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COVID-19) 시기 교육 연구 동향과 교육 전환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ducation in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9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2020년 3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으로 인한 팬데믹 이후 교육과 관련한 연구동향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교육의 방향성을 고찰한 것이다. 첫째, 연구동향에 대한 양적 분석을 통해 연구 규모의 현황과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둘째, 주요 키워드와 문헌고찰을 통해 코로나 사태 이후 학교 현장에서 드러난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을 살펴보았다. 셋째, 달라진 환경에 따른 새로운 교육 생태계 구축과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 팬데믹 상황의 교육 현장은 크게 두 가지 문제점을 표출하였다. 하나는 학습 격차이다. 그것은 학습 결손과 그에 따른 돌봄의 격차를 야기하였다. 다른 하나는 상호작용의 부재이다. 그것은 관계의 단절에 의한 것으로 학습 뿐 아니라 각종 심리적·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한국 교육에 요청되는 핵심 키워드를 선택한다면, 그것은 ‘연결’이라는 유기체적 개념이다. 이에 네 가지 차원에서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①유비쿼터스 교육생태계의 조성, ②내재적 가치에 관한 보다 깊은 성찰과 강화, ③자기 주도적·창의적·융합적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④생애교육 컨설턴트나 큐레이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교육자상 등이 그것이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 교육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예고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2020년 3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으로 인한 팬데믹 이후 교육과 관련한 연구동향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교육의 방향성을 고찰한 것이다. 첫째, 연구동향에 대한 ...

      본고는 2020년 3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으로 인한 팬데믹 이후 교육과 관련한 연구동향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교육의 방향성을 고찰한 것이다. 첫째, 연구동향에 대한 양적 분석을 통해 연구 규모의 현황과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둘째, 주요 키워드와 문헌고찰을 통해 코로나 사태 이후 학교 현장에서 드러난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을 살펴보았다. 셋째, 달라진 환경에 따른 새로운 교육 생태계 구축과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 팬데믹 상황의 교육 현장은 크게 두 가지 문제점을 표출하였다. 하나는 학습 격차이다. 그것은 학습 결손과 그에 따른 돌봄의 격차를 야기하였다. 다른 하나는 상호작용의 부재이다. 그것은 관계의 단절에 의한 것으로 학습 뿐 아니라 각종 심리적·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한국 교육에 요청되는 핵심 키워드를 선택한다면, 그것은 ‘연결’이라는 유기체적 개념이다. 이에 네 가지 차원에서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①유비쿼터스 교육생태계의 조성, ②내재적 가치에 관한 보다 깊은 성찰과 강화, ③자기 주도적·창의적·융합적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④생애교육 컨설턴트나 큐레이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교육자상 등이 그것이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 교육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예고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완,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27-254, 2014

      2 최성광, "현장 교사들의 코로나19로 인한 학습격차 대응 경험에 대한 초점집단면담(FGI) 연구: 원격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245-261, 2022

      3 임재일 ; 복건수,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 탐색-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사회학회 31 (31): 141-173, 2021

      4 백영신 ; 임재일, "학습자 주도성 발현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논의" 한국교원교육학회 38 (38): 281-304, 2021

      5 채완순,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비, 학습이론을 통한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의 학습만족도 향상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97-815, 2021

      6 이영희 ; 윤정현, "팬데믹 상황에서의 대학 원격강의 운영 실태 및 우수 강의 분석: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841-864, 2021

      7 추병완, "팬더믹 시대에서 도덕교육의 새로운 활로" 3-13, 2020

      8 손민호 ; 조현영, "탈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의 아이덴티티 메타포: 역량기반교육과정의 대안적 설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41-160, 2016

      9 정한호,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팀학습에 관한 연구 :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3 (33): 363-389, 2021

      10 이호은 ; 최승미 ; 박경애 ; 이성희 ; 김현정,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교육환경 속 중등교사의 경험과 적응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21-747, 2021

      1 박상완,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27-254, 2014

      2 최성광, "현장 교사들의 코로나19로 인한 학습격차 대응 경험에 대한 초점집단면담(FGI) 연구: 원격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245-261, 2022

      3 임재일 ; 복건수,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 탐색-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사회학회 31 (31): 141-173, 2021

      4 백영신 ; 임재일, "학습자 주도성 발현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논의" 한국교원교육학회 38 (38): 281-304, 2021

      5 채완순,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비, 학습이론을 통한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의 학습만족도 향상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97-815, 2021

      6 이영희 ; 윤정현, "팬데믹 상황에서의 대학 원격강의 운영 실태 및 우수 강의 분석: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841-864, 2021

      7 추병완, "팬더믹 시대에서 도덕교육의 새로운 활로" 3-13, 2020

      8 손민호 ; 조현영, "탈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의 아이덴티티 메타포: 역량기반교육과정의 대안적 설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41-160, 2016

      9 정한호,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팀학습에 관한 연구 :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3 (33): 363-389, 2021

