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윤배, "협동해결과 개별해결에서 나타난 물리문제해결과정의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114-121, 2006
2 노태희, "해결자?청취자 활동을 이용한 화학 문제 해결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63-1069, 2004
3 전윤식,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찾기" 한국교육학회 41 (41): 10-238, 2003
4 박윤배, "정성적, 정량적 문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물리 문제해결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526-532, 2005
5 윤경미, "영재판별의 새로운 변인: 문제발견력"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587-604, 2006
6 서정아, "어림 활동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개념 이해, 해답 예측, 계산에 미치는 영향 : 속력과 밀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814-824, 2004
7 최정임, "사례 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0 (20): 37-61, 2004
8 최혁준, "복합개념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정신용량"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937-945, 2004
9 남정희,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110-121, 2002
10 김선자, "변인통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실험설계 및 증거제시 특성" 25 (25): 111-121, 2005
1 박윤배, "협동해결과 개별해결에서 나타난 물리문제해결과정의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114-121, 2006
2 노태희, "해결자?청취자 활동을 이용한 화학 문제 해결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63-1069, 2004
3 전윤식,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찾기" 한국교육학회 41 (41): 10-238, 2003
4 박윤배, "정성적, 정량적 문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물리 문제해결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526-532, 2005
5 윤경미, "영재판별의 새로운 변인: 문제발견력"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587-604, 2006
6 서정아, "어림 활동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개념 이해, 해답 예측, 계산에 미치는 영향 : 속력과 밀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814-824, 2004
7 최정임, "사례 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0 (20): 37-61, 2004
8 최혁준, "복합개념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정신용량"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937-945, 2004
9 남정희,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110-121, 2002
10 김선자, "변인통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실험설계 및 증거제시 특성" 25 (25): 111-121, 2005
11 전경문,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 내?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57-65, 2003
12 노태희, "동기 및 인지 변인이 화학 선다형 수리 문제 해결에미치는 영향: 성취 목적, 유능감,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1-8, 2006
13 류시경,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765-774, 2006
14 이혜주,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 상황에서 문제발견에 대한 제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123-147, 2005
15 윤경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16 류시경,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139-149, 2008
17 류시경, "고등학생들의 독창적인 문제발견 능력과 학업 성취도, 과학 탐구능력, 창의적 성격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63-271, 2007
18 권소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 양식과 인지수준이 화학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132-140, 2002
19 Reiter-Palmon, R., "Problem Construction and Creativity : The Role of Ability, Cue Consistency, and Active Processing" 10 (10): 9-23, 1997
20 Mumford, M. D., "Problem Construction and Cognition: Applying Problem Representations in Ill-Defined Domains, In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3-39, 1994
21 Jausovec, N., "Metacognition in Creative Problem Solving, In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77-95, 1994
22 Jonassen, D. H.,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45 (45): 65-94, 1997
23 Simon, H. A., "Information-Processing Theory of Human Problem Solving, In Handbook of learning and cognitive processes: Vol. 5.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1-295, 1978
24 Weisberg, R. W.,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Arts" John Wiley & Sons, Inc 2006
25 Okuda, S. M., "Creativity and the Finding and Solving of Real-World Problems" 9 (9): 45-53, 1991
26 Csikzentmihalyi, M., "Concern for discovery : An attitudinal component of creative production" 38 (38): 91-105,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