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3년간 단계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선박 연료유 황 함유량 규제정책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부가적으로 VSR과 AMP의 배출저감 효과도 분석하였다. 분석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88005
2023
Korean
인천항 ; 대기오염물질 ; 선박 배출량 ; 미세먼지 ; Port of Incheon ; Air pollutants ; Port emissions ; Particulate matter
KCI등재
학술저널
107-122(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3년간 단계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선박 연료유 황 함유량 규제정책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부가적으로 VSR과 AMP의 배출저감 효과도 분석하였다. 분석은 ...
본 연구는 3년간 단계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선박 연료유 황 함유량 규제정책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부가적으로 VSR과 AMP의 배출저감 효과도 분석하였다. 분석은 EEA에서제공하고 있는 NOx, CO, VOC, SOx, TSP, PM10, PM2.5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우리나라 수도권에 위치하여 대기오염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인천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다음과같이 시나리오 1: 정책이 없는 경우 시나리오 2: 연료유 황 함량 규제만 시행하는 경우 시나리오 3: 연료유 황 함량 규제, VSR, AMP를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나리오 1의 경우 3년의 기간 동안 4,801톤, 4,932톤, 5,144톤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된것으로 나타났다. 시나리오 2는 4,219톤, 4,152톤, 3,989톤이 배출되었고, 시나리오 3은 4,198톤, 4,138톤, 3,973톤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항만 대기환경관리와 인천광역시 대기관리의 기초연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reducing air pollutant emissions of the ship fuel oil sulfur content regulation policy, which has been gradually introduced for three years. In addition, theemission reduction effect of VSR and AMP was also ana...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reducing air pollutant emissions of the ship fuel oil sulfur content regulation policy, which has been gradually introduced for three years. In addition, theemission reduction effect of VSR and AMP was also analyz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NOx, CO, VOC, SOx, TSP, PM10, and PM2.5, which are provided by EEA, and the spatial scope of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Incheon Port, which i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and has a large ripple effect on air pollution.
Three scenarios were constructed for analysis. Scenario 1: If there is no policy, Scenario 2: If onlyfuel oil sulfur content regulation was implemented, Scenario 3: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reflecting fuel oil sulfur content regulation, VSR, and AM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scenario 1, 4,801 tons, 4,932 tons, and 5,144 tons ofair pollutants were emitted during the three-year period. In Scenario 2, 4,219 tons, 4,152 tons, and3,989 tons were discharged, and in Scenario 3, 4,198 tons, 4,138 tons, and 3,973 tons weredischarg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be applied as fundamental research in port air environment management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air manage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양수산부, "항만지역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2 김환성, "항만의 CO2 배출량 산정에 관한연구" 137-139, 2008
3 이정욱 ; 이향숙, "인천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7 (37): 143-157, 2021
4 한세현 ; 정용원 ; 윤종상 ; 서윤호, "인천항 항만시설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한국대기환경학회 27 (27): 460-471, 2011
5 조정정 ; 윤경준 ; 이향숙, "선박에 기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 -광양항과 울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5 (35): 93-108, 2019
6 이민우 ; 이향숙, "선박 배기가스의 대기확산 패턴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4 (34): 35-50, 2018
7 이민우 ; 이향숙,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및 환경비용 산출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15-28, 2016
8 김소영 ; 권혜옥, "대기확산시뮬레이션 중첩분석을 통한 부산⋅울산 악취피해영향범위 연구" 한국방재학회 18 (18): 83-91, 2018
9 국립환경과학원, "국내 연근해 선박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과 배출량 산정 Ⅲ" 2016
