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後期 綜合譜의 종류와 그 성격 = A Study on the Korean General Genealogies in Yi Gyugyǒng’s Literary Work, A Controversial Story on Surnames and Genealog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20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후기 학자인 李圭景이 ‘姓氏譜牒辨證說’에서 언급한 한국의 譜牒을 하나하나 살펴보았다. ‘姓氏譜牒辨證說’은 李圭景의 문집인 『五洲衍文長箋散稿』에 실려있는 하나의 篇名인데, 그는 여기에서 한국의 보첩으로 『東國諸姓譜』, 『姓苑叢錄』, 『氏族譜』, 『百家譜』, 『氏族源流』(李景說 作), 『氏族源流』(趙從耘 作), 『閥閱通考』, 『八八帖』, 『萬姓叢譜』, 『東喬錄』, 『文譜』, 『武譜』, 『蔭譜』, 『司馬譜』, 『明衛譜』, 『海東姓氏錄』, 『百家譜略』 총 17종을 언급하였다.
      또 李圭景은 ‘姓氏譜牒辨證說’에서 중국 역사상 유명한 譜牒에 관해서도 언급하였는데, 그가 언급한 중국의 譜牒과 한국의 譜牒을 비교해 보면, 兩國의 譜牒 모두 특정지역에 존재하는 姓氏와 氏族이 아닌 전국에 흩어져 있는 姓氏와 氏族을 수록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중국의 譜牒은 姓氏를 기록하면서 聲調에 따라 구분하고 동일한 姓氏를 다시 音韻에 따라 분류하고 있는데 비하여 한국의 譜牒은 동일한 姓氏를 本貫에 따라 분류하고 동일한 姓氏와 동일한 本貫에 속한 구성원들을 家系圖의 형식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중국의 譜牒은 魏晉南北朝 시기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唐나라시대에 크게 성행한 데 비하여 한국의 譜牒은 16세기 후반 이후로 크게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조선 후기 학자인 李圭景이 ‘姓氏譜牒辨證說’에서 언급한 한국의 譜牒을 하나하나 살펴보았다. ‘姓氏譜牒辨證說’은 李圭景의 문집인 『五洲衍文長箋散稿』에 실려있는 하나의...

      본고는 조선 후기 학자인 李圭景이 ‘姓氏譜牒辨證說’에서 언급한 한국의 譜牒을 하나하나 살펴보았다. ‘姓氏譜牒辨證說’은 李圭景의 문집인 『五洲衍文長箋散稿』에 실려있는 하나의 篇名인데, 그는 여기에서 한국의 보첩으로 『東國諸姓譜』, 『姓苑叢錄』, 『氏族譜』, 『百家譜』, 『氏族源流』(李景說 作), 『氏族源流』(趙從耘 作), 『閥閱通考』, 『八八帖』, 『萬姓叢譜』, 『東喬錄』, 『文譜』, 『武譜』, 『蔭譜』, 『司馬譜』, 『明衛譜』, 『海東姓氏錄』, 『百家譜略』 총 17종을 언급하였다.
      또 李圭景은 ‘姓氏譜牒辨證說’에서 중국 역사상 유명한 譜牒에 관해서도 언급하였는데, 그가 언급한 중국의 譜牒과 한국의 譜牒을 비교해 보면, 兩國의 譜牒 모두 특정지역에 존재하는 姓氏와 氏族이 아닌 전국에 흩어져 있는 姓氏와 氏族을 수록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중국의 譜牒은 姓氏를 기록하면서 聲調에 따라 구분하고 동일한 姓氏를 다시 音韻에 따라 분류하고 있는데 비하여 한국의 譜牒은 동일한 姓氏를 本貫에 따라 분류하고 동일한 姓氏와 동일한 本貫에 속한 구성원들을 家系圖의 형식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중국의 譜牒은 魏晉南北朝 시기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唐나라시대에 크게 성행한 데 비하여 한국의 譜牒은 16세기 후반 이후로 크게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focused on Yi Gyugyǒng"s explanation of Korean general genealogies in his literary work, A Controversial Story on Surnames and Genealogies. In this work, he introduced famous genealogies in Korean history. Yi"s also referenced famous genealogies in Chinese history, bu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genealogies he mentioned differ greatly from Chinese genealogies.
      번역하기

      This paper is focused on Yi Gyugyǒng"s explanation of Korean general genealogies in his literary work, A Controversial Story on Surnames and Genealogies. In this work, he introduced famous genealogies in Korean history. Yi"s also referenced famous ge...

