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자(朱子) 「대학장구」 「격물보전장」 학문체계의 근거에 대한 교육적 고찰 = An Educational Review of the Basis of Zhu Xi's 「Great Learning」「theory of Perfecting Knowledge by Studying the Principles of Real Things」the Academic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9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주자가 ‘사상사적 문제’로 인해 ‘송대 유학’을 근거로 하는 학문체계를 구축해서 「격물보전장」으로 보완하는지를 교육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 「전5장」을 보완하고자 한 주자의 교육적 의도는 첫째, 유학이 쇠퇴하는 ‘사상사적 문제’와 경전에 의거에 볼 때 망실된 듯한 ‘문헌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격물보전장」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도덕적인 풍습을 불러일으키려는 것이다. 둘째, 「대학」 경전에 나와 있는 순서에 따라 먼저 안 다음에 실천해서 학문을 이루게 하고, 「대학」 경전의 본의에 따라 외물뿐만 아니라 마음 또한 살피게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정립 의도로 인해 주자는 원시 유학자인 공자의 일이관지(一以貫之)와 송대 유학자인 장횡거의 리일분수(理一分殊)에 기반해서 활연관통 학문체계를 구축한다. 그리고 공자의 언충신(言忠信)·행독경(行篤敬), 맹자의 구방심(求放心) 이정의 경(敬)에 기반해서 경 학문체계를 구축한다. 이러한 주자의 「격물보전장」 학문체계는 ‘송대 유학’뿐만 아니라 ‘원시 유학’ 또한 토대로 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주자가 ‘사상사적 문제’로 인해 ‘송대 유학’을 근거로 하는 학문체계를 구축해서 「격물보전장」으로 보완하는지를 교육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 「...

      본 연구의 목적은 주자가 ‘사상사적 문제’로 인해 ‘송대 유학’을 근거로 하는 학문체계를 구축해서 「격물보전장」으로 보완하는지를 교육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 「전5장」을 보완하고자 한 주자의 교육적 의도는 첫째, 유학이 쇠퇴하는 ‘사상사적 문제’와 경전에 의거에 볼 때 망실된 듯한 ‘문헌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격물보전장」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도덕적인 풍습을 불러일으키려는 것이다. 둘째, 「대학」 경전에 나와 있는 순서에 따라 먼저 안 다음에 실천해서 학문을 이루게 하고, 「대학」 경전의 본의에 따라 외물뿐만 아니라 마음 또한 살피게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정립 의도로 인해 주자는 원시 유학자인 공자의 일이관지(一以貫之)와 송대 유학자인 장횡거의 리일분수(理一分殊)에 기반해서 활연관통 학문체계를 구축한다. 그리고 공자의 언충신(言忠信)·행독경(行篤敬), 맹자의 구방심(求放心) 이정의 경(敬)에 기반해서 경 학문체계를 구축한다. 이러한 주자의 「격물보전장」 학문체계는 ‘송대 유학’뿐만 아니라 ‘원시 유학’ 또한 토대로 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陳來, "주희의 철학" 예문서원 2002

      2 성광동, "주희의 格物致知說에 대한 고찰 ­ 大學或問 傳五章과‘大學或問語類’의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63) : 141-168, 2016

      3 이명한, "주자의 격물치지론 연구" 한국중국학회 (54) : 467-498, 2006

      4 이강대, "주자의 격물치지론" 대한철학회 62 : 265-278, 1997

      5 이세동, "주자의 《 대학 》 개본에 대한 고찰" 영남중국어문학회 29 : 181-202, 1997

      6 김재화, "주자의 ‘格物致知’ 개념에 관한 소고"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56 : 165-184, 2018

      7 김우형, "정호(程顥)와 정이(程?)의 "본성(性)"이론에 나타나는 인식론적 사유의 특성" 한국동서철학회 (24) : 283-306, 2002

      8 김교빈, "본체론(本體論)과 심성론(心性論)을 통해 본 주자의 격물치지(格物致知)이해 -보편과 특수를 중심으로-" 6 : 169-208, 1985

      9 박채형, "교육과정이론으로서의 격물치지론" 한국교육학회 42 (42): 297-320, 2004

      10 홍성민, "義外說 비판을 통해서 본 朱子 도덕 인식론의 특징 - 陸象山과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69) : 225-252, 2017

      1 陳來, "주희의 철학" 예문서원 2002

      2 성광동, "주희의 格物致知說에 대한 고찰 ­ 大學或問 傳五章과‘大學或問語類’의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63) : 141-168, 2016

      3 이명한, "주자의 격물치지론 연구" 한국중국학회 (54) : 467-498, 2006

      4 이강대, "주자의 격물치지론" 대한철학회 62 : 265-278, 1997

      5 이세동, "주자의 《 대학 》 개본에 대한 고찰" 영남중국어문학회 29 : 181-202, 1997

      6 김재화, "주자의 ‘格物致知’ 개념에 관한 소고"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56 : 165-184, 2018

      7 김우형, "정호(程顥)와 정이(程?)의 "본성(性)"이론에 나타나는 인식론적 사유의 특성" 한국동서철학회 (24) : 283-306, 2002

      8 김교빈, "본체론(本體論)과 심성론(心性論)을 통해 본 주자의 격물치지(格物致知)이해 -보편과 특수를 중심으로-" 6 : 169-208, 1985

      9 박채형, "교육과정이론으로서의 격물치지론" 한국교육학회 42 (42): 297-320, 2004

      10 홍성민, "義外說 비판을 통해서 본 朱子 도덕 인식론의 특징 - 陸象山과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69) : 225-252, 2017

      11 "正蒙初義"

      12 연재흠, "朱熹哲學에 있어 敬에 대한 硏究" 한국철학사연구회 (19) : 325-360, 2006

      13 김태완, "朱熹 格物致知論의 사상사적 意義" 동양철학연구회 (95) : 117-144, 2018

      14 변원종, "朱子의 格物致知에 관한 硏究" 한국동서철학회 (37) : 251-273, 2005

      15 이동희, "朱子의 大學章句에 대한 辨證 硏究: 格物補傳을 中心으로" 한국고전번역원민족문화 (9) : 131-148, 1983

      16 "朱子語類"

      17 송석준, "朱子學 批判論者들의 經典解釋 -대학의 해석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8) : 111-141, 2000

      18 "性理大全"

      19 "四書章句集註"

      20 "四書或問"

      21 "四書大全"

      22 "周易傳義"

      23 이우진, "二程과 朱熹의 <大學> 개정, 그 근거와 의미" 영남퇴계학연구원 (12) : 67-104, 2013

      24 "二程遺書"

      25 "二程粹言"

      26 "二程文集"

      27 "二程外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