      10 이호은 ; 최승미 ; 박경애 ; 이성희 ; 김현정,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교육환경 속 중등교사의 경험과 적응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21-747, 2021

      11 주현정, "코로나19 팬데믹에서의 유아교육기관 관련 이슈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85-1111, 2020

      12 권순정 ; 유주영, "코로나19 이후 중학교 학생들의학교 교육 경험 탐색-숲속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31 (31): 35-58, 2021

      13 박미희,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와 교육의 과제: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113-145, 2020

      14 이준희 ; 김시현, "코로나19 시기 수업 운영 현황과 과제: 교원이 인식하는 어려움과 개선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8 (38): 395-424, 2021

      15 이은주,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한일교육의 변화 전망 -부등교(不登校) 시대에 따른 학습권의 의의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회 25 (25): 75-90, 2020

      16 이혜은 ; 이순희, "코로나(COVID-19)로 인한 대인관계 변화와 대처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05-417, 2021

      17 최선주, "코로나 팬데믹 속 대학 학습자의 비대면 성악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89-706, 2021

      18 이지영 ; 이선희 ; 김덕파, "코로나 시대 대학생활 기대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서비스 요인 탐색: 학위유형 및 입학시기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55-369, 2021

      19 김창환, "코로나 19의 부정적 영향과 회복을 위한 교육적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5 (25): 113-133, 2021

      20 한지희 ; 이동엽, "코로나 19 학습 상황에서 교사 역할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951-971, 2021

      21 신경희, "코로나 19 이후, 원격수업에서 실재감, 피드백, 교육적 관계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03-226, 2021

      22 권순정, "코로나 19 이후, 교육격차와 교육정책에 대한 논의: 서울시 교육격차를중심으로" 2020 (2020): 1-4, 2020

      23 임은미, "코로나 19 이후 원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31-645, 2021

      24 장용규 ; 김동식,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체육수업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초등체육학회 27 (27): 1-15, 2022

      25 유지선, "코로나 19 상황에서 실시한 온라인 교육사회학 수업 모델 타당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215-234, 2022

      26 전택수, "창조와 창의, 그 맥락적 의미의 변천에 관한 소고"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344-366, 2013

      27 이용길, "창조교육의 미래 교육적 전망" 21 (21): 1-24, 2019

      28 강원택, "차기 정부에 바란다, 한국사회와 한국교육: 정치학적 접근" 3-18, 2022

      29 성경륭, "차기 정부에 바란다, 한국사회와 한국교육: 사회학적 접근" 37-59, 2022

      30 서정화, "차기 정부에 바란다, 한국사회와 한국교육: 교육학적 접근" 97-122, 2022

      31 민경찬, "차기 정부에 바란다, 한국사회와 한국교육: 교육·과학기술적 접근" 61-96, 2022

      32 김정식, "차기 정부에 바란다, 한국사회와 한국교육: 경제학적 접근" 19-36, 2022

      33 성희창 ; 최예슬 ; 오헌석, "중학교 교사의 소명의식 형성 과정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8 (38): 253-279, 2020

      34 국제미래학회,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 광문각 2017

      35 조상식,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6 (6): 152-185, 2016

      36 유은지, "전환시대의 학교: 학교의 존재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교육사회학회 31 (31): 71-100, 2021

      37 박성인, "인류세 위기 시대의 글로벌 시민성 교육" 글로벌교육연구학회 13 (13): 57-78, 2021

      38 천종필, "인공지능과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과 이슈" 64-85, 2021

      39 김신애, "인공지능과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과 이슈" 2121 (2121): 64-85, 2021

      40 김신애 ; 방준성,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을 위한 ‘또 하나의 관점’" 한국교육원리학회 24 (24): 83-105, 2019

      41 서윤희 ; 한유진, "유치원 교사들의 원격수업 경험에서의 의미 구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85-1312, 2021

      42 김은미 ; 조부경 ; 오채선, "유치원 교사가 원격수업에서 경험한 ‘연결’의 양상과 교육적 의미" 유아교육연구소 23 (23): 134-170, 2021

      43 강민정 ; 이연승 ; 곽정인, "온라인으로 진행된 전공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만족도" 유아교육연구소 23 (23): 95-115, 2021

      44 이영란 ; 류정민 ; 한기순, "언론 기사를 통해 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의 방향성: 위기 속 ‘창의성 교육’의 역할"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 (20): 65-85, 2020

      45 윤선인 ; 이동윤, "스콜라스틱 경계의 사유: 영화 이매진(Imagine)에 나타난 통합교육의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41 (41): 105-124, 2019

      46 박승현, "소통하는 학교 문화를 위한 공론장의 역할: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중심으로" 11 : 49-60, 2018

      47 김도헌,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시대의 미래 학습,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연결, 확장, 정서의 개념을 중심으로"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6 (16): 1-25, 2020

      48 장상호, "사대스승의 메타교육" 5 (5): 49-127, 2000

      49 김영현,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초등 사회과 교과교육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05-524, 2021

