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특성 비교 연구 = Comparison of Visitor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55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of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given for service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he users of the recreational forests were all higher than those given by the visitors to arboretums, and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was rel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r loyalty of the users. Second,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creational forests did not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and visitor loyalty, whereas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of the arboretum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and visitor loyalty. The results are meaningful given that the visitors to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thus, we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visitor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types of forest recreation areas. In order to differentiate operation strategies for each type of forest recreation areas, the development of common survey items covering the entire set of services provided by forest recreation areas is needed. In addition, it would be advantageous to further develop and modularize the relevant items and conduct surveys in parallel with common survey items, as the service contents are operated selectively to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creating each forest recreation area.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of recreational forests and a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of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given for service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he users of the recreational forests were all higher than those given by the visitors to arboretums, and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was rel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r loyalty of the users. Second,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creational forests did not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and visitor loyalty, whereas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of the arboretum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and visitor loyalty. The results are meaningful given that the visitors to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thus, we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visitor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types of forest recreation areas. In order to differentiate operation strategies for each type of forest recreation areas, the development of common survey items covering the entire set of services provided by forest recreation areas is needed. In addition, it would be advantageous to further develop and modularize the relevant items and conduct surveys in parallel with common survey items, as the service contents are operated selectively to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creating each forest recreation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정화, "정원 문화 확산을 위한 국립수목원 ‘정원놀이터’의 시설 및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321-335, 2016

      2 이종진,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경북지역 5개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0 (40): 64-73, 2012

      3 전문장, "자연휴양림 이용자 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33개소 국유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한국환경과학회 19 (19): 961-969, 2010

      4 강기래, "자연휴양림 이용자 만족도 모형연구- 구미 옥성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 한국산림과학회 98 (98): 435-443, 2009

      5 최용석, "자연휴양림 방문객의 관광동기가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63-77, 2017

      6 이정희, "자생식물의 가치 이해와 전시효과 향상을 위한 국립수목원 자생국화 전시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한국환경교육학회 28 (28): 193-209, 2015

      7 현정오, "우리나라 식물원·수목원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6 (16): 13-24, 2012

      8 최영석, "수목원의 브랜드 자산 구성요인이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주시 허브팜을 사례로"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4 (24): 29-35, 2020

      9 홍성권, "수목원 방문자들의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간의 관계" 한국산림과학회 99 (99): 517-527, 2010

      10 박건, "수목원 방문객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선방향 - 제이드가든 내 4개 주제정원을 대상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37 (37): 60-72, 2019

      1 송정화, "정원 문화 확산을 위한 국립수목원 ‘정원놀이터’의 시설 및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321-335, 2016

      2 이종진,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경북지역 5개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0 (40): 64-73, 2012

      3 전문장, "자연휴양림 이용자 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33개소 국유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한국환경과학회 19 (19): 961-969, 2010

      4 강기래, "자연휴양림 이용자 만족도 모형연구- 구미 옥성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 한국산림과학회 98 (98): 435-443, 2009

      5 최용석, "자연휴양림 방문객의 관광동기가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63-77, 2017

      6 이정희, "자생식물의 가치 이해와 전시효과 향상을 위한 국립수목원 자생국화 전시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한국환경교육학회 28 (28): 193-209, 2015

      7 현정오, "우리나라 식물원·수목원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6 (16): 13-24, 2012

      8 최영석, "수목원의 브랜드 자산 구성요인이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주시 허브팜을 사례로"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4 (24): 29-35, 2020

      9 홍성권, "수목원 방문자들의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간의 관계" 한국산림과학회 99 (99): 517-527, 2010

      10 박건, "수목원 방문객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선방향 - 제이드가든 내 4개 주제정원을 대상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37 (37): 60-72, 2019

      11 오문준, "서브퀄(SERVQUAL)이 서비스만족과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시 장애인 보조기기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49-70, 2020

      12 구동연, "산악승마 활동이 서비스 품질에 따른 만족도와 충성도의 변화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41-49, 2015

      13 신현탁, "빅 데이터를 활용한 수목원·식물원의 화재어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4 (24): 1-10, 2020

      14 김민희, "도립 완도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행태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 산림과학연구소 28 (28): 37-45, 2012

      15 강기래, "대구수목원 이용객 만족모델을 통한 운영 방안 연구" 한국산림과학회 101 (101): 36-45, 2012

      16 한명숙, "대구수목원 국화전시회 만족영향요인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2 (22): 71-78, 2018

      17 한상열, "기대불일치이론에 의한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만조 및 재방문 결정경로" 한국산림과학회 95 (95): 291-298, 2006

      18 심규원, "국유자연휴양림 이용객 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4 (14): 63-70, 2010

      19 이정희, "국립수목원 수생식물 전시 효과 향상을 위한 방문자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한국환경교육학회 27 (27): 521-533, 2014

      20 류연수, "공립수목원의 운영관리 개선을 위한 정책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연구 - 대구수목원을 사례로 -" 한국환경과학회 28 (28): 797-806, 2019

      21 이상현, "경로분석에 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객 만족모형 개발"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1 (21): 57-65, 2017

      22 이제용, "강원도 국립자연휴양림을 이용하는 방문객의 만족도가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325-344, 2012

      23 Han, S.Y., "Valuing service quality of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by the kano model" 340-, 2014

      24 최가영, "IPA를 활용한 자연휴양림 운영주체별 이용행태 및 관리방안 연구 - 경기도 자연휴양림 6개소를 중심으로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 (20): 41-55, 2016

      25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Forest Welfare Promotion Act"

      26 Lim, Y.J., "Evaluation of visitors’ service quality in Korea Arboretum" 58-60, 2007

      27 Lim, Y.J.,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9 (9): 21-27, 2005

      28 Lim, Y.J., "An analysis of visito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by visitors past experience at Korea National Arboretum: Comparison between first visit and revisit" 12 (12): 47-55, 2008

      29 Yoo, R.H., "52-hour workweek and change in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NIFoS 20-, 2020

      30 Korea Forest Service, "2019 Korea Forest Service Annual Plan"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임학회 -> 한국산림과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임학회지 -> 한국산림과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임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0.87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