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색여치는 최근 대발생으로 과수농가에서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갈색여치의 종령 약충과 미성숙 성충, 성숙 성충에 대한 교미행동 및 일일행동패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일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90460
윤창만 (충북대학교) ; 김현경 (충북대학교) ; 김길하 (충북대학교) ; Yoon, Changmann ; Kim, Hyun Kyung ; Kim, Gil-Hah
2014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177-183(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갈색여치는 최근 대발생으로 과수농가에서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갈색여치의 종령 약충과 미성숙 성충, 성숙 성충에 대한 교미행동 및 일일행동패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일행...
갈색여치는 최근 대발생으로 과수농가에서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갈색여치의 종령 약충과 미성숙 성충, 성숙 성충에 대한 교미행동 및 일일행동패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일행동패턴은 휴식, 이동, 섭식을 반복하였다. 종령 약충과 미성숙 성충의 일일행동패턴은 유사했다. 종령 약충은 평균 10:06에 활동을 시작하고 21:12에 휴식을 취한다. 미성숙 성충은 평균 11:30에 활동을 시작하고 20:08에 휴식을 취한다. 그러나 성숙 성충의 경우 15:30에 활동을 시작하는 차이를 보였다. 성숙 성충은 특정시간(약 20:00)대에 교미행동을 보인다. 갈색여치의 교미행동은 암컷의 spermatophylax를 섭취하게 되는데 다 섭취하기까지 270-360분이 소요된다. 갈색여치의 행동패턴은 이들의 발생양상과 생태를 알 수 있어 갈색여치를 방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Tettigoniidae), causes substantial damage in orchard areas in South Korea. Daily rhythm and mating behaviors were investigated in last instar nymphs, immature adults and mature adults of ...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Tettigoniidae), causes substantial damage in orchard areas in South Korea. Daily rhythm and mating behaviors were investigated in last instar nymphs, immature adults and mature adults of P. ussuriensis. The daily rhythm was repeated upon resting, moving, and feeding. The daily rhythm of the movement behavior similar in both last instar nymphs and immature adults. Last instar nymphs becoming active at 10:06 and ceasing activity at 21:12 in average. Immature adults becoming active at 11:30 and ceasing activity at 20:08 in average of totally 10 individuals. However, mature adults showed a different active time of 15:30. Generally, behavior was affected by the conditions of their environment, especially temperature. Mature adults activated later than nymphs and immature adults. Mature adults display mating behavior at a particular time of day (approximately 20:00). P. ussuriensis showed a mating behavioral sequence which was similar to related species in completely retaining the spermatophylax. Females took 270 min to 360 min to completely retain the spermatophylax. The daily rhythm of P. ussuriensis, indicating its occurrence and ecology, could be useful as basic data for managing field populations of P. ussuriensi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은, "식물에 대한 꽃매미의 섭식행동과 섭식자극"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467-477, 2009
2 노두진, "갈색여치의 유인물질 탐색과 트랩개발" 한국농약과학회 12 (12): 256-261, 2008
3 문상래, "갈색여치의 발생소장 및 발육특성"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11-19, 2009
4 안기수, "갈색여치에 대한 살충제의 감수성" 한국농약과학회 11 (11): 194-200, 2007
5 방혜선,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의 산란 특성" 한국환경농학회 27 (27): 274-278, 2008
6 김명현,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 기주식물의 이화학적 특성변화와 먹이선호 구명" 한국환경농학회 28 (28): 356-364, 2009
7 방혜선, "갈색여치 알의 휴면타파를 위한 저온처리 및 월동 온도조건의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221-227, 2009
8 Simmons, L. W., "The refractory period of female katydids (Orthoptera: Tettigoniidae): sexual conflict over the re-mating interval?" 2 : 276-282, 1991
9 Hea-Son Bang, "Temperature effects on embryonic development of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Tettigoniidae) in relation to its prolonged diapause" 한국응용곤충학회 14 (14): 373-377, 2011
10 Danks, H. V., "Short life cycles in insects and mites" 138 : 407-463, 2006
1 이정은, "식물에 대한 꽃매미의 섭식행동과 섭식자극"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467-477, 2009
2 노두진, "갈색여치의 유인물질 탐색과 트랩개발" 한국농약과학회 12 (12): 256-261, 2008
3 문상래, "갈색여치의 발생소장 및 발육특성"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11-19, 2009
4 안기수, "갈색여치에 대한 살충제의 감수성" 한국농약과학회 11 (11): 194-200, 2007
5 방혜선,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의 산란 특성" 한국환경농학회 27 (27): 274-278, 2008
6 김명현,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 기주식물의 이화학적 특성변화와 먹이선호 구명" 한국환경농학회 28 (28): 356-364, 2009
7 방혜선, "갈색여치 알의 휴면타파를 위한 저온처리 및 월동 온도조건의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221-227, 2009
8 Simmons, L. W., "The refractory period of female katydids (Orthoptera: Tettigoniidae): sexual conflict over the re-mating interval?" 2 : 276-282, 1991
9 Hea-Son Bang, "Temperature effects on embryonic development of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Tettigoniidae) in relation to its prolonged diapause" 한국응용곤충학회 14 (14): 373-377, 2011
10 Danks, H. V., "Short life cycles in insects and mites" 138 : 407-463, 2006
11 Berg, A., "Sexual selection in insect choruses:influences of call power and relative timing" 18 : 59-75, 2005
12 Higaki, M., "Seasonal and altitudinal adaptations in three katydid species: ecological significance of initial diapause" 2 : 1-11, 1999
13 Castner, J. L., "Notes on the biology and ecology of the leaf-mimicking katydid Typophyllum bolivari Vignon (Orthoptera: Tettigoniidae: Pseudophyllinae: Pterochrozini)" 4 : 105-109, 1995
14 Franklin, M., "Nightly and seasonal patterns of calling in common true katydids (Orthoptera: Tettigoniidae: Pterophylla camellifolia)" 18 : 15-18, 2009
15 Gwynne, D. T., "Mate selection by female katydids (Orthoptera: Tettigoniidae, Conocephalus nigropleurum)" 30 : 734-738, 1982
16 Bae, Y. J., "Insects life in Korea" Korea University press 260-, 1999
17 Menendez, R., "How are insects responding to global warming?" 150 : 355-365, 2007
18 Myung-Pyo Jung, "Distribution of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in South Korea" 한국응용곤충학회 14 (14): 289-292, 2011
19 Gwynne, D. T., "Courtship feeding increases female reproductive success in bush crickets" 307 : 361-363, 1984
20 Bazazi, S., "Collective Motion and Cannibalism in Locust Migratory Bands" 18 : 735-739, 2008
21 Paek, M. K., "Checklist of Korean Insects" Nature &Ecology 598-, 2010
22 Morris, G. K, "Calling display and mating behaviour of Copiphora rhinoceros Pictet (Orthoptera: Tettigoniidae)" 28 : 42-51, 1980
23 Naskrecki. P., "An illustrated catalog of Orthoptera. Vol. Ι. Tettigonioidea (Katydids or Bushi-Crickets)"
24 Fuhrer, J., "Agroecosystem responses to combinations of elevated CO2 ozone, and global climate change" 97 : 1-20, 2003
Taxonomy of the Genus Eudectus Redtenbacher (Coleoptera: Staphylinidae: Omaliinae) in Korea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31 | 0.41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