10 김대진 ; 배윤경 ; 김상록, "국내 도로부문 오염물질의 공간적 확산을 고려한 대기오염농도 분석방법론 연구" 대한교통학회 40 (40): 380-399, 2022
1 해양수산부, "항만지역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2 김환성, "항만의 CO2 배출량 산정에 관한연구" 137-139, 2008
3 이정욱 ; 이향숙, "인천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7 (37): 143-157, 2021
4 한세현 ; 정용원 ; 윤종상 ; 서윤호, "인천항 항만시설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한국대기환경학회 27 (27): 460-471, 2011
5 조정정 ; 윤경준 ; 이향숙, "선박에 기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 -광양항과 울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5 (35): 93-108, 2019
6 이민우 ; 이향숙, "선박 배기가스의 대기확산 패턴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4 (34): 35-50, 2018
7 이민우 ; 이향숙,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및 환경비용 산출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2 (32): 15-28, 2016
8 김소영 ; 권혜옥, "대기확산시뮬레이션 중첩분석을 통한 부산⋅울산 악취피해영향범위 연구" 한국방재학회 18 (18): 83-91, 2018
9 국립환경과학원, "국내 연근해 선박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과 배출량 산정 Ⅲ" 2016
10 김대진 ; 배윤경 ; 김상록, "국내 도로부문 오염물질의 공간적 확산을 고려한 대기오염농도 분석방법론 연구" 대한교통학회 40 (40): 380-399, 2022
11 국립환경과학원,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편람Ⅲ" 2013
12 Yim, S. H., "Use of high-resolution MM5/CALMET/CALPUFF system : SO2 apportionment to air quality in Hong Kong" 44 (44): 4850-4858, 2010
13 Zhang, Y., "The significance of incorporating unidentified vessels into AIS-based ship emission inventory" 203 : 102-113, 2019
14 Matthias, V., "The contribution of ship emissions to air pollution in the North Sea regions" 158 (158): 2241-2250, 2010
15 Bai, S., "Single-vessel plume dispersion simulation : Method and a case study using CALPUFF in the Yantian port area, Shenzhen(China)" 17 (17): 7831-, 2020
16 Ernestos Tzannatos, "Ship emissions and their externalities for the port of Piraeus e Greece" 44 : 400-407, 2010
17 Karl, M., "Impact of a nitrogen emission control area(NECA)on the future air quality and nitrogen deposition to seawater in the Baltic Sea region" 19 (19): 1721-1752, 2019
18 Shi, K.,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ECA policies in reducing pollutant emissions from merchant ships in Shanghai port waters" 155 : 111164-, 2020
19 Chang, C. C., "Evaluating the effects of green port policy : Case study of Kaohsiung harbor in Taiwan" 17 (17): 185-189, 2012
20 Deniz, C., "Estimation of shipping emissions in Candarli Gulf, Turkey" 171 : 219-228, 2010
21 Berechman, J., "Estimating the environmental costs of port related emissions : The case of Kaohsiung" 17 (17): 35-38, 2012
22 Viana, M., "Environmental and health benefits from designating the marmara sea and the Turkish straits as an emission control area(ECA)" 49 (49): 3304-3313, 2015
23 EEA, "EMEP/EEA air pollutant emission inventory guidebook 2016"
24 Wu, Z., "Dramatic increase in reactive volatile organic compound(VOC)emissions from ships at berth after implementing the fuel switch policy in the Pearl River Delta Emission Control Area" 20 (20): 1887-1900, 2020
25 Zhang, Q., "Does emission control area policy reduce sulfur dioxides concentration in Shanghai?" 81 : 102289-, 2020
26 U. S. EPA, "Current methodologies in Preparing Mobile Source Port-Related Emission Inventories. ICF International Final report t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9
27 Kalli, J., "Atmospheric emissions of European SECA shipping : long-term projections" 12 (12): 129-145, 2013
28 Fiadomor, R, "Assessment of alternative maritime power (cold ironing) and its impact on port management and operations"
29 김경화 ; 노길태 ; 천강우, "Analysis of the Emission Benefits of Using Alternative Maritime Power (AMP) for Ships" 해양환경안전학회 25 (25): 381-394, 2019
30 조정정 ; 범태황 ; 이향숙, "An Study on Estimating Cargo Handling Equipment Emission in the Port of Incheon" 한국항만경제학회 36 (36): 21-38, 2020
항만 디지털 전환에 대한 수용태도와 수용성에 관한 연구
ESG 경영이 해운물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화물자동차 회사와 위수탁차주의 인식차이에 기반한화물자동차 운송회사 경영모델
건화물 벌크 해운시장에서 용선업체 선정요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