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of all lineage records of important Chungin(中人) lineages had written in Seongwonlok(姓源錄). As this fact, it was evidenced that Seongwonlok is total genealogy of Chungin. Through the many important Chungin lineage records written in Seong...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72947
김두헌 (전주대학교)
2010
Korean
Seongwonlok(姓源錄) ; Lee Chang-Hyun(李昌鉉) ; Chungin(中人) ; Pasijo(派始祖) ; lineage records(家系記錄) ; Status system(身分制度) ; 姓源錄 ; 中人 ; 中人家系 ; 家系記錄 ; 李昌鉉 ; 身分
KCI등재
학술저널
41-77(37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all lineage records of important Chungin(中人) lineages had written in Seongwonlok(姓源錄). As this fact, it was evidenced that Seongwonlok is total genealogy of Chungin. Through the many important Chungin lineage records written in Seong...
Most of all lineage records of important Chungin(中人) lineages had written in Seongwonlok(姓源錄). As this fact, it was evidenced that Seongwonlok is total genealogy of Chungin. Through the many important Chungin lineage records written in Seongwonlok we can measurement a scope of Chungin’s lineages. By the Seongwonlok we can recognize that Chungin monopolized technical official post. Among the Seongwonlok’s lineage records, family records under Pasijo(派始祖) didn’t fabricated. It were discoverid merely a small minority’s mistake of Seongwonlok’ s compiler. we can correct these mistakes with other historical materials. It were judgmented that the authority in Seongwonlok was the degree enough to used as the historical documents. The family line of Lee Chang-Hyun(李昌鉉), Seongwonlok’s editor didn’t different from any other Chungin ineages. The purpose that Lee Chang Hyun compiled Seongwonlok was to a record the facts that Chungin highly unioned. The one among the Seongwonlok’s important value as the historical document was in Seongwonlok hand the aspects that almost Chungin ineages existenced with the strength combin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Chungin had plenty of margin rising the social status than Yangin(良人). But nerely great part of Chungin subsistenced with the strong ident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We must anew research the phase that status system had changed after ImgJinOaelan(壬辰倭亂).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헌, "조선후기 중인의 庶流및첩에 대한 차별" 조선시대사학회 (13) : 2000
2 김두헌, "조선후기 기술직 중인 서류의 혼인과 과거합격 및 관직진출" 국립민속박물관 (14) : 59-88, 2004
3 김두헌, "자료增補寫字廳先生案의 편찬과 제시" 대동사학회 2004
4 김두헌, "개항이후(1876∼1894)의 잡과와 주학 입격자의 신분" 대동사학회 (1) : 2002
5 "雲科科目案, 1책"
6 "雲科榜目, 1책"
7 "醫譯籌八世譜, 3책"
8 "醫等第譜, 1책"
9 "醫科榜目, 2책"
10 "醫科八世譜, 1책"
1 김두헌, "조선후기 중인의 庶流및첩에 대한 차별" 조선시대사학회 (13) : 2000
2 김두헌, "조선후기 기술직 중인 서류의 혼인과 과거합격 및 관직진출" 국립민속박물관 (14) : 59-88, 2004
3 김두헌, "자료增補寫字廳先生案의 편찬과 제시" 대동사학회 2004
4 김두헌, "개항이후(1876∼1894)의 잡과와 주학 입격자의 신분" 대동사학회 (1) : 2002
5 "雲科科目案, 1책"
6 "雲科榜目, 1책"
7 "醫譯籌八世譜, 3책"
8 "醫等第譜, 1책"
9 "醫科榜目, 2책"
10 "醫科八世譜, 1책"
11 "醫科先生案, 1책"
12 김두헌, "鄭敾의 身分과 仕宦 履歷 -사대부 출신 및 도화서 화원 진출 여부-"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74) : 45-82, 2009
13 "譯等第譜, 1책"
14 "譯科譜, 1책"
15 "譯科榜目, 1책"
16 "譯科八世譜, 1책"
17 "籌學八世譜, 1책"
18 김두헌, "籌學入格案의 입격연도 미상자에 대한 연구" 전북대학교사학회 (19·20) : 1997
19 "籌學入格案, 2책"
20 "濟州高氏大譜"
21 "本廳完薦案, 1책"
22 "朝鮮王朝璿源錄, 10책"
23 이성무, "朝鮮時代雜科合格者總攬-雜科榜目의電算化"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0
24 이남희, "朝鮮後期雜科中人硏究" 이회문화사 1999
25 金良洙, "朝鮮後期譯官身分에 關한硏究" 연세대학교 1987
26 "朔寧崔氏世譜, 9책"
27 "朔寧崔氏世譜, 4책"
28 김두헌, "技術職 中人 身分 硏究"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29 "慶州崔氏族譜, 7권 7책"
30 吳柱錫, "悅話堂" 悅話堂 1998
31 "忠州崔氏大同譜, 8권 10책"
32 "律科榜目, 1책"
33 "律榜, 1책"
34 玄錫文, "己亥日記"
35 김두헌, "差備待令畵員의 신분과 세전 및 혼인" 전북사학회 (31) : 43-82, 2007
36 "完薦記, 4권 4책"
37 李昌鉉, "姓源錄"
38 "坡平尹氏世譜, 10책"
39 "別薦案, 1책"
40 "井邑李氏族譜, 3권 1책"
41 김두헌, "『寫字廳先生案』과 조선시대 寫字官의 신분" 한국고문서학회 24 : 237-274, 2004
42 김두헌, "19세기 중인의 초혼 연령 및 배우자의 신분 -현탁 가문과 김상순 가문의 사례-"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73) : 145-183, 2009
43 김두헌, "19세기 운학 완천 합격자와 그들의 가계" 전북사학회 (33) : 143-183, 2008
44 김두헌, "18~19세기 중인 사회의 적서 차별과 공존― 천녕현씨 현계근 가문의 사례" 한국국학진흥원 1 (1): 467-500,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2 | 1.48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