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 A Geographical Study on Healing Spaces in Daily Life Centering on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é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3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 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었던 치유(healing)에 관한 지리적 접근을 검토하고, 심리상담카페의 운영자의 시선을 통해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의 의...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 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었던 치유(healing)에 관한 지리적 접근을 검토하고, 심리상담카페의 운영자의 시선을 통해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눈에 드러난 정신과, 심리상담센터 등과 같은 곳은 일종의 문화적 낙인(cultural stigma)의 공간으로 인식되지만, 심리상담카페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심리적 거부감 내지 거리감을 낮춤으로서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 통하고 있다. 둘째, 현대인들에게 요구되는 치유란 짧은 시간이나마 현실에서 도피할 수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점에 있어서 인스턴트식으로, 기대하지 않았던 공간에서의 치유 활동은 심리상담카페의 이용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으로 다가오며, 부담스럽지 않은 선에서 반복적이며, 지속적인 치유 경험이 가능한 곳이 된다. 셋째, 심리상담카페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인 카페로 재탄생함으로서 우리의 일상적 삶에 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approaches on healing,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geography relatively, comprehensively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healing in daily life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agers of psychological co...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approaches on healing,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geography relatively, comprehensively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healing in daily life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agers of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xposed healing spaces such as mental clinics or counselling centers are regarded as cultural stigmatic spaces; besides,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decrease psychological distance or resistance and people calling for healing can access these healing spaces easily. Second, healing spaces from a perspective of modern people mean geographical boundaries as refuges for a brief time; accordingly, the users’ activities in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as instant or unexpected healing spaces in daily life are interpreted as special experiences without any emotional burdens. And these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are regarded as the spaces where can experience healing repeatedly and continuously. Third,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were changed into general cafes as open spaces; therefore, they can penetrate deeper into daily life rather than ot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치유에 대한 지리학적인 고찰과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
      • 3. 연구대상 및 방법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치유에 대한 지리학적인 고찰과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
      • 3. 연구대상 및 방법
      • 4.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으로서 심리상담카페의 의의
      • 5. 결론 및 토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