      50 한승연, "비대면시대 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5 (5): 921-929, 2021

      51 조성원 ; 소경희, "비대면 온라인 수업 속 인간과 기계의 얽힘의 이야기: 신유물론적 관점에서의 이해"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77-101, 2021

      52 이혜진, "비대면 서비스-러닝 수업 사례 연구: W대 <나눔 서비스-러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343-365, 2022

      53 김경근, "변화의 시대를 맞이한 한국 고등교육의 주요 과제 및 대안"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1-32, 2020

      54 조헌국, "미래 교육 및 미래 학교의 전망을 통한 과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교과교육연구소 25 (25): 61-78, 2021

      55 홍희경,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22, 2021

      56 박대호,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와 도덕과 교육의 과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5) : 97-124, 2021

      57 윤헌준, "메타버스 시대로의 원격수업: 새로운 상호작용 및 소통을 향하여" 61 (61): 49-54, 2021

      58 김미수, "디지털시대 교수학습법으로서 연결주의 수업 사례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131-146, 2022

      59 김선영, "대학생들의 온라인/온⋅오프 혼합 학습경험에 대한 수업 에세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7-83, 2021

      60 정한호, "대학 원격수업에서의 교수자 역할에 관한 중요도 및실행도 분석" 영재교육연구소 11 (11): 199-228, 2021

      61 이상수, "네트워크 사회 도래에 따른 새로운 교육의 방향" 과학교육연구소 51 (51): 282-296, 2012

      62 이은실,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63) : 183-219, 2020

      63 전종희, "교육중심대학인 미네르바 스쿨 사례를 토대로 한 향후 대학교육 방향 모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05-128, 2021

      64 신현석 ; 오찬숙, "교원 현직연수 연구동향 분석: 연구 영역, 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431-462, 2013

      65 김경희 ; 이명진, "교수학습과 학생평가 개선을 위한 서‧논술형 평가 지침 활용 및 피드백 효과 제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4 (24): 27-51, 2021

      66 성희창, "교사의 소명의식 형성 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67 어윤일 ; 정현주, "고등 교육에 대한 글로벌 탐색: 팬데믹 이후 도전과 대응" 교육발전연구소 31 (31): 213-247, 2021

      68 정지훈, "거의 모든 IT의 역사" 메디치미디어 2010

      69 Pollani, M., "개인적 지식: 후기 비판적 철학을 향하여" 아카넷 2001

      70 교육부, "「교육회복 종합방안」기본계획: 모든 학생의 코로나19극복 지원"

      71 정석환, "‘코로나-19’, 비대면 교육 그리고 부버의 만남 철학" 동아인문학회 (57) : 259-295, 2021

      72 신정철 ; 정지선 ; 김양선 ; 박은경, "Trends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Research Topic Analysis" 한국교육개발원 35 (35): 167-193, 2008

      73 Xinghua Sun ; Yongfei Ye ; Jie Yang ; Li Hao ; Lihua Ding ; Haomin Song,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U-Learning System Based on Experience API" 한국정보처리학회 16 (16): 572-587, 2020

      74 이진희, "M. Polanyi의 인식론에 함의된 ‘당사자적 지식’의 성격" 23 : 196-233, 2009

      75 Rossi, F., "Horizontal and vertical scaling of container-based application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329-338, 2019

      76 Creswell, J. W.,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rill Prentice-Hall 2002

      77 정한호 ; 노석준 ; 정종원 ; 조영환, "Covid-19 확산이 교육계에 주는 도전: 모두를 위한 질 높은 원격수업"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45-669, 2020

      78 Siemens, G., "Connectivism: A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2 (2): 3-9, 2005

      79 오세라 ; 김신애, "COVID-19시기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이 겪은 ‘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육원리학회 26 (26): 73-103, 2021

      80 변기용 ; 손다운 ; 이승희 ; 조성우, "COVID-19가 고등교육체제에 초래한 변화와 가능성 탐색: 대학 현장 보직교수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7 (27): 177-216, 2021

      81 권남희 ; 송주희 ; 임한슬, "COVID-19 환경에서 비대면 박물관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교육학회 16 (16): 247-271, 2021

      82 김정겸 ; 김기덕 ; 이상선,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쟁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5 (25): 253-280, 2021

      83 오규민 ; 김다영 ; 김민선 ; 변기용, "COVID-19 상황 하의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특징과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481-507, 2022

      84 유은정 ; 김두희 ; 김미진 ; 구원회, "CE-PBL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비대면 수업에서의 대학생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9-47, 2021

      85 Anthony, G., "Beyond student perceptions-Issues i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6 (6): 21-40, 2002

      86 이현정, "AI시대, 메타버스를 아우르는 새로운 공감개념 필요성에 대한 담론" 한국게임학회 21 (21): 79-90, 2021

      87 박기범, "AI쇼크와 시민교육의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9 (49): 25-41, 2017

      88 Masschelein, J., "(스콜라스틱 교육) 학교를 변론하다" 살림터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