      This paper is focused on Yi Gyugyǒng"s explanation of Korean general genealogies in his literary work, A Controversial Story on Surnames and Genealogies. In this work, he introduced famous genealogies in Korean history. Yi"s also referenced famous genealogies in Chinese history, bu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genealogies he mentioned differ greatly from Chinese genealog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綜合譜의 종류와 그 내용(Ⅰ)
      • Ⅲ. 綜合譜의 종류와 그 내용(Ⅱ)
      • Ⅳ. 결론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綜合譜의 종류와 그 내용(Ⅰ)
      • Ⅲ. 綜合譜의 종류와 그 내용(Ⅱ)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裕元, "林下筆記"

      2 "羅州丁氏世譜"

      3 김영진, "한국족보의 특성과 동아시아에서의 위상" 계명대학교출판부 2011

      4 권기석, "족보와 조선 사회" 태학사 2011

      5 차장섭, "조선시대 족보의 유형과 특징" 역사교육학회 (44) : 239-278, 2010

      6 김학수, "조선 사회 이렇게 본다" 지식산업사 2010

      7 안광호, "전통기 韓·中 姓氏制度를 바라보는 두 知識人의 시각- 宋나라 시대 鄭樵와 朝鮮 시대 柳馨遠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13) : 125-166, 2014

      8 박홍갑, "우리 성씨와 족보 이야기" 산처럼 2014

      9 黃胤錫, "頤齋遺藁"

      10 安鼎福, "順菴集"

      1 李裕元, "林下筆記"

      2 "羅州丁氏世譜"

      3 김영진, "한국족보의 특성과 동아시아에서의 위상" 계명대학교출판부 2011

      4 권기석, "족보와 조선 사회" 태학사 2011

      5 차장섭, "조선시대 족보의 유형과 특징" 역사교육학회 (44) : 239-278, 2010

      6 김학수, "조선 사회 이렇게 본다" 지식산업사 2010

      7 안광호, "전통기 韓·中 姓氏制度를 바라보는 두 知識人의 시각- 宋나라 시대 鄭樵와 朝鮮 시대 柳馨遠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13) : 125-166, 2014

      8 박홍갑, "우리 성씨와 족보 이야기" 산처럼 2014

      9 黃胤錫, "頤齋遺藁"

      10 安鼎福, "順菴集"

      11 "韓國系行譜"

      12 "靑邱氏譜"

      13 李德懋, "靑莊館全書"

      14 "陽川許氏世譜"

      15 鄭樵, "通志"

      16 "萬家譜"

      17 安承俊, "萬家譜" 民昌文化社 1992

      18 凌迪知, "萬姓統譜"

      19 "萬姓大同譜"

      20 兪漢雋, "自著"

      21 "肅宗大王實錄"

      22 "碧珍李氏八門譜"

      23 "百氏通譜"

      24 楊應秀, "白水集"

      25 안광호, "李圭景의 ‘姓氏譜牒辨證說’에 나오는 중국 譜牒의 종류와 성격" 역사학회 (229) : 187-240, 2016

      26 宋俊浩, "朝鮮社會史硏究" 一潮閣 1987

      27 "朝鮮王朝璿源錄"

      28 崔錫鼎, "明谷集"

      29 宋俊浩, "文科譜"

      30 安光鎬, "從中國的郡望到韓國的本貫-中韓古代社會比較-" 中國南開大學 2015

      31 "宣宗大王實錄"

      32 常建華, "宋以后宗族的形成及地域比較" 人民出版社 2013

      33 李惟樟, "孤山集"

      34 鄭求福, "古文書와 兩班社會" 一潮閣 2004

      35 김영진, "南譜" 학자원 2016

      36 김영진, "北譜" 학자원 2016

      37 "務安朴氏世譜"

      38 안광호, "中國의 郡望制度와 韓國의 本貫制度 비교 - 중국의 淸河崔氏와 한국의 南陽洪氏를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98) : 75-125, 2016

      39 "世祖大王實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KCI등재후보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1 1.8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