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 품사 분류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74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a few issues regarding parts of speech in Korean, especially, the issues on criteria determining parts of speech and conversion. Chapter 2 deals with the criteria which is used in determining parts of speech. The criteria in Korean include considerations on forms, functions, meanings, properties of word-formations, and so on, although one consistent standard should be applied for academic explicitness. Chapter 3 considers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Conversion is hard to be eliminated no matter how hard we try to classify parts of speech in a plausible manner. Such issues on parts of speech in Korean remain important till this da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a few issues regarding parts of speech in Korean, especially, the issues on criteria determining parts of speech and conversion. Chapter 2 deals with the criteria which is used in determining parts of speec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a few issues regarding parts of speech in Korean, especially, the issues on criteria determining parts of speech and conversion. Chapter 2 deals with the criteria which is used in determining parts of speech. The criteria in Korean include considerations on forms, functions, meanings, properties of word-formations, and so on, although one consistent standard should be applied for academic explicitness. Chapter 3 considers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Conversion is hard to be eliminated no matter how hard we try to classify parts of speech in a plausible manner. Such issues on parts of speech in Korean remain important till this d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시정곤, "현대국어 형태론의 연구" 월인 2006

      2 신중진, "현대국어 의성의태어 연구" (154) : 1998

      3 최형용, "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 -" 한국어학회 47 : 61-92, 2010

      4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5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6 박진호, "통사적 결합관계와 논항구조" (123) : 1994

      7 안병희,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7

      8 김영황,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1996

      9 정순기, "조선어문법편람" 박이정 2001

      10 과학원, "조선어문법 1(어음론ㆍ형태론)"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1960

      1 시정곤, "현대국어 형태론의 연구" 월인 2006

      2 신중진, "현대국어 의성의태어 연구" (154) : 1998

      3 최형용, "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 -" 한국어학회 47 : 61-92, 2010

      4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5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6 박진호, "통사적 결합관계와 논항구조" (123) : 1994

      7 안병희,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7

      8 김영황,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1996

      9 정순기, "조선어문법편람" 박이정 2001

      10 과학원, "조선어문법 1(어음론ㆍ형태론)"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1960

      11 박상준, "조선어문법 (초급중학교 1, 2, 3학년용)" 북조선 인민위원회 교육국 1947

      12 김류철, "조선어《2중품사》단어와 그 부류" 2 : 47-49, 2002

      13 과학원, "조선문화어문법" 과학연구소 1979

      14 홍기문, "조선문전요령. in : 현대평론 1~5" 1927

      15 홍기문, "조선문법연구" 서울신문사 1947

      16 이정훈, "조사와 활용형의 범주통용 - ‘이’계 형식을 대상으로 -" 국어학회 45 (45): 145-176, 2005

      17 황화상, "이다 의 문법범주 재검토" 형태론 7 (7): 135-153, 2005

      18 고영근,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일지사 1993

      19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71

      20 최현배, "우리말본" 연희전문학교출판부 1937

      21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22 허웅, "우리 옛말본-형태론-" 샘문화사 1975

      23 남기심,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4 조성식, "영어학사전" 신아사 1990

      25 문용, "영어품사론" 한국문화사 1998

      26 이기문,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27 구본관, "수사와 수관형사의 형태론" 3 (3): 265-284, 2001

      28 구본관, "서양의 전통문법과 한국어의 품사 분류 - 문법가의 언어 지식이나 문법 지식이 다른 언어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18 (18): 181-200, 2003

      29 임홍빈, "북한의 문법론 연구" 한국문화사 1997

      30 고영근, "북한의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 박이정 2004

      31 이현희, "범주 구성 요소의 전형성 정도 연구*- 접두사 범주를 대상으로-" 형태론 8 (8): 29-47, 2006

      32 렴종률, "문화어 형태론"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0

      33 구본관, "단일 어기 가설과 국어 파생 규칙" 34 (34): 153-174, 1998

      34 구본관, "남북의 품사 분류와 한국어 교육" (창간) : 149-169, 2005

      35 고영근, "국어형태론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36 이선웅, "국어의 한자어 ‘관형명사’에 대하여" 26 : 35-58, 2000

      37 송철의,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태학사 1992

      38 이광정, "국어문법연구 Ⅲ" 도서출판 역락 2008

      39 이광정, "국어문법연구 Ⅰ" 도서출판 역락 2003

      40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1999

      41 임홍빈, "국어문법론 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5

      42 서태룡, "국어 형태론에 기초한 통사론을 위하여" (35) : 251-285, 2000

      43 서태룡, "국어 품사 통용은 이제 그만. in : 국어학논총" 태학사 359-389, 2006

      44 임홍빈, "국어 품사 분류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in : 국어 연구의 이론과 실제" 태학사 705-761, 2001

      45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태학사 2005

      46 최형용,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태학사 2003

      47 권재일, "구어 한국어에서 서술문 실현방법의 공시태와 통시태"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7 : 25-46, 2003

      48 M. Tallerman, "Understanding Syntax" Hodder Arnold 2005

      49 M. Haspelmath, "Understanding Morphology" Arnold 2002

      50 Di Sciullo, A. M., "On the Definition of the Word" MIT Press 1987

      51 M. Aronoff, "Morphology by Itself" MIT Press 1994

      52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1995

      53 안병희, "15세기 국어의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 탑출판사 1978

      54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태학사 1998

      55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문법-교사용 지도서-" 두산동아 2002

      56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문법" 두산동아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orphology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형태론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87 2.4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