaldúa, G, "This Bridge Called My Back: Writings by Radical Women of Color" Persephone 165-174, 1981
38 Zhou, Y. R., "Space, time, and self: rethinking aging in the contexts of immigration and transnationalism" 26 (26): 232-242, 2012
39 Parreñas, R. S., "Servants of Globalization: Women, Migration and Domestic Work"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40 Hochschild, A. R, "On The Edge: Living with Global Capitalism" Jonathan Cape 130-146, 2000
41 Lan, P. C., "New global politics of reproductive labor: Gendered labor and marriage migration" 2 (2): 1801-1815, 2008
42 Faier, L., "Intimate Encounters: Filipina Women and the Remaking of Rural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
43 Ralph, D, "Home and migration: mobilities, belongings and identities" 5 (5): 517-530, 2011
44 Douglass, M., "Global householding in pacific Asia" 28 (28): 421-446, 2006
45 Douglass, M., "Global householding and social reproduction: migration research, dynamics and public policy in East and Southeast Asia" Asia Research Institute
46 Domosh, M, "Geography and gender: home, again?" 22 (22): 276-282, 1998
47 Blunt, A., "Cultural geography: cultural geographies of home" 29 (29): 505-515, 2005
48 황정미, "Cross-border Marriages and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 for Care: A Study of Marriage-migrant Women in Korea" 여성연구소 26 (26): 195-226, 2016
49 Harvey, D., "Cosmopolitanism and the Geographies of Freedom"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50 Lie, M. L., "Across the oceans: childcare and grandparenting in UK Chinese and Bangladeshi households" 36 (36): 1425-1443, 2010
51 여성가족부,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2016
불균등발전의 극복전략으로서 네트워크 도시 논의의 비판적 검토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through Occupation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6 | 1.32 | 1.495